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대 동아시아의 천도와 도성 -계획 천도와 좌북조남식 도성구조를 중심으로- (The Capital and the Transfer of the Capitalin the Ancient East Asia -Focused on the planned transfer of the capital and capital system of Jwabukjjonam(坐北朝南)-)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5.11
34P 미리보기
고대 동아시아의 천도와 도성 -계획 천도와 좌북조남식 도성구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63호 / 99 ~ 132페이지
    · 저자명 : 김희선

    초록

    고대에 있어서 도성은 단순한 지배층의 집주지를 넘어서 국왕을 정점으로 하는 정치권력을 정당화하고, 왕권의 위엄을 지상에 구현하는 의례공간이기도 하였다. 이에 고대 동아시아 각국은 도성을 건설하는데 있어서, 천하에 그 위엄을 드러낼 수 있는 상징적인 도성플랜과 기술적 장치를 마련하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특히 왕권과 중앙집권적인 지배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사전에 일정한 준비단계를 거친 계획 천도가 단행된 경우에는 새로운 新都를 건설할 때 지배자의 권위를 나타내기 위한 공간구조를 구현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실제 계획 천도가 단행된 北魏 洛陽城을 비롯한 百濟 泗沘城, 高句麗 長安城, 日本 平城京에는 왕궁이 북쪽에 위치하는 좌북조남식 도성구조가 마련되면서 남북중축선이 설계되었고, 격자형 도로망에 의한 질서정연한 가로구획도 시행되었다. 이러한 도성구조의 요소는 왕권과 지배권력의 정당성을 시각적으로 극대화하는 무대장치로 활용되었다. 즉 왕궁을 북쪽에 배치하여 국왕이 南面하면서 통치하도록 한 좌북조남의 구조와 도성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남북대로의 존재는 곧 국가권력의 위엄을 극적으로 표현하는 동시에 의례공간으로서의 기능까지 충실히 하였다. 더욱이 이들 도성에 나타나는 질서정연한 가로구획은 단순한 시설물의 배치와 거주지 규정을 넘어서, 도성에 거주하는 각 사회계층에 대한 통제와 신분적 위계질서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영어초록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clear relation with the capital and the transfer of the capital in the Ancient East Asia.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There were reasons fo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in the ancient society. Among them, there was the planned transfer of the capital by domestic factors caused consolidation of political system and changes of political parties: They strengthened the kingship and established a centralized system. So the effect of the transfer of the capital was the foundation of new Capital-city systems: they were the Jwabukjjonam(坐北朝南), the Nambukdaero(南北大路) and the Garoguhoek(街路區劃). They were planned for the first time at the Luoyang(洛陽城) in BeiWei(北魏) and had influence on capital-city system in the Ancient East Asia. Especially, they were accepted as the capital-city system in the Paekche Sabi Capital(百濟 泗沘城), Koguryo Jangan castle(高句麗 長安城), and Heijo-kyo(日本 平城京). The Jwabukjjonam(坐北朝南) was a spatial composition that the royal palace was placed in the north of the capital and the Nambukdaero(南北大路) was a main road to north-south axis of the capital. They were served as a symbolizing tool that the kingship was justified the monopoly of the political power. The Garoguhoek(街路區劃) was planned by roadway network. It was a section inside the capital area and a resident unit. On the other hand, It was an exclusive space to accommodate people to be control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