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북 작가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가치관의 변화 양상 연구 - 고난의 행군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ing Beliefs in the Short Stories of North Korean Defector Writers -Focusing on the works set in the Arduous March)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2.08
28P 미리보기
탈북 작가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가치관의 변화 양상 연구 - 고난의 행군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춘원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춘원연구학보 / 24호 / 89 ~ 116페이지
    · 저자명 : Seema null

    초록

    본 논문은 탈북 작가의 단편소설에 투영된 고난의 행군 시기와 그 이후의 북한 사회와 인민의 일상을 분석하면서 고난의 행군이 북한 인민들에게 미친 영향을 밝히려고 하였다. 1990년대의 경제난은 북한 사회와 주민들 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가져왔기 때문에 고난의 행군은 탈북 작가 문학에서 끊임없이 재생되는 주제 중 하나이다. 고난의 행군은 북한 경제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더불어 북한 인민의 일상과 가치관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고난의 행군 시기에 식량 배급이 중단되면서 주민들은 살아남기 위해 거래 활동을 통해 스스로 먹을 것을 구하기 시작했다. 사회주의적인 당 사상이 강한 인물들도 생계유지를 위해서 북한의 비공식적인 시장인 장마당에 뛰어들 수밖에 없었다. 처음 장마당의 거래 활동은 생필품을 구하기 위해 시작되었지만, 돈에 집착하면서 시장화를 수용하여 이윤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했다. 따라서 고난 행군 시기에 장마당의 형성과 시장화의 수용은 북한의 사회주의적인 가치관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북한에서 여성은 가사 노동을 전담하였는데, 고난의 행군 시기에 가족의 생계까지 여성의 몫이 되었다. 따라서 책임감이 강한 여성은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 집을 떠나 경제 활동을 하기 시작했다. 돈을 벌기 위해 여성은 필요에 따라 몸을 팔기도 했다. 당시 경제 활동은 주로 여성들이 하고 있었다. 왜냐하면, 남성은 군대에 가거나 건설 현장에 가야 했기 때문이었다. 고난의 행군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시작하게 시작된 여성의 경제 활동은 비도덕적인 면도 있었지만, 여성이 당시 사회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넓혔고 더 중요한 자리에 앉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
    고난의 행군 시기 장마당 활동을 비롯한 시장의 수용 증가에서 당시 북한 주민의 사회주의에 대한 시각의 변화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시대의 이러한 변화와 같이 북한 여성의 역할도 점차 변했다. 고난 행군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에서는 사회주의가 없었다면 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북한 사람의 모습도 엿볼 수 있었다. 즉 시대의 변화와 함께 변해가는 북한 주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rduous March and its impact on the of North Korean people by examining the portrayal of this event and the aftermath in the short stories by defector writers. Since the 1990s economic crisis caused numerous social and economic challenges in North Korea, the Arduous March is one of many themes that appears frequently in the literature of North Korean defector writers. The Arduous March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North Korean economy thereby inducing many changes in the lives and values of its citizens.
    When food rationing was discontinued during the Arduous March, people began to seek food on their own through trading activities to survive. Even those with strong socialist party ideologies were forced to enter North Korea's unauthorized market, the Jangmadang (=marketplace), to make ends meet. Initially, Jangmadang's trading operations were intended to meet basic needs, but the profitable business soon engendered a greedy pursuit of economic gains while accepting marketization. The emergence of Jangmadang and acceptance of marketization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the North Korean socialist beliefs.
    In North Korea household chores were the exclusive responsibility of women, during the Arduous March they were also liable for the family's livelihood. Hence women with a strong sense of duty were forced to leave their houses to pursue economic activities in order to provide for their families. Many had to sell their bodies when required to earn money. During this period economic activities were mainly carried out by women as men were required to enlist for military service or construction work. Although the events of the Arduous March forced women to undertake immoral activities for money, it contributed to providing financial independence and expanding the role of women in a family consequently securing them a more significant position in society.
    In the Arduous March period, North Koreans' attitude towards socialism have altered, as seen by the rise in Jangmadang activities and acceptance of marketization. North Koreans who believe that their lives might benefit from abandoning the socialist ideology are portrayed in the works of Defector Writers. The role of women in North Korea has also significantly transformed along with these changes in the society. In addition, with the passage of time one can observe a change in the attitude of the North Korean people towards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춘원연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