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北鄕』과 새로운 문학장의 발견 (『北鄕』 and the start of a new literary fiel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6.03
40P 미리보기
『北鄕』과 새로운 문학장의 발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총 / 67호 / 121 ~ 160페이지
    · 저자명 : 김향화

    초록

    1930년대 초, 간도 용정에는 젊은 청년문인들이 자주적으로 발족한 ‘북향회’라는 문학 동인단체가 있었다. 창립 초기, 간도 용정 중등학교의 교사들로 이루어진 이 그룹은 문예강연회를 조직하고 동인지 『北鄕』을 발행하는 것을 통하여 간도로 이주한 대중들을 문화적으로 계몽시키고 역사의식을 각성시키기는 것을 기본적인 취지로 삼았으며, 식민지 통치의 어둠을 직시하고 간도에서 제2의 삶의 터전을 건설할 것을 호소하였다.
    ‘북향회’에서 발행한 동인지 『北鄕』은 1935년에서 1936년 사이에 고작 4호밖에 발행하지 못했지만 조선 혹은 일본에서 일정한 근대 교육을 받은 조선의 지식인들이 만주에서 최초로 발간한, 독립적인 우리말 純문예지라는 면에서 문학적 의의가 크다. 조선이 아닌 이역 땅 간도에서 이루어진 이들의 문학에는 식민지 치하의 어둡고 불평등한 현실 속에서 고통 받는 조선인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고, 이국적인 정취와 더불어 동포가 살고 있는 만주에 대한 정겹고도 안타까운 감상이 드러나 있으며, 이는 고향을 떠나 이역 땅 만주로 이주하여 또 하나의 삶의 터전을 개척하고 있는 조선인들에 대한 독려로 이어진다. 이것은 두 번째 고향으로서의 만주에 대한 가능성과 희망을 배태하고 디아스포라로서 문화를 설계하는 과정이며 더 나아가 새로운 문학장의 출현을 의미한다.
    ‘북향회’는 발족되어서부터 해산되기까지 많은 조선 국내의 문인들이 직, 간접적으로 거쳐 갔으며 또한 무수한 조선인 작가들을 배출한 문학의 요람이었고 만주 조선인 문단 형성의 초석이었다. 재만 조선인 문학의 거장 안수길을 비롯하여 강경애, 박영준, 박계주 등 문인들은 만주 문단에서 조선인 문단을 대표하는 중요한 구성원으로 활약했고 만주로 이주한 조선인들의 구체적인 생활상을 문학 소재론적 차원에서 발굴해내었다. 또한 동인지 『北鄕』을 시작으로 하여 그 후 십여 년 동안 만주에서 꽃 핀 만주 조선문학은 우리말이 말살되어가던 일제식민지시기 문학사의 귀중한 한 부분이 된다.

    영어초록

    In the 1930s, young writers in Kando Yongjeong independently launched the “North Facing Flower” literary association. In the early days after its foundation, this group made up of teachers from the Kando Yongjeong Middle School organized a literary lecture and published a literary coterie magazine titled 北鄕 through which they made it their purpose to culturally enlightened the migrate populace of Kando and awaken their historical sense while appealing to the establishment of a second living foundation in Kando after facing the darkness of colonial rule.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 published by “North Facing Flower,” 北鄕, had only 4 issues published between 1935 and 1936 but it has great literary meaning in the fact that it was the first 純literary magazine independently published in Korean by Chosun national intellectuals who have received modern education in Chosun or Japan in Manchuria. Their literature which was established not in Chosun but in a foreign country of Kando depicted the Chosun people suffering under the dark and unequal reality of the colonial government, bringing out the exotic atmosphere along with the affectionate yet regrettable feelings towards the compartiots living in Manchuria, leading to the encouragement for the populace who have left their hometown to migrate to the rough and wild Manchuria and establish another living foundation. This conceived new potential and hope towards Manchuria, their second hometown and through the diaspora it was the process to establish their culture and further on create a new literary field.
    Since its foundation and until its dissolution, various Chosun national writers have directly and indirectly passed through “North Facing Flower” and it also served as a literary cradle that produced countless Chosun writers, forming the cornerstone for the Manchu-Chosun literary world. Virtuosos of the Manchu-Chosun literature such as Ahn Soo-kil, Kang Kyeong-a, Park Young-joon, Park Gye-ju and other writers were important representatives of the Manchu literary world as well as the Chosun literary world who have actively participated and they have used the detailed life of the Chosun people who have migrated to Manchuria as a source and have been able to bring out an even greater literature. Also, by starting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 北鄕 and for various tens of years afterwards the Manchu-Chosun Humanities flourished and the national literature took its part in filling the gap of the dark age where the Japanese colonial rule tried to annihilate the Korean language, remaining as a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