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방정책을 추진하던 독일연방공화국 (서독)의 시각에서 본 한국의남·북관계 1969-72 (The Korean South-North Re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est German Ostpolitik 1969-72)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08.01
22P 미리보기
동방정책을 추진하던 독일연방공화국 (서독)의 시각에서 본 한국의남·북관계 1969-72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 수록지 정보 : 국제지역연구 / 11권 / 4호 / 73 ~ 94페이지
    · 저자명 : 노명환

    초록

    동과 서로 분단된 국가로서 1960년대 말 1970년대 초 동방정책을 실시하고 있던 서독이 남북으로 분단된 남한의 통일정책과 남북관계를 어떻게 바라보았는가? 하는 문제제기가 본 논문의 핵심 주제이다. 이 연구를 위해 필자는 주한 서독 대사관의 관련 당시 기록들을 분석하였다. 초국가주의에 눈을 뜬 서독은 국가주의에 의거한 남과 북의 통일정책을 주시했으며 평화통일을 지향한다는 측면에서 동방정책의 보편성을 확인하고 자 하였다. 주변 강대국들이 한국의 남북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측면을 자신의 상황과 비교하면서 관찰·분석하였다.

    영어초록

    The West Germany (FRG) was intensely interested in the Korean South-North relations, especially at the end of 1960's into the early 1970's. Their prime motivation was the belief that they could glean valuable insight for Ostpolitik from the Korean case. In particular, the West German government estimated that the Red Cross talks and the Joint Communiqué of July 4, 1972, contributed to easing tensions in East Asia in the most spectacular way. Understandably it saw a fruitful comparison in the moves towards détente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northeast Asian geopolitical context and the broadly European dimension of Ostpolitik. In consequence the West German government was assured that its constructive policy orientation of Ostpolitik was the right one to have championed.
    According to West Germany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German West-East relations and Korean South-North re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dition of dialogues lay in the fact that, politically speaking, West Germany was prepared to endorse East Germany as a state in the framework of the theory of the "two states in a nation", while for the two Korean governments such mutual recognition was absolutely not on their respective policy agendas. The German concern with the war crime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strong will of West Germany to participate in post-WWII European cooperation and eventually pan-European supranationalism is all understandable even today. East Germany, alternatively, aim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sovereign state under the tutelage of the Soviet Union. In contrast again nationalism predominated as the central political value in Korea especially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Dual nationalisms and the distant goal of unification differently conceived still - are the paramount goals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지역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