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의 한국전 참전과 이후 북중소의 상호관계 (China’s Entry into the Korean War and the Subsequent Interactions between North Korea, China, and the Soviet Uni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4.02
35P 미리보기
중국의 한국전 참전과 이후 북중소의 상호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 수록지 정보 : 중소연구 / 47권 / 4호 / 7 ~ 41페이지
    · 저자명 : 기광서

    초록

    한국전쟁은 중국의 참전과 함께 본격적인 국제전으로 전환되었지만, 중국군대의 참전과 이후의 상황에 대한 공산 3국의 입장은 항상 합치된 것은 아니었다. 그보다는 전쟁에 대한 각국의 이해와 목표의 차이는 드러나지 않은 갈등과 모순을 초래하였다. 중국은 이념보다는 자국의 안보라는 실리가 더 중요했고, 소련은 종합적인 상황 관리를 위해서 단계마다 필요한 선택을 주도하고자 하였다.
    유엔과 공산측 모두는 자기 진영의 완전한 승리보다는 확전을 자제한 제한전쟁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김일성 지도부는 중국의 참전을 계기로 전쟁 초기의 목표를 달성할 기회를 잡았다. 그는 한동안 자신이 발표한 “원쑤들에 대한 공격의 속도를 일층 강화하며, 후퇴하는 적들에게 숨 쉴 사이를 주지 말며, 새 방어진지를 구축하는 기회를 주지 말며, 병력을 재정리할 시간적 여유를 주지 말”라는 구호를 북한 사회 전체에 확산시켰다. 하지만 격렬한 전투를 치른 뒤 휴식이 필요했던 중국군대에 대한 중국지휘부의 방침을 마지못해 수용함으로써 한국전 개전에 이어 북한지도부에 찾아온 두 번째 기회는 물거품이 되었다. 중국의 ‘소극적인’ 태도로 말미암아 통일의 희망을 상실한 것이다.
    더 이상 북한측으로서는 승전의 기대 없이 소모전과 미공군의 항공 폭격으로 인해 피해만 가중되는 전쟁을 지속할 이유가 없어졌다. 따라서 휴전협상이 개시되었을 때 북한이 가장 정전을 원하는 상황이 지속되지만, 국제전으로 변모한 전장 환경은 휴전협정 체결을 2년 이상이나 끌고 갔다.

    영어초록

    Although the Korean War became a full-blown international war with China’s participation, the positions of the three communist countries on the participation of the Chinese military and the subsequent situation were not always in agreement.
    Rather, differences in each country’s understanding and goals of the war led to hidden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between them.
    Both the UN and the Communist side preferred a limited, non- escalating war to a complete victory for their camp. However, Kim Il-sung’s leadership regarded China’s entry in the war as an opportunity to achieve its goals in the early stages of the war. For a while he used the following slogan and spread it throughout society: “Intensify the pace of attacks against the enemy, do not give the retreating enemy a chance to breathe, do not give them a chance to build new defensive positions, and do not give them time to reorganize their troops”. However, the second opportunity the North Korean leadership had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was wasted because it reluctantly accepted the Chinese command’s policy towards the Chinese army, which needed rest after an intense battle. As a result, China’s ‘passive’ attitude seems to have led to its agreement to effectively consolidate the front line.
    For North Korea, there was no reason to continue the war, which was only adding to the damage caused by the war of attrition and the bombing by the US Air Force, while losing all hope of victory. Therefore, when the armistice negotiations began, North Korea continued to want the armistice the most, but the battlefield environment that had turned into an international war took more than two years to conclude the armistice agre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