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설 『북간도』의 연극화 연구-1980년 국립극장 공연을 중심으로- (A Study on Dramatizing of the novel 『Bukgando』-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in 1980-)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9.03
25P 미리보기
소설 『북간도』의 연극화 연구-1980년 국립극장 공연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3권 / 1호 / 69 ~ 93페이지
    · 저자명 : 이승현

    초록

    안수길의 장편 소설 『북간도』는 간도라는 역사적 공간과 일제강점기라는 역사적 시간을 정확히 포착하여 구현한 소설로, 한국소설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이를 각색한 연극 「북간도」 역시 1968년과 1980년 두 차례 국립극장에서 공연되었다. 연극의 경우는 여러 측면에서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료에 접근하기 어려워 아직 연구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다양한 연구의 시작으로서 원작 소설을 연극화하는 과정에서 연극적 특성이 어느 정도 나타났다고 본다.
    소설 『북간도』의 서사는 이한복 집안 4대를 중심으로 만주 전역에서 있었던 민족의 수난기를 다룬다. 그에 따라 다양한 시공간을 배경으로 하는데, 시공간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있는 연극 무대에서는 이를 모두 구현하기 어렵다. 따라서 4대에 이르는 모든 인물을 조명하는 대신 이창윤과 그의 아들 이정수에 집중하여 민족의 수난사를 다룬다. 또한 삽화적 구성과 해설자를 통해 시공간을 확장하고, 무대를 간소화함으로써 무대 위의 다양한 배경의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연극 「북간도」에서는 작품 속의 시공간을 확장함과 동시에, 사건 구성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인다. 소설에 나타난 사건들을 모두 무대 위에 구현할 수 없기에, 주인공과 관련된 주요 이야기 외에는 대사를 통해 설명하는 방식을 취한다. 또한 소설에 그려졌던 다양한 역사적 상황들이 삭제되고 그로 인해 인물들의 연애 서사가 부각되면서 인물의 행동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담당하기도 한다.
    소설 『북간도』에서 연극 「북간도」로의 변화는 사실적인 무대 재현이 아닌 실험적 연극 형식을 활용했기에 가능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하나의 방대한 원작 소설의 내용을 한 편의 연극으로 만든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다. 그러나 반대로 이러한 연극의 의도와 어울리지 않는 연극 형식의 활용은 작품의 완성도를 떨어뜨렸을지도 모른다. 연극 「북간도」에 대한 이러한 상반된 평가의 문제는 작품 외적 상황들과 관련하여 이후 연구를 통해 논의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An Su-gil’s novel 『Bukgando』 is a novel that accurately describes historical space, Manchuria and historical tim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o it is a very important novel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 The adaptation of the play 「Bukgando」 was also performed twice in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in 1968 and 1980. In the case of a play, although it is valuable in many respects, it is difficult to access the material and has not yet been studied. As a starting point for various studies, I want to find out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play 「Bukgando」 in the process of dramatizing the original novel.
    The story of the novel, 『Bukgando』, revolves around four generations of Lee Han-bok’s family, and describes the period of national hardship that took place throughout Manchuria. It is thus set in various time and space, and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ll of this on stage of play, which has many restrictions on time and space. Therefore, instead of illuminating all the characters up to four generations, the play focuses on Lee Chang-yun and his son Lee Jeong-su to deal with the history of ethnicity. For this, time and space are expanded through Episodic composition and a commentator, and by simplifying the stage, it is possible to change various backgrounds on the stage. In the play, 「Bukgando」,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mposition of story, as well as the expansion of time and space on the stage. Since all the events in the novel can not be realized on stage, it takes a way to explain through the dialogue. In addition, various historical situations depicted in the novel were deleted and the love history of the characters was highlighted, thus giving justification to the behavior of the characters.
    The change from the novel 『Bukgando』 to the play 「Bukgando」 was possible due to the use of experimental theatrical forms rather than realistic stage reproductions. Through these experiments, it is meaningful to make the contents of a vast original novel into a play. On the contrary, however, the use of theatrical forms that do not match the intent of these plays may have reduced the perfection of the work. The problem of this contradictory assessment of the play 「Bukgando」 should be discussed through further study in relation to the circumstances outside the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