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월성북고분군의 변천과 마립간기 6부의 내부 조직 (Transformation of Wolseong North Ancient Tombs and 6 Bu Organization of the Maripgan Period)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4.09
40P 미리보기
월성북고분군의 변천과 마립간기 6부의 내부 조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2024권 / 3호 / 383 ~ 422페이지
    · 저자명 : 장기명

    초록

    이 논문에서는 마립간기 6부의 내부 조직을 진단해 본다는 목적 아래, 월성북고분군을 주된 대상으로 금척리고분군, 전후 시기의 중심 고분군 등을 비교 분석하고 문헌의 연구 성과와도 상호 피드백하여 종합적인 해석을 끌어내고자 하였다. 4~6세기 경주 고총군에서 중점적으로 분석할 대상을 1그룹: 70m급 이상, 2그룹: 50~55m급, 3그룹: 35~45m급으로 설정하였으며, 이 봉토분들은 지방에서 파악되는 최대 규모 등급을 상회하는 차별화된 무덤들이었다.
    월성북고분군에서 고총 군집의 묘역별 형성 과정을 보면, 기존의 북쪽 목곽묘 묘역에서 연속되어 고총들이 자리 잡는 A-1군의 양상과 본래 별다른 묘역이 없던 바깥쪽 습지 경계에 새로이 고총 군집이 들어서는 B 군, C군의 양상으로 구분된다. A-1군, B군, C군은 각기 탁, 피, 한기라는 초기 부에 대응된다고 본다. 4세기 중~후엽경, 6부로 분화되기 전에 최초 3부의 양상으로 월성북고분군에 선제적으로 결집되었던 것이다. 연이어1그룹, 2그룹의 초대형분들과 3그룹 대형분들 위주로 결집되는 A-2군(황남대총 중심)이 분리되는데, 왕경 중심부에서 마립간을 포함한 간급 지위를 보유한 유력자들이 그들만의 공동체의 묘역을 구축했다고 보았다.
    5세기로 넘어가면 내물마립간 가계와 실성마립간 일파의 세력 다툼 속에서 탁, 사탁, 모탁, 본피, 습비, 한기라는 6부 분화가 일단락된다. 고총 현상에서는 사탁부의 장이었던 갈문왕 무덤(마립간릉 3기를 제외한 2 그룹 고총)이 A-2군에서 지속적으로 조영되며, 모탁부의 묘역인 금척리고분군만은 본래 근거지에서 구축되긴 하나 탁, 사탁의 간급 묘역이 추구했던 배치 원리를 그대로 따랐다고 추론된다. 눌지마립간 재위(417~458 년) 동안 축출된 실성마립간 일파를 A-3군 묘역(119호분 일대)으로 따로 떼어 놓는 동시에, 왕위 계승에서 부자 상속이 확립되는 토대를 갖추게 된다. 또 이때부터 탁부와 사탁부가 중심이 된 국정 운영이 본격화되면서나머지 4부의 세력 약화가 초래되었고, 월성북고분군에 구축된 여타 부들의 고총 묘역은 대세적으로 위축될수밖에 없었다. 눌지-자비-소지에 이르는 3대 마립간에 걸쳐, A-4군(봉황대 일군)은 마립간 일족의 묘역으로분화되었으며, 중고기 왕릉들만 구성된 서악동고분군으로 넘어가기 전의 과도기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trace the 6 bu organization of the Maripgan Period. For this purpose, a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was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he Wolseong North Ancient Tombs with the Geumcheok-ri Ancient Tombs and the central tombs constructed in the tim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Wolseong North Ancient Tombs.
    The formation process of Wolseong North Ancient Tombs cluster consiste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A-1 group, in which the high mounded tombs were built continuously nearby the pre-existing wooden chamber burials to the north,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B and C groups, in which new high mounded tombs were built along the outer wetland boundary, where there was no pre-existing burial ground. Groups A-1, B, and C are considered to correspond to the three initial bu (Tak (喙), Pi (彼), Hangi (漢岐)). Before the division into 6 bu around the middle to late 4th century, the initial 3 bu were gathered together in the area of the Wolseong North Ancient Tombs. Subsequently, the A-2 group (centered around Hwangnamdaechong Tomb), which mainly consists of the super-large tombs of Group 1 and Group 2 and the large tombs of Group 3, came to be separated. The reason for this is likely the establishment of a separate burial ground for Gan (干支) status individuals in the center of the capital city.
    Moving forward to the 5th century, the 6 bu divisions of Tak (喙), Satak (沙喙), Motak (岑喙), Bonpi (本彼), Seupbi (斯彼), and Hangi (漢岐) were completed amid the power struggle between the Maripgan groups. The tomb of King Galmun, the head of Satak-bu, was continuously built in the A-2 burial ground. It is inferred that although the tombs of Motak-bu (the Geumcheok-ri Anceint Tombs) continued to be built at the group’s original burial ground, it followed the arrangement principle pursued by the tombs of Tak-bu and Satak-bu. During the reign of Nulji Maripgan (417-458), the ousted Silseong Maripgan faction separated to form A-3 burial ground (in the area of Tomb No. 119), and at the same time, the foundations for the principle of father to son succession for the Silla throne were established.
    Throughout the reign of the three major Maripgans ranging from Nulji to Jabi-Soji, A-4-burial ground (in the area of Bonghwangdae) was seperated to form the burial grounds of the Maripgan cl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