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구 안의 북대서양 잔여: 포스트식민주의와 서구 모더니즘 사이의 세계문학 덴마크-페로 문학을 중심으로 (A North Atlantic Rest in the West World literature between Postcolonialism and Western Modernism with special Reference to Dano-Faroese Literatur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5.02
24P 미리보기
서구 안의 북대서양 잔여: 포스트식민주의와 서구 모더니즘 사이의 세계문학 덴마크-페로 문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코기토 / 77권 / 20 ~ 43페이지
    · 저자명 : 베르구 뢴 모베르그

    초록

    객관적으로 말해서 페로(Faroe Isalnds) 문화는 주권국가가 되고자하는 노력이 성공적이지 못했던 것과 관련하여 여전히 포스트식민주의적 위치에 있거나 일종의 회귀적 위치에 놓여 있다. 언어적, 정치적, 영토적 그리고 문학-예술적 자율성을 위한 투쟁이 백년 넘게 페로문화의 거대서사가 되어 왔다. 따라서 페로문학은 한편으로는 자율성을 향한 다중적인 행로와, 다른 한편으로 주권성의 결여 사이의 불일치로 인해 분열되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페로문학은 일반적으로 제국적 경험에 대한 ‘되받아쓰기’로서 설명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나는 지난 수년간 페로 문학을 연구하면서 덴마크와 제국적 경험에 대한 ‘대답’을 넘어서는 관점을 사유해 왔으며, 이 관점을 세계문학(world literature)개념에 의해 틀 지워질 수 있는 장소(place)에 대한 풍부한 경험으로 확장시키고자 했다. 페로문학에서 장소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세계문학과 포스트식민주의 사이의 균열과 겹쳐짐이 페로문학 하위 범주인 덴마크-페로문학의 혼종성과 특별한 관련을 가지며, 이러한 혼종성은 고전적인 포스트식민주의의 프레임으로는 완전히 설명될 수 없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덴마크-페로문학의 지리근대적 글쓰기가 지닌 생산적 주변성은 마침내 형식적 근대성에 대한 하나의 되받아쓰기가 된다. 특히 하이네센과 야콥센은 이종적인 미학들 간의 제휴, 지리근대성의 포괄성을 작품에 담음으로써 인류학적 연구에서나 가능할 표현의 혼종적 양태를 자신들만의 고유한 지리학으로 그려낸다. 유희하고, 지식을 추구하며 성숙과 형성과정을 묘사하면서 또한 문화적 서사를 강조하고 보편과 특수를 관계 짓는다. 지리학적 근대성의 다양한 담론들은 낡은 근대성의 주변에 공존하면서 작동한다. 그런가 하면 지리학적 근대성의 상황적이고 공간적인 시학은 서구의 문화적 전통과 세계의 나머지 사이의 소통에 더욱 열려 있으며 바깥 세계를 향해 나아가고자 한다.

    영어초록

    Objectively Faroese culture is still in a postcolonial position or perhaps in a kind of relapsing position connected with the unsuccessfull struggle to become a sovereign nation-state. The struggle for linguistic, political, territorial, and literary-artistic autonomy has been the master narrative of Faroese culture for over a hundred years. Faroese culture is thus divided between the discrepancy of, on the one hand, the multi-track process of autonomy and, on the other hand, lack of sovereignty. Faroese literature in general is thus rightfully described as a ‘writing back’ to the imperial experience.
    My own research into Faroese literature over the past years has considered perspectives that extend beyond ‘the answer’ to Denmark and the imperial experience, reaching into a broad experience of place that can be framed by world literature concepts. In order to explain the role of place in Faroese literature, fractures and overlaps between world literature and postcolonialism are of particular relevance, especially to the Danish-Faroese subcategory of Faroese literature, the hybridity of which cannot be fully explained within a classic postcolonial framework.
    The geography lesson has continued in the whole of Faroese literature, which can be seen as a continual attempt to localise The Faroe Islands in the new world of modernity and modernism. No doubt, the strong sense of place in Faroese literature represents a deprived culture without any established literary and cultural publicity. The literary and cultural struggle for autonomy – the discord concerning political status relative to Denmark – contributes to the strong placial consciousness in Faroese literature. Postcolonialism is well-suited for describing this. However my focus on placemaking and locality building in (Danish-) Faroese literature reaches beyond narrow nationbuilding and the notion of the writing back from the empire. Eager to embrace Western influence Danish-Faroese literature in particular transcends the imperial experience and writes back as a rest in the West, i.e. as a non-metropolitan culture with European origins, which negotiates the massive influence from the Continent’s urbanised civilisation. Re-routings within postcolonialism has placed a still greater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s empire and empire’s literature making it difficult to sharply distinguish between postcolonialism and world literature. The conception of place in Faroese literature in general is thus far from being legitimised on the basis of conceptions of de-colonised liberation. Place’s meaningfulness in Faroese literature expands out into a geographical context, which cannot be fully explained by classic postcolonial dichotomies. By the same token, my approach to the works of Heinesen and Jacobsen to some extent is in line with critical postcolonial discourse concerning the blind reproduction of Western culture in terms of a progressive developmental logic.
    The productive marginality of Danish-Faroese geomodernistic worldwriting finally has been depicted as a writing back to formal modernism. Heinesen's and Jacobsen's heterogenic aesthetic affiliations in particular and the inclusiveness of geomodernism in general frames a heterogeneous mode of expression capable of anthropology-like self-studies into one’s own geography, entertaining, promoting knowledge, describing ripening and processes of formation, highlighting cultural narratives, connecting the particular and the universal etc. The co-existence of a variety of discourses in geographical modernism operates in the margin of the old modernism while its contextual and spacious poetics is more open to the dialogue between the Western cultural tradition and the rest of the world and in general tuned in for venturing into the outsid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기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