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喜怒哀樂의 未發에 대한 王夫之의 견해 (A Study of Wang Fuzhi's Opinions on Non-expression of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4.08
25P 미리보기
喜怒哀樂의 未發에 대한 王夫之의 견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79호 / 89 ~ 113페이지
    · 저자명 : 김재경

    초록

    이 논문은 기쁨·성남·슬픔·즐거움이 아직 드러나지 않은 것을 중中이라고 할 때 그 중中은 어떤 것인가에 대한 왕부지의 입장을 정리한 연구이다. 왕부지는 중中의 본질을 치우치지도 않고 기울지도 않는 것[不偏不倚]으로 파악한다. 그가 이해하는 불편불의不偏不倚는 마음속에서 아무런 생각도 일지 않아 치우치지도 기울지도 않는 그런 상태가 아니다. 희喜·로怒·애哀·락樂이 아직 드러나지 않았을 뿐 이미 마음속에 희·로·애·락이 있으며, 성性 속에 그 희·로·애·락의 이치가 들어 있다는 것이다. 마음속에 있는 그 희·로·애·락이 아직 드러나지 않은 상태에서 치우치지도 기울지도 않은 것이 바로 불편불의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왕부지의 중中에 대한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희·로·애·락의 불편불의가 과연 구체적으로 어떤 양상을 띠는가를 24개의 형식으로 구성해 보았다. 또 희·로·애·락이 치우치고 기우는 형식이 어떤가를 24개의 틀로 만들어 보았다.
    왕부지는 인간의 감정인 희·로·애·락이 선善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주장한다. 희·로·애·락이 선이 되는 것은 희·로·애·락이 인仁·의義·예禮·지智를 체體로 삼고, 인·의·예·지가 희·로·애·락에서 발현될 때 가능하다. 필자는 왕부지의 견해를 활용해 인仁·의義·예禮·지智와 기쁨·성남·슬픔·즐거움이 어떠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지 48개의 감정 형태들을 작성해 보았다. 그렇게 함으로써 희·로·애·락이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한쪽으로 기울어져 불선不善으로 흐르지 않고, 오직 치우치거나 기울지 않음으로써 선이 될 가능성의 면모가 어떤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Provided that the non-expression of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is defined as ‘golden mean’, this study examined Wang Fuzhi’s opinions on the principle. The Chinese philosopher explained ‘golden mean’ as bupianbuyi (‘staying impartial and unbiased’). However, ‘staying impartial and unbiased’didn’t mean thinking nothing. He meant that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exist in our mind even though they aren’t expressed yet. He insisted that these human emotions are found in sex. After all, it concluded that bupianbuyi is ‘staying impartial and unbiased’ while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aren’t expressed yet. Based on understanding on Wang Fuzhi’s opinions on ‘golden mean’, this study divided bupianbuyi patterns on the four human emotions into 24 categories. In addition, the partial and biased patterns were presented in 24 frames.
    The famous Chinese philosopher mentioned a possibility that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would develop into the good. In other words, virtue can be achieved when the four human emotions take benevolence, justice, courtesy and wisdom as the frame, and benevolence, justice, courtesy and wisdom are represented in the four human emotions. Using Wang Fuzhi’s opinions, this study developed 48 emotional types based on benevolence, justice, courtesy, wisdom and the four human emotions. Then, a possibility that joy, anger,sorrow and pleasure would develop into the good by staying impartial and unbiased was analyz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