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여나성 북나성Ⅴ·Ⅵ(청산성구간) 건물지 출토 중국도자의 연대와 역사적 의미 (The Chronolog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Chinese porcelain excavated from northern walls of the Buyeo Naseong fortress V·VI (Cheongsanseong Fortress sectio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9.05
27P 미리보기
부여나성 북나성Ⅴ·Ⅵ(청산성구간) 건물지 출토 중국도자의 연대와 역사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제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제학보 / 28호 / 157 ~ 183페이지
    · 저자명 : 최정범

    초록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의 동북쪽에 위치한 청산성은 부소산성과 북나성을 통해 연결되며 남쪽으로 서나성이 지나는 기점에 해당되는 유적이다. 2014~2015년 백제고도문화재단에 의한 발굴조사 결과 유단식의 평탄대지면을 조성하고 그곳에 굴립주건물지와 적심건물군이 시차를 두고 조영되었음이 밝혀져 백제 사비기의 고고학적 연구에 여러 획기를 마련하였다. 특히 작지 않은 수량의 중국도자가 출토된 점은 그 중요성이 매우 큼에도 이에 대한 면밀한 분석에는 이르지 못했다.
    북나성 건물지 유적에서 출토된 중국도자는 청자와 채회유도로 기종은 완이 대부분이다. 생산지는 중국의 북조로 볼 수 있고, 6세기 후반을 전후한 시기에 해당된다. 이러한 사례는 그간 크게 부각되지 못하였지만 부여 능산리사지에서 출토된 청자완, 홍성 남장리 출토 녹유완과 더불어 북조에서 제작된 자기가 백제에 이입되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이 자기들의 이입은 위덕왕 집권 이후 북조와의 정치적 교섭 시점과 정합성을 띠고 있는데, 남조일변도의 대중국 외교에서 진전되어 위덕왕의 중흥책에 따른 북조와의 교류를 통해 백제로 유입되었고, 6세기 후반 위덕왕의 국내 체제정비 과정에서 북조문물의 이입이나 영향이 드러났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三國史記』와 중국 정사에 기록된 북조왕조와 백제 간 조공책봉 기사를 통해서도 잘 드러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북나성의 유구와 그에서 출토된 중국도자는 중요한 과제를 제시해 주고 있으며, 향후 사비기 백제와 북조의 관계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Cheongsanseong Fortress, located in the northeast of Buyeoeup Buyeogun, Chungcheongnam-do, is the ruins connected to Bugnaseong Fortress through Busosanseong Fortress, and its location corresponds to the starting point where Seonaseong Fortress is located in the south. The findings of the 2014-2015 Baekje Culture Foundation Excavation provided several breakthroughs in archaeological research on the Sabi Period of the Baekje dynasty by the discovery of the staggered construction of ground or lifted floor building and pillar foundation building groups on tiered flat surfaces. In particular, the excavation of Chinese porcelain in relatively large quantities has not been closely analyzed despite its significance.
    The Chinese porcelain excavated from the ruins of the Bugnaseong Fortress building site were mostly celadon and painted lead-glazed pottery bowls. They appear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Northern Dynasties, circa the late 6th century. These cases were not remarkable, but the significance lies in the importation of porcelain produced in the Northern Dynasties along with celadon bowls excavated from the Neungsan-ri Temple Site in Buyeo, as well as green glazed bowls excavated from Namjang-ri, Hongseong.
    The porcelain importation is consistent with political negotiations with the Northern Dynasties after King Wideok came to power. It was introduced to Baekje through exchanges with the Northern Dynasties according to the revival measures of King Wideok that had been developed from diplomacy with China devoted to the Southern Dynasties, and it appears to be the exposure of the introduction or influence of the Northern Dynasties in the process of King Wideok’s effort to improve the domestic system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6th century. This importation can be clearly seen in articles on the tribute system between Northern Dynasties and Baekje recorded in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三國史記) and Chinese history.
    Considering these facts, the remains of the Bugnaseong Fortress and Chinese porcelain excavated from it present an important assignment, and an in-depth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bi Period Baekje and the Northern Dynasties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