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존재 시장의 역사적 진출사례연구 (A Historical Study on the Discovery of Nonexiste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4.06
20P 미리보기
부존재 시장의 역사적 진출사례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사연구 / 29권 / 2호 / 121 ~ 140페이지
    · 저자명 : 김신

    초록

    부존재 시장의 발견에 성공한다는 것 ― 신화적인 실재물이 사실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한다는 것 ― 은 알려져 있는 시장을 발견하는 것보다도 훨씬 어렵고 힘든 일이었다.
    글로벌관리능력, 글로벌조직능력, 현지국 바다에 대한 광범한 지식, 그리고 남들이 감히 가지지 못한 관철하고자 하는 의사결정력과 판단력을 가지고 가능성을 추구하는 인내심을 가진 자가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부정적 발견자로서의 자격이 있다고 할 수 있었다.
    1791년 콜넷이 발견한 아르고노트는 이후 100여 년 간 동해에 있는 한국에서 가장 가까운 섬으로 세계지도와 해도에 존재하였다. 18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세계지도와 해도에서는 동해상에 아르고노트와 울릉도를 표기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선박들은 항해시의 위험에 대비하였다.
    콜넷이 발견한 아르고노트 섬의 위치는 북위 37도 52분, 동경 129도 53분이었다. 1849년 1월 27일 독도가 발견되고 부터는 서양에서 제작된 세계지도에는 동해에 3개의 섬(한국 쪽에 가까운 순으로 아르고노트, 울릉도, 독도)이 존재하였다. 일본에서는 처음에는 울릉도를 죽도로 지칭하였다가 아르고노트‘현존하지 않는 섬’(nicht vorhanden)을 죽도로 불렀고, 1905년 좌표 상으로 ‘현존하지 않는 섬’을 시마네 현에 편입한 후 죽도로 새로 지명을 만들었던 것이다. 또한 죽도는 독도에서 11㎞ 떨어져 위치한 현존하지 않는 섬이다.
    이와 같은 결론은 역사적 가설과도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존하지 않는 섬’(nicht vorhanden)를 둘러싸고 일본과 러시아, 프랑스, 영국의 움직임은 세계사적인 사례에서도 찾아볼 수가 있다. 미지의 섬인 호주에 대한 병합은 경쟁적인 제국에 대하여 힘을 과시하는 전략적인 가치를 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나 영국 모두 새로 획득한 영토를 재빨리 개발 이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양국의 그러한 병합 동기는 그 영토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가치를 찾으려는 것에 있다기 보다는 미래에 가치 있는 곳으로 증명될지도 모를 지역을 적국이 차지하려 한다는 것을 제압하려던 것에 있었다. 우선적으로는 그곳을 어떻게 차지하는가에만 관심을 두면서 후에 가서야 그곳으로부터 무엇을 얻어낼 것인가를 연구하는 이런 과정에서 호주는 경쟁적인 유럽 제국주의 세력국가 사이에 볼모가 된 것이다. 죽도(nicht vorhanden)의 사례도 호주를 둘러싼 영국, 프랑스, 스페인의 각축과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죽도(nicht vorhanden)와 호주의 비교는 단순한 섬의 거대함과 규모로는 비교될 수 없지만 섬이 가지고 있는 전략적, 지형적 미래자산이라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다. 역사적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호주는 영국에 그리고 조선은 일본에 병합되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Achieving success in the discovery of something that is nonexistent, i.e., verifying that a mythical real entity does not exist in reality, has been a task much more difficult and arduous than discovering a target entity that is known. Armed with tireless energy, organizational skills, a broad knowledge of nautical charts and the sea, and the courage and strength of pursuit that no others even dare having, those who tenaciously pursue the possibilities are the ones that are truly qualified to be called the world’s greatest discoverers of the nonexistent.
    The Argonaut discovered by Collet in 1791 existed in the world maps and nautical charts as an island in the East Sea in close proximity to Korea for over 100 years. On the world maps and nautical charts of the 18th century through the 20th century, the Argonaute Island and Ulleung-do were described in the East Sea and, based on these, ocean liner ships used to prepare for the dangers during voyage.
    The location of the Argonaut Island discovered by Collet (of Great Britain) was 37° 52´ north latitude and 129° 53´ east longitude. On the world maps created in the west since the discovery of Dok-do on January 27, 1849, three islands (in order nearest to Korea: Argonaut, Ulleung-do, Dok-do) existed in the East Sea. In Japan, Ulleung-do was initially referred to as Takeshima and then the Argonaut the “Nonexistent Island” (nicht vorhanden) was referred to as Takeshima; for which, upon incorporating the “Nonexistent Island” into the Shimane Prefecture, the new geographical name of Takeshima was created. In addition, Takeshima is a nonexistent island located 11 km from Dok-do.
    It can be ascertained that such a historical conclusion is related to a historical hypothesis as well. The movements made by Japan, Russia, France and Great Britain surrounding Takeshima(nicht vorhanden) can also be found in cases in the world history. Despite the fact that the annexation of Australia, an uncharted island then, displayed a strategic value for showing off prowess to the competing empires, neither France nor Great Britain gave off any signs of quickly developing and utilizing their newly acquired territory. Rather than asserting that such annexation motive of the two nations lied in the two nations’ efforts to find intrinsic values in the territory, it should be stated that the nations were trying to suppress their enemy nations from taking a territory that may prove to be valuable in the future. First of all, in the course of examining what can be gained from a territory in the future, whilst focusing the attention only on how to acquire such territory, Australia became a hostage between the competing European imperialist powers. It can be argu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case of Takeshima(nicht vorhanden) and the competition among Great Britain, France and Spain surrounding Australia. Albeit that Takeshima(nicht vorhanden) and Australia cannot be compared in terms of the enormity and scale of the two as simple islands, the difference becomes much, much less with respect to the strategic and geographical value of these two islands. As can be seen in the historical results, Australia by Great Britain and Chosun by Japan, the annexations have taken p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