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대 성인의 체성분이 보행능력⋅가변성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Effect of body composition on gait performance and variability of 20 year young adults: A preliminary study)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8.11
15P 미리보기
20대 성인의 체성분이 보행능력⋅가변성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체육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체육교육학회지 / 23권 / 3호 / 143 ~ 157페이지
    · 저자명 : 이윤곤, 신성훈

    초록

    본 연구는 체성분 중 20대 성인의 보행능력·가변성(Variability)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평가하기 위한 예비연구이다. 총 33명의 젊은 성인은 생체전기저항법을 이용한 인바디(Inbody 520) 장비를 통해 체성분을 측정하였고 보행능력·가변성 평가를 위해 양 발에 7D IMU센서(GaitUp Physiology5)를 착용하고 실험실이 아닌 실제400m운동장 트랙에서 스스로 선택한 속도로 보행하였다. 일차적으로 체성분과 보행능력, 가변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이차적으로 체성분과 관련된 보행능력·가변성의 예측 변수를 밝히기 위해 체성분뿐만 아니라성별, 연령, 키, 몸무게와 같은 신체적 특성과 보행속도를 표준화하기 위해 회귀모델에 조절변수로 적용하여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체성분 중 비만도를 나타내는 변인인 체지방량, 체지방률, 허리 엉덩이 둘레 비(WHR)와 하체 근육량이 보행능력의 예측변수로, 체지방 변인은보행가변성의 예측변수로 나타났다(p<.05). 체성분과 관련하여 비만도를 나타내는 변인과 하체근육량이 보행능력과 가변성에 중요요인임을 밝힐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인체의 체성분의 특성에 따라 젊은 성인들일지라도 보행패턴이 변화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gait performance and the variability of young age adults (20-25years). Methods: A total of 33 young adults measured body composition using the Inbody 520 instrument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method. A 7-D IMU sensor (GaitUP Physiology5) was worn on both feet to measure gait performance and variability. They walked at the speed of self-selected pace at the actual 400m track. First,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gait performance, and variability, secondly, in order to identify predictive variables of gait performance and variability related to body composi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djusting sex, height, body weight, gait speed, age. Results: Body mass index, body fat percentage, waist hip circumference ratio (WHR) and lower body mass were predictive variables of gait performance, and body fat was predictive variable of gait variability (p<.05). Conclusion: In terms of body composition, we could reveal that the variable indicating the degree of obesity and the lower muscle mass were important factors in gait performance and vari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gait pattern changes even in young adults depending on the body composition of the human bo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체육교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