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업지배구조와 주주부의 배분에 관한 연구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Distribution of Shareholder Wealth)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05.12
40P 미리보기
기업지배구조와 주주부의 배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증권학회
    · 수록지 정보 : Asia-Pacific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34권 / 4호 / 149 ~ 188페이지
    · 저자명 : 박광우, 박래수, 황이석

    초록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와 주주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 기업지배구조개선지원센터의 평가를 받는 국내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먼저 기업의 지배구조와 배당정책이 해당기업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후, 기업지배구조와 여타 기업특성들이 어떻게 주주부를 배분하는 결정요인으로 작용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결과, 국내 상장기업들은 기업지배구조가 건전하고 배당수익률이 높을수록 기업가치가 높게 평가되며, 기업지배구조가 좋은 기업일수록 평균적으로 높은 배당수익률을 보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비록 국내자본시장에서는 법적여건의 미비로 투자자보호가 여의치 않지만, 개별기업의 차원에서는 주주보호를 위한 장치가 잘 갖추어지고 지배구조가 좋을수록 주주들에게 나누어주는 경제적 혜택이 크고, 이로 인해 자본시장에서 투자자들로부터 해당기업의 가치가 높게 평가받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업지배구조가 배당수익률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성장기회가 많은 기업일수록, 그리고 대리인문제가 적은 기업일수록 크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는 기업지배구조가 건전한 기업들은 성장(혹은 투자)기회가 많고 대리인문제가 적을수록 높은 배당수익률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시장에게 전달하여 향후 투자재원의 저렴한 조달을 모색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배구조가 좋더라도 성장기회가 적은 기업이라면 굳이 많은 배당을 지급할 유인이 적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기존의 잉여현금가설의 예측과 일치하는 결과로서, 기업지배구조가 나쁜 기업에서 대리인문제가 심각할 경우 배당지급을 많이 함으로써 관련대리인비용을 줄일 수 있지만, 지배구조가 좋은 기업이라면 굳이 비싼 배당지급을 통하지 않더라도 대리인비용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결과는 Bhojraj and Sengupta(2003)와 더불어, 기업지배구조가 좋은 기업들이 왜 시장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지에 대한 또 하나의 논거를 제시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examine one important over-looked area in fin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wealth redistribution to shareholders. We find that firms with sound governance practices are associated with both high firm value and high dividend payments using a set of unique, comprehensive survey data on corporate governance practices of firms listed in the Korea Stock Exchange. This positive effect of good corporate governance on payout policies is further accentuated with firms having greater investment opportunities and low agency costs. This suggests that firms practicing good corporate governance are willing to send out positive signals to the market by paying out higher dividends when they face a great investment opportunities with low agency costs, so that they can achieve the goal of low cost borrowing in the long run.
    The importance of corporate governance reform in enhancing firm value has been stressed by policy makers and academicians around the world in recent years. The majority of the existing studies however have primarily focused on the determinants of corporate governance practic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firm value. For example, Black(2001), Klapper and Love(2003), and Durnev and Kim(2005) use governance indexes obtained from survey data and fin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firm value. However, the corporate governance scoring survey results reflected in theses studies are generally from for-profit organizations such as Credit Lyonnais Securities Asia(CLSA) Score or S&P's Corporate Governance Score. The problem with using these data is that they can be potentially biased because the survey results are likely to reflect the business interests between the rating institutions and their client firms. On the other hand,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KCGS), a not-for-profit institution affiliated with the Korea Stock Exchange, surveys listed firms annually to observe the progress in their corporate governance reforms.
    In the existing literature, only a few studies explore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firms practicing good corporate governance. Among the few studies on this issue, Bhojraj and Sengupta(2003) find that firms with greater institutional ownership and stronger outside board control enjoy lower bond yields and higher ratings on their new bond issues. This suggests that governance mechanisms reduce the cost of debt capital by mitigating agency costs and by reducing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the firm and the lenders. This study extends this line of inquiry by examining the cross-sectional relation between the effectiveness of corporate governance practices and dividend payout policies. We focus our attention on firms' dividend payments instead of share repurchases, since dividends are currently the dominant means of redistributing corporate wealth to shareholders in Korea. Furthermore, stock repurchases are largely used as an instrument against aggressive takeover attempts by controlling shareholders in Korea.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corporate finance literature on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sound corporate governanc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ance rankings and the firms' payout policies. Our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view by La Porta et al.(2000) that insiders at listed Korean firms with poor protection of minority shareholder rights are likely to suffer a lack of incentives to return corporate earnings to shareholders. An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governance practices in determining dividend policies provides us with better insights into the systems that can minimize insiders' expropriation of minority sharehold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