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위안부’=소녀이야기와 국민적 기억 - 영화 『귀향』에 주목하여 - (Comfort women = Story of a girl and national memory: With attention to the movie “Gwihyang” (Spirits' Homecoming))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6.05
17P 미리보기
‘위안부’=소녀이야기와 국민적 기억 - 영화 『귀향』에 주목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학보 / 107호 / 305 ~ 321페이지
    · 저자명 : 최은주

    초록

    본고에서는 사회적 가치관과 대중적 시선을 반영하는 영화라는 미디어를 통해 위안부가 우리 사회의 집단적=역사적 기억으로 형성될 가능성을 영화 『귀향』에서 발견하고, 본 영화 속 ‘소녀’이야기가 가지는 문제점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그 출발점이 되는 것은 위안부 문제가 담론화되기 이전에 제작된 두 편의 한국영화에 대한 일본 영화학자의 비판적 시선이다. 그의 발언은 기존의 위안부 영화에 내재하는 문제점과 더불어 오늘날의 위안부라는 역사를 향한 우리의 시선에 드리워진 모순을 고찰하는데 있어 유효한 지점이 될 것이다. 여기에서 영화 『귀향』은 우리에게 위안부라는 역사에 공감하게 하고 피해자=‘우리’의 기억공동체를 형성해내는 역사적 미디어로서 주목할 만하다. 그리고 그 주인공인 ‘소녀’가 만들어내는 완전한 피해자성과 내재된 젠더적 모순이야말로 위안부 문제의 본질인 여성/식민지폭력을 비가시화한다는 점을 인식할 때 이는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시사로 연계될 것이다.
    위안부 문제는 한국과 일본의 두 국가/민족 간의 문제라는 인식, 즉 양 국가를 대표하는 남성주체의 대립으로 이해하는 시각의 한계라는 편협한 국가주의에서 벗어나 남성중심의 담론의 틀을 부수고 여성폭력 전반으로 그 문제의식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 시좌에서만 위안부에 내재하는 성폭력 문제는 제국주의의 본질에 대한 비판적 시좌로 연계될 수 있고, 여기에 위안부 문제의 해결의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위안부의 역사를 다루며 피해자=‘우리’라는 기억공동체의 형성에 기여할 가능성을 가지는 영화 『귀향』은 위안부를 ‘소녀’의 이야기로 환원함으로써 문제의식을 축소시키고 우리를 무고한 피해자성으로 무장시켜 남성의 성적욕망-폭력을 긍정하고 만다는 한계를 가진다. 위안부=소녀이야기의 한계는 위안부 문제의 한계이며 이는 제국주의의 식민지 폭력에 대한 비판의 한계로 연계된다. 우리가 영화 『귀향』과 위안부=소녀이야기에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forming historical memory (which equates to our society as a whole) about comfort women, through films that reflect social values and public attention, as found in the movie “Gwihyang (Spirits' Homecoming)”. It also examines the problem with the story of the girl in the movie.
    The starting point is the critical review of a Japanese movie critic about two previous Korean movies that were made before the comfort women issue came to public attention. His comments will provide useful points to investigate the contradictions hanging over our perceptions towards comfort women today, together with the inherent problems with the existing movies about comfort women. Here, the movie “Gwihyang (Spirits' Homecoming)” is noteworthy as a historical film that helps us to be empathic towards the history of comfort women and which helps us to form a collective memory of the victims as being “us”. In addition, the very way that the girl, who is the main character, is portrayed in terms of complete victimization and inherent gender contradiction, hides or makes invisible colonial violence and violence against women. These are, in fact, the root of comfort women's issues and recognition of these will lead to a solution for the comfort women problem.
    It is necessary to increase awareness that the comfort women problem is about violence against women as a whole. There needs to be recognition that the problem between the two countries of Korea and Japan arose out of narrow-minded nationalism.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to break free of male-centered representation from both countries which limits the perspective from which to understand the conflict. Only from this perspective can the problem of sexual violence inherent in comfort women be understood and which can lead to a critical perspective about the nature of imperialism. Herein lies the possibility of solving the comfort women problem.
    However, the movie “Gwihyang” deals with the history of comfort women and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y that equates the victim with “us”. By reducing comfort women to a story of a girl, the movie also reduces awareness of the overall problem and convinces us that we are innocent victims of gender, thus having the limitation of passively accepting men's sexual desire and violence. The limitation of equating comfort women with the girl's story also leads to limits on how much colonial violence of imperialism can be criticized. This is why we must pay more attention to this issue, and do more than equate comfort women to the story of a girl, as is portrayed in the movie “Gwihy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