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미술전람회 서부(書部)의 제도사적 고찰 (Study on Historic and Institutional System on the Calligraphy Section of the Joseon Arts Exhibiti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1.07
24P 미리보기
조선미술전람회 서부(書部)의 제도사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41호 / 37 ~ 60페이지
    · 저자명 : 김정선

    초록

    1872년 ‘미술’이 서구의 번역어로 등장한 이래, 서예는 교양과 수기라는 종래의 존재 기반을 잃어버리고 미술과 비미술의 경계를 부유했다. 이미 일본 내에서는 고야마 쇼타로(小山正太郞)의 유명한 ‘서는 미술 아니다’(1882년) 논쟁 이후, 1900 년대 초 식산흥업의 정책 아래 미술의 외연에서 배제되었던 서예가 다시 ‘미술’로 전시된 것은 1922년 조선미전에서였다. 미술의 공적 무대에서 사라진 서예가 조선 미전에 재등장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종래 조선 서화가들의 건의에 따라 서예가 최종 채택된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 총독부 입장에서도 조선미전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그들의 존재 기반이었던 서부의 설치는 필연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문화정책의 일환이었던 조선미전의 개설 목적을 고려하면 총독부가 단순히 조선 서화가들의 기득권을 보호하고 그들의 의견에 따라 서부를 설치했다고 단정하기는 힘들다. 총독부가 서부 개설을 감행한 배경에는 조선인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회유하는 것 이외에 서예가 내선융화를 근간으로 한 식민지 정책과 무관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는 당시 총독부가 한문을 동종동문 론(同種同文論)의 근간으로 인식하고 식민지 정책에 적극 활용하고 있었던 점, 서부 출품작품 가운데 메이지천황어제(明治天皇御題), 교육칙어(敎育勅語)를 비롯해 효행, 충성 등 천황제 이데올로기에서 강조했던 유교적 덕목이 다수 확인되는 점, 일본어인 가나(仮名) 서예의 확대 등을 통해서도 뒷받침된다.
    이에 본 소론에서는 종래 다각적으로 논의된 적이 없는 조선미전 서부 개설의 동인을 정치적 맥락에서 재고하고, 이후 공예부 개설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이 “사회교화의 일조(一助)”를 축으로 한 식민정책의 변화와 관련되어 있음을 밝히 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부 개설에서 폐지, 그리고 1932년 공예부의 설치로 이어지는 전 과정을 살펴보고, 특히 서부 폐지와 공예부 개설이 1930년대 초 우가키 가즈시게(宇垣一成) 총독의 새로운 통치 방침을 반영한 결과였다는 점에 주목했 다. 이를 통해 기존에 언급되었던 ‘문화정책의 일환’이라는 일반적인 해석에서 벗어나 조선미전의 정치성을 보다 입체적으로 살펴보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영어초록

    Since the emergence of translated terms on 'the Arts' in western language on 1872, the calligraphy had lost its traditional ground for survival of culture and skill learning, and bounced back and forth between the boundary of arts and non-arts. It was for the calligraphy to exhibit again at the Joseon Arts Exhibition as for the 'arts' which had been excluded from the categories of arts under the policies on production promotion and industry raising in the beginning of 1900s since the famous controversy of Goyama Shotaro, 'the calligraphy is not the arts.(1882)' in Japan. The background of re-appearance for the calligraphy which had disappeared from the official stage of the arts had been interpreted as finally adopted by the recommendations from Jeoseon calligraphers. For the position of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 installation of the calligraphy section which was the existing base for it was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holding of Joseon Arts Exhibition.
    On the other hand, it is hard to decide that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protected the vested rights and installed the calligraphy section for Joeseon calligraphers simply when the objective of establishing Joseon Arts Exhibition in line with the cultural policies is taken into account. The ground for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establish the calligraphy section was to encourage and appease the Joeseon people and it was interpreted as related to the colonial policies based on "Reconciliation between Japan and Joseon" as well. It is backed up by the fact that then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recognized the Chinese character for the root of same-kind-same-text-theory and used it actively for colonial policies, many points of Confucian virtues were found which had been emphasized at the ideologies of the Emperor system out of the works exhibited for calligraphies such as filial duties and loyalties and expansion to Japanese kana calligraphy.
    Therefore, this study will re-consider the motive of establishing calligraphy section in the Joseon Arts Exhibition which had not been discussed diversely in political context and reveal that the serial procedures connected to establishing the craft section was related to the changes on colonial policies on the axis of social edifica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looked into entire processes across establishing and abolishing the calligraphy section and connecting to establishment of craft section on 1932, especially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abolishing of calligraphy section and installing the craft section were to reflect new governing policies of the governor-general, Ugaki-kazusige. It is believed this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look into the political nature of the Joseon Arts Exhibition in multi-direction out of the general interpretation of conventional understanding on 'a part of cultural polic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