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崔北, 奇人 화가의 탄생 (Ch'oe Puk, The Birth of Eccentric Artis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0.03
38P 미리보기
崔北, 奇人 화가의 탄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109호 / 33 ~ 70페이지
    · 저자명 : 유재빈

    초록

    본 논문은 崔北(1712~?)의 화가상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북의 당대부터 20세기 중반까지의 기록을 살펴본 결과 그의 기행에 대한 일화가 대부분 그의 사후에 생성되었다는 확인할 수 있었다. 최북에 대한 당대의 평가는 그와 가깝게 교유했던 여주 이씨와 근기지역의 남인 소북인 등에 의해 남겨졌다. 이들은 그를 진지한 대화상대로 여겼으며, 애정 어린 독려를 아끼지 않았다. 말년에 그를 만난 사람들은 그의 궁핍함을 안타깝게 여기기도 하였으나, 그것이 그의 기행이나 주색에 기인한다고 여기지는 않았다. 그의 그림에 대한 화평은 찬사에 가까웠으며, 주로 그림 자체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정밀하다”거나 “고아하다”와 같은 평어를 통해서도 볼 수 있듯이 ‘기이함’과 ‘일탈’보다는 정재 되어 있는 미감에 주목한 것을 알 수 있다.
    19세기 전반기에 지어진 남공철의 「최칠칠전」과 조희룡의 「최북전」은 이후 최북에 대해 가장 많이 인용되는 문헌이다. 이들은 최북의 생전 기록보다 더 생생하게 그의 기행을 묘사하고 있다. 그러나 이 두 기록은 상당부분 ‘전기’라는 문학 형식에 기반했음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남공철은 본인이 직접 경험한 최북이, 세간의 통설과는 반대로 지식과 예술을 겸비한 자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최북의 기행을 의도적으로 배치하였으며, 조희룡은 여항인의 울분과 기개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상력을 발휘했을 가능성이 크다.
    19세기 후반기의 인물사전과 전기집은 이전 세대의 기록을 반복하며 다른 의미로 재생산하였다. 유재건의 『이향견문록』이 『금릉집』의 「최칠칠전」을 그대로 전재하였다면, 장지연의 『일사유사』는 신문 기고글로서 전거 없이 「최칠칠전」을 풀어서 이야기하였다. 다른 문헌이나 본인의 평어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삽입하기도 하였다. 그에 비해 오세창의 『근역서화징』은 철저히 개입을 자제하고 최대한 많은 자료를 전거와 함께 그대로 전재하였다.
    이들 문헌은 이후 고전 문헌에 밝지 못한 이론가들도 조선의 서화에 접근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20세기 중반기 화가이자 이론가였던 윤희순, 김용준은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되 최북의 기행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았다. 이들에게 기행은 화가가 세상의 모순과 부딪히며 ‘미’를 추구해나가는 ‘처절한 몸부림’이었다. 그들에게 최북은 조선시대에 태어난 낭만주의 화가였다. 최북은 출신이 분명하지 않고, 그 자신이 남긴 기록도 없다. 이러한 모호함이 오히려 후대인들이 기록의 빈자리를 상상력으로 메우고, 자신의 화가상을 투영할 수 있는 조건이 되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how the image of artist was established over time in case of Ch'oe Puk, the middle class artist in the 18th century Chosŏn. He was known as an eccentric artist, however, stories of his idiosyncratic behaviors were mostly written after his death. His contemporaries- close friends and patrons regarded him as sincere conversation partner and a talented artist. Those who met him in his latter years, regretted his privation but did not consider it as a result of his impulse or alcoholism.
    The number of biographical literature on Ch'oe Puk were produced after his death. The most cited biographies are Ch'oe Ch'ilch'il-chŏn by Nam Kongch'ŏl and Ch'oePuk-chŏn by Cho Hŭiryong. They introduced new episodes on his idiosyncratic behaviors and described them vividly as if he was in front of their eyes. It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biographical literature, "chŏn" in the late 18th century Chosŏn. "chŏn" began to include the people in the lower class who had special talents or eccentric lifestyle as subject of biographies, let alone aristocrats of great achievement. The biography of Ch'oe Puk emphasized his eccentricity in order to magnify the gap and conflict between his low position and exceptional artistic talent. The imaginations of the biography writers may have been exploited to make the writings more interesting as the usual biographies on low class did at that time.
    Those two biographies on Ch'oe Puk became authoritative documents in the modern period. In the late 19th century, biographical dictionaries or the compilation of biographies repeatedly cites the two texts. The contemporary theorist in the mid 20th century paid more attention to Ch'oe Puk's unusual behaviors than his paintings. They regarded him as a solitary genius in a romantic way. As seen above, the identity of Ch'oe Puk as an eccentric artist was built over time after his death reflecting 'the idea of an outside artist' of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