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만주지역의 獨立運動歌謠 -1910년대 민족주의 독립운동가요를 중심으로-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ongs from the 1910s in North Manchuria)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08.06
35P 미리보기
북만주지역의 獨立運動歌謠 -1910년대 민족주의 독립운동가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43권 / 15 ~ 49페이지
    · 저자명 : 김보희

    초록

    독립운동가요는 독립운동과정에서 민족정신과 항일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독립운동과정에서 만들어진 노래를 말하며 우리민족의 소중한 역사기록이기도 하다. 독립운동가요는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조국에 대한 사랑, 그리움, 이별에 대한 노래와 전쟁에 대한 사기를 북돋아 주는 민족투쟁의 정신적 도구이기도 했다. 그리하여 독립운동가요는 우리 민족수난의 시기에 수많은 항일운동가를 배출했던 한인민족학교 교육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북간도지역은 최대 규모의 해외동포사회를 배경으로 강력한 항일운동 중심지로서 독립운동가요의 발생지이기도 했다. 북간도지역에서의 독립운동가요는 애국 열사들이 독립운동의 절박한 환경에서 자생적으로 발생된 민요풍의 노래로 시작되었지만 일제강점기 전후로 근대 서양음악의 영향을 받은 일본 창가양식의 노래가 학교교육을 통해 소개되었다. 또한 서양의 선교사들이 운영하는 사립학교나 기독교 계통의 민족학교를 중심으로 찬송가의 선율에 독립운동가 가사를 붙이는 방식의 새로운 노래가 소개되었다.
    본 논문은 북간도 지역의 명동학교를 중심으로 창동학교, 광성학교 등의 기독교 계통의 학교를 중심으로 발간된 창가집들과 통일찬송가(1983년)와 『광복의 메아리』에 수록된 노래들을 중심으로 독립운동가요의 음악적 갈래를 살펴봄으로써 북만주지역 독립운동가요의 특성을 밝혀 보았다.
    북간도지역에 보급된 창가집에 수록된 노래들을 분석한 결과 이 시기 창가의 음악적 특징은 첫째, 찬송가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음을 밝혀냈다. 기독교 계통의 사립학교의 창가교육의 영향이기도 하지만, 일본 창가 역시 찬송가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1860년대 이후 부점을 가진 행진가풍의 찬송가가 많이 작곡되었으며, 1983년에 발행한 통일찬송가에는 이러한 부점을 사용한 리듬을 가진 곡이 약 40여 곡 이상이 수록되었고 이 찬송가 대부분은 1900년 초에 한인교회에서 많이 불리던 찬송가이다.
    둘째, 일본 창가는 한인의 독립운동가요에서 찬송가의 영향과 버금가는 영향을 주었다. 독립운동가요 중에 많은 곡들이 일본 창가 <철도창가>, <용감한 수병>, <군함행진곡>, <전우> 등에서 차용되어 ‘애국창가’로 가사를 바꾸어 불렀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민요풍의 독립운동가의 경우 채보과정에서 창가풍으로 바뀌는 사례가 빈번하여 노래의 원형이 바뀌는 경우가 종종 나타났다. 또한 반대의 경우로 창가풍의 노래를 민요풍으로 바꾸어 부르기도 했음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넷째, 창가의 작곡가와 작사자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1913년에 편찬한 이후의 창가 책에서 <전진가>, <조국생각>, <용진가> 등의 선율에 가사와 리듬을 바꿔서 작곡자가 달라진다면 한국 근현대음악사에 커다란 오류를 범하기 때문이다. 작곡가를 알지 못한다면 미상으로 남겨두는 것이 옳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공산주의 계열의 혁명가요들은 후속연구에서 진행을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surveys songs of revolution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s preserved by survivors from the period, from the Myeongdong School song repertoires, and from the “Choesin Changga-jip”(or “The Song Book of Recent Changga”, published in 1914 by the Gwangseong Middle School). By comparing these song repertoires with the Korean United Hymn Book (1983) and “Gwangbokgun ui Meari”(or The Echo of Korean Restoration Army, 1997), I have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ongs from the 1910s in North Manchuria.
    By definition, these song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spire a radical, anti-Japanese feeling derived from the process of struggling for freedom under Japanese colonialism. The songs constitute a valuable historical record of Korean life in North Manchuria while promoting national consciousness as the love for the motherland, yearning, and an expression of sadness for departing lovers or separated families. They served as a mental tool in the rise of Koreans against Japanese dominance, and even as a school education for the various anti-Japanese causes that originated in North Manchuria, where the largest society of overseas Koreans resided.
    Independence movement songs adopted melodies and rhythms from traditional folk songs to new texts that grew spontaneously from the patriotic environment of resistance to Japan. In the 1910s, North Presbyterian Canadian missionaries established a Christian school in North Manchuria and introduced Western hymn melodies to which Koreans adapted new song texts with patriotic sentiments.
    Analysis of the 152 songs preserved in the song book “Choesin Changga-jip”, reveals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se songs as follows :
    first, Western music and Christian Hymns directly influenced the songs of Korean independence directly through the missionary school’s system of music education, but also indirectly through modernized Japanese Changga songs.
    Among 558 songs in the book of Korean Christian Hymns (1983), more than 40 songs used the dotted
    rhythm (that is, Scottish rhythm) that western composers used in the late 19th century. By the early 1900s, the Korean Hymn book included popular examples of these dotted rhythm songs.
    Second, the modern Japanese Changga form influenc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ongs as much as the hymns. Among the Korean independence songs, Korean used Japanese songs such as “Train Changga”(The Train Song), “Brave Sea Army”, “Marine Marching Song”, “Friend of Battles”, etc. In these examples, the original text of Japanese Changga changes to a radical text supporting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with Korean national sentiments.
    Third, the independence movement songs which used traditional Korean styles transcribed the original triple rhythm into a dotted rhythm just as they transform Japanese Changga music sung into a Korean style. I have analyzed examples of these songs.
    Fourth, we need to exercise caution in identifying original composers and authors. Previous scholars mistakenly identified composers and authors, so if you don’t really know the original composer, leave the song unattributed.
    This article analyzes evidence for the origin of Korean national songs under the Japanese colonialism in 1910. I hope to continue to this study by analyzing songs of communist revolution that show the influence of these earliest songs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