•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광 불갑사(佛甲寺)의 위상과 역사적 의의 (The Statu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Bulgapasa Temple in Yonggwang)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8.12
25P 미리보기
영광 불갑사(佛甲寺)의 위상과 역사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95호 / 125 ~ 149페이지
    · 저자명 : 윤기엽

    초록

    전라남도 영광군의 모악산에 소재한 불갑사(佛甲寺)는 백제 침류왕 때 인도승 마라난타(摩羅難陀)가 법성포(法聖浦)를 통해서 들어와 창건한 사찰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창건설화에 대한 문헌상의 기록은 조선후기 불갑사의 사찰기록에 근거하고 있어서 그 신빙성이 떨어지지만, 불갑사가 중국으로부터 백제에 불교가 전래된 4세기 말에 창건된 절임을 짐작하게 해준다. 백제에 불교가 전래된 시기에 불갑사가 창건된 고사찰이었음을 전해주고 있는 것이다.
    불갑사가 융성기를 맞았던 것은 고려 충정왕(忠定王) 대에 절이 왕사(王師) 복구(復丘)의 하산소(下山所)로 지정되면서였다. 불갑사가 충정왕 또는 공민왕 대에 크게 중창되면서 500여 칸의 거찰(巨刹)로 성장할 수 있었다. 불갑사가 호남을 대표하는 사찰로 명성을 떨칠 수 있었던 것은 왕사 복구의 하산소가 되었기에 가능했다고 할 수 있다.
    조선전기까지 불갑사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기록은 없고, 16세기 정유(丁酉)병란 후에는 절이 여러 차례 중창(重創)을 거듭하면서 자체 내의 발전을 꾸준히 도모해 왔다. 하지만 전 시대와 같은 규모나 위상을 회복하기는 어려웠다. 최근 2011년 8월 불갑사가 보유한 조선시대 불화(佛畫) 3점이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기도 했다. 이것은 현재도 불갑사가 천년 사찰의 오랜 전통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려는 부단한 노력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영광군 법성면의 진내리 마을 일대가 ‘백제불교 최초도래지’로 조성되면서 불갑사도 법성포와 함께 국제불교의 관광지로 발전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Bulgapasa Temple in Moak Mountain(母岳山) in Yeonggwang(靈光), Jeollanamdo Province is widely known as the Buddhist temple built by the Monk Moranata(摩羅難陀) of India during the reign of King Chimlyu(枕流王) of Baekje. The records of the founding tales are based on the Buddhist temple record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e credibility of them has declined. However, it can be confirmed that Bulgapasa Temple was built from the end of the 4th century when Buddhism was transferred from China to Baekje. The Bulgapasa Temple was built at the time Buddhism was introduced to Baekje.
    It was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jeong(忠定王) of Korea(高麗) that Bulgapasa Temple was at its heyday. At that time, Monk Boku(復丘) was designated as king’s teacher. The temple was able to grow into a giant temple of about 500 kings as it greatly expanded in King Chungjeong or King Gongmin(恭愍王). Since then, it has been possible for Bulgapasa Temple to become famous as a representative temple of Honam(湖南) because it has become an king’s teacher Monk Boku’s Hasanso(下山所).
    There is no record that can grasp the reality of Bulgapasa Temple until the early Chosun dynasty. After Jeongyu(丁酉) War of the 16th century, the temple has repeatedly developed its own development continuously. However, it was difficult to recover the same scale and status as the previous era. In November 2011, three Buddhist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ere held by Bulgapasa Temple, were designated as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Jeollanamdo Province. This is also the result of the constant efforts to maintain and develop the long tradition of the millennium temples. In particular, a large part of Jinnaeri, Yeonggwang, was constructed as the first destination of Baekje Buddhism. It will be said that Bulgapasa Temple has also established an important opportunity to develop into a tourist destination of international Buddhism together with Beobseongpo Estu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