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도 성산일출봉의 다단계 화산분출 (Multi-stage volcanic eruption of Seongsan Ilchulbong tuff cone, Jeju Island)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4.09
15P 미리보기
제주도 성산일출봉의 다단계 화산분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질학회
    · 수록지 정보 : 지질학회지 / 60권 / 3호 / 245 ~ 259페이지
    · 저자명 : 기진석, 윤우석, 고선영, 손영관, 윤석훈

    초록

    성산일출봉은 천해역에서 상승하는 마그마가 바닷물과 만나 폭발적으로 분출하면서 만들어진 섯치형(Surtseyan) 응회구로서, 오랜 기간 파도에 의해 침식되어 현재의 형태를 갖게 되었다. 기존에는 일회성 분출로 형성된 단성화산체로 알려졌으나, 최근연구결과 응회구 내부의 층리방향, 불연속면, 침식구조, 화학 성분변화 등을 근거로 성산일출봉 분출 이전에 또 다른 화산활동이있었을 것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화산활동의 추가 증거를 찾고 형성과정을 재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성산일출봉 주변 해역의 다중빔 음향측심을 통한 해저지형 분석, 스파커(Sparker) 탄성파 지층탐사 자료에 대한 층서분석, 그리고 해상시추 코어시료에 대한 화학조성 및 연대분석을 실시하였다. 해저지형 분석 결과 성산일출봉에서 동남쪽으로 약 600 m 떨어진 해저에서 원탁형의 돌출지형이 확인되는데, 해상시추를 통해 이곳에서는 응회암, 스코리아, 용암 등 다양한 화산 기원의 암석이 회수되었다.
    이러한 지형의 층서와 지형적 특징은 이것이 성산일출봉보다 먼저 형성된 화산분화구의 잔재이며, 일련의 화산활동 과정에서 마그마 공급 화도가 서쪽으로 이동되면서 현재의 일출봉은 두 개의 중첩된 분화구로 이루어지게 되었음을 지시한다. 이와 같은 해석결과에 기초하여 성산일출봉의 형성 과정을 재구성해 보면 다음과 같다. 지금으로부터 약 6,700년 전 이후에 동일 화도를 통해 일어난 두 번의 연안역 수성 분출로 초기 화산체가 형성되었다(Stage I, II). 점차 초기 분화구 주위에 화산분출물이 두껍게 집적되면서 분화 양상은 수성 분출에서 마그마성 분출로 전이되었으며, 그 결과 분화구 내부에 분석구와 용암연이 발달하였다(Stage III).
    이후 마그마는 북서쪽의 새로 형성된 화도를 따라 상승하여 기존 화산체의 측면에 새로운 응회구가 형성되면서 3개의 화산체가 중첩된 복합 화산체가 지금으로부터 5,000년 전 이전에 완성되었다(Stage IV). 마지막 분출 이후, 외해 쪽에 놓인 화산체의 상당 부분은 파도에 의해 침식되어 버리고 화산체는 축소되어 현재의 성산일출봉으로 남게 되었다(Stage V).

    영어초록

    Seongsan Ilchulbong is a Surtseyan-type tuff cone that was created by explosive interactions of ascending magma and shallow seawater. Its current form is the result of erosion by waves for a long period of time. Previously, it was presumed to be a monogenetic volcano created by a single eruption, but recent research shows that there might have been earlier volcanic activity whose eruptive products have been removed by wave erosion, based on the bed attitude, unconformity or erosion surface, and chemical composition changes in the tuff cone. In order to find additional evidence of these volcanic activities and reconstruct the formation process,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seafloor topography using multibeam echosounder, seismic stratigraphy using Sparker subbottom profiler, and chemical analysis and age dating of the core samples obtained through offshore drilling. A circular and flat terrace-like terrain was found by precise seafloor topographical exploration approximately 600 meters southeast of Seongsan Ilchulbong Peak. Diverse volcanic rocks such as tuff, scoria, and lava were retrieved by offshore drilling. The submarine topography and volcanic stratigraphy of the terrain suggest that the terrain is the remnant of a volcanic crater that formed earlier than the current Seongsan Ilchulbong, and that Ilchulbong comprises two superposed craters, of which the vents migrated westward during the eruption. Base on the above interpretations, the formation of Seongsan Ilchulbong can be reconstructed as follows. First, an earlier volcanic edifice was produced by hydrovolcanic activity through the same vent after about 6,700 years ago (Stage I, II). As thick volcanic products accumulated around the initial vent, the eruption style transitioned from hydrovolcanic to magmatic activity, forming a scoria cone and lava pond inside the crater (Stage III). Afterwards, magma rose through a new conduit to the northwest of the earlier crater and formed a new tuff cone on the flank of the earlier volcanic edifice, forming a composite tuff cone with three overlapping volcanic bodies prior to about 5,000 years ago (Stage IV). After the last eruption, a significant part of the volcanic edifice was removed by wave erosion, resulting in the current Seongsan Ilchulbong (Stage V).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질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