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종실록악보 봉래의(鳳來儀)의 음악적 구성 (The Musical Composition of Bongnaeui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3.09
36P 미리보기
세종실록악보 봉래의(鳳來儀)의 음악적 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27호 / 285 ~ 320페이지
    · 저자명 : 문숙희

    초록

    봉래의는 세종대왕이 친히 창제하였으나, 조선중기에 그 전승이 완전히 끊어졌다. 전승이 끊어진 이 봉래의는 『세종실록악보』에 정간보로 기보되어 있어 복원이 가능하나, 정간보의 리듬해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아직 그 음악적인 모습이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봉래의는 전인자, 여민락, 치화평, 취풍형, 후인자 다섯곡으로 모음곡을 이루고 있는데, 필자는 그 가운데 여민락, 치화평, 취풍형의 정간보 리듬을 해석하여 그 리듬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인자와 후인자의리듬도 찾아 다섯 곡을 모두 복원하여 봉래의가 음악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봉래의의 음악적인 구성은 음악적인 내용을 볼 때 ABCDA'로 표현할 수 있다. 첫 곡과 끝 곡은 같은 음악적인 내용으로 되어 있으나, 나머지 세 곡은 서로다른 음악적인 내용으로 되어 있다. 시작과 끝을 담당하고 있는 전인자와 후인자는 원래 당악정재에 연주되던 것으로서 고취악 장단과 당악의 악조로 되어 있었으나, 리듬만 향악적으로 변주되어 3소박 8박자로 되어 있다. 백성과 즐거움을함께 나누고자 하는 뜻을 담고 있는 여민락은 익숙한 당악 선율과 장단, 2소박8박자의 리듬 그리고 평조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음악적인 내용은 편안하며 즐거운 느낌을 준다. 지극한 화평을 염원하는 뜻을 담고 있는 치화평은 향악의 익숙한 선율과 3소박 4박자의 리듬과 장단 그리고 평조로써 한 글자 한 글자를 또박 또박 전달하는 가사붙임으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음악적인 내용은 정적이며안정된 느낌을 준다. 풍성함과 형통함에 취하고자 하는 뜻을 담고 있는 취풍형은 약간 빠른 템포로서 기본박의 길이가 다른 3⋅2⋅3혼소박 6박자의 리듬 그리고 자연스러운 가사붙임으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음악적인 내용은 동적이며 즐겁게 흥청거리는 느낌을 준다.
    세종대왕은 봉래의라는 하나의 틀 안에 목적이 다른 여민락, 치화평, 취풍형을 넣어 만들었다. 이 세 곡은 같은 가사를 반복하기는 하지만 음악적으로는 각각의 목적에 맞도록 만들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Bongnaeui(鳳來儀) was composed by King Sejong personally, but it ceased to pass down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Since the music of Bongnaeui was written in Jeongganbo(井間譜)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Bongnaeui could be restored. Due to the lack of the rhythmic interpretation of Jeongganbo, however, its restoration has not been completed yet. Bongnaeui is a suite which consists of Jeoninja, Yeomillak, Chihwapyeong, Chwipoonghyeong and Huinja. Among them, the rhythms of Yeomillak, Chihwapyeong, Chwipoonghyeong were discovered by this author. This paper studies the rhythms of Jeoninja and Huinja firstly, and then examines the musical composition of Bongnaeui.
    The musical composition of Bongnaeui can be expressed as ABCDA′.
    The first and the last pieces are similar, but the rests were all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titles. The first and last pieces, Jeoninja and Huinja, were originally played in Dangak Jeongjae. Their Jangdan and mode belonged to Dangak, but their rhythm was changed like Hyangak which is 8/ three smaller beats and eight standard beats. Yeomillak means ‘rejoice together with people’. Yeomillak has the familiar Dangak melody and Jangdan, the rhythm of 8/4 two smaller beats and eight standard beats, Pyeongjo mode and moderato tempo. The musical content gives a comfortable and pleasant impression. Chihwapyeong means ‘utmost peace’. Chihwapyeong has the familiar Hyangak melody and Jangdan, the rhythm of 4/ three smaller beats and four standard beats, Pyeongjo mode and the lyrics that goes one by one. It gives a peaceful impression. Chwipoonghyeong means ‘go well with abundance’. Chwipoonghyeong has the lyrics made naturally and the rhythm of 6/ ♩ six standard beats, four of which consists of three smaller beats and two of which two smaller beats. They give a cheerful impression.
    King Sejong put three different pieces Yeomillak, Chihwapyeong and Chwipoonghyeong into one framework called Bongnaeui. These three pieces of music have the same lyric, but they were mad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urpo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