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太祖의 眞殿과 奉業寺 (The Portrait Halls of the Goryeo Founder and Bongupsa Temp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8.09
23P 미리보기
고려시대 太祖의 眞殿과 奉業寺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57호 / 55 ~ 77페이지
    · 저자명 : 김성환

    초록

    고려시대 태조를 모신 眞殿, 즉 태조진전은 그 성격에서나 太祖眞의 형태에서 다양하였다. 개경에는 유교에서의 위패 형태의 신주를 모신 太廟와 도교적인 성격에서 진영(초상)을 모신 景靈殿이 있었다. 태묘와 경령전에서 태조는 不遷之位였다. 또 서경에는 태조의 진영(초상)을 모신 聖容殿이 있었다. 이곳은 태조만 봉안되어 있었는데, 청색의 곤룡포(袞)에 면류관(冕)을 쓴 천자의 복식으로 仍几를 깐 黼座에 앉은 모습이었다. 지방 관아에서도 태조진을 모신 사당이 곳곳에 있었다. 평안도 영유현의 태조영전, 충청도 천안의 태조묘 등이다. 모두 진영(초상)을 모시고 있었다.
    『고려사』에 기록된 바와 같이 태조의 진전사원으로는 개경의 봉은사가 대표적이다. 봉은사는 태조의 원당으로 광종 2년에 창건되어 고려시대 태조신앙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하였다. 태조 王建像을 봉안했던 사찰로 알려져 있다. 이밖에 개경의 대안사·영통사에도 태조진이 봉안 또는 이안되어 있었고, 남경신궐과 개경의 수창궁에도 일시적으로 태조진이 봉안되기도 하였다. 봉은사 이외에 연산 개태사, 기주 봉암사, 죽주 봉업사에도 태조진이 봉안되어 있었고, 태조진을 모신 구역에는 진전이 설치되어 있었다. 개태사의 태조진은 봉은사의 왕건상과 같은 鑄像 또는 塑像의 조각상으로 추측된다.
    봉업사에 봉안되었던 태조진은 진영(초상) 형태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곳에서의 태조진은 광종의 봉업사 중창시기인 광종 14~18년 사이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봉업사에 태조진전이 마련되어 있다고 해서 봉은사와 같이 왕실에서 봉업사 경영에 직접 참여한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그 경영은 죽주의 토착세력인 박기오 계열의 죽산박씨와 죽산안씨 등에 의해 주도되었을 것이고, 문종과 고종 때의 청동으로 제작된 향완·향로·반자 등으로 자료를 통해 볼 때, 왕실의 일정한 후원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신왕조 조선의 건국 후, 고려의 흔적지우기를 위한 작업들이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었다. 왕건상으로 대표되는 태조진전과 관련한 흔적의 삭제, 또는 파괴는 대표적이었다. 이 과정에 봉업사 역시 제외되어 있지 않다. 봉업사가 조선전기 폐사되었음은 이와 관련이 있다. 봉업사의 태조진 역시 이 과정에서 폐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고려시대 태조진을 봉안한 지방의 사찰로 연산 개태사·기주 봉암사·죽주 봉업사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태조의 원당사찰(진전사원)이었던 개경의 봉은사와 그 위격을 비교할 수 없지만, 태조진을 모시고 있는 사찰이라는 점에서 넓은 의미에서 태조의 진전사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개경의 영통사, 대안사 등의 태조진전에 태조진이 봉안되어 있었을지라도 이곳을 태조의 진전사원으로 구분하지 않은 것과 같다. 태조의 진영과 주상, 소상을 모두 포함하여 태조진을 모신 중앙과 지방의 사찰들은 태조의 원당사찰(진전사원)인 봉은사를 중심으로 일정한 시스템에서 연동했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영어초록

    The characteristics and forms of the portrait halls containing the portraits of the founder of the Goryeo dynasty-as well as the portaits themselves-are varied. In Gaegyeong, the Imperial Ancestral Temple(太廟), collected ancestral tablets in the form of Confucian mortuary tablets, while Taoist royal portraits were collected in Gyeongryeong-jeon Shrine(景靈殿). In both locations, the portraits were in the form of immovable mortuary tablets. Also, in Seogyeong or Pyeongyang, the portraits were placed in Seongyong-jeon Shrine(聖容殿). This place enshrined only portrait of the founder shown seated on thrones cut from ceremonial tables(仍几). The founder was dressed in purple robes and wore crowns. In addition, several local ancestral shrines collected the founder's portraits, including Portrait Hall of King Taejo(太祖影殿) in Yeongyu-hyeon, Pyeongan province, the Shrine of King Taejo(太祖廟) in Cheonan, Chungcheong province, and others.
    As recorded in “The history of Goryeo,” Bongensa Temple in Gaegyeong is representative of Buddhist temples containing portraits of the dynasty's founder. Bongensa Temple was established as a temple holding the founders’ portraits as objects of prayer for blessings in the second year of King Gwangjong and played a role as a center for worship of Goryeo’s founder as a religion. It was known as a temple where the statue of the founder Wang Geon(王建像) had been enshrined. In addition, the founders’ portraits were enshrined in Gaegyeong within the temples of Daeansa and Yeongtongsa. Some of the founder's portraits were relocated and temporarily held at Southren Capital New Palace(南京新闕) and the court Suchang-gung in Gaegyeong. In addition to Bongensa Temple, other temples saw these types of portraits enshrined with these walls, including Gaetaesa Temple in Yeonsan, Bongamsa Temple in Giju, and Bongupsa Temple in Jukju. Portrait halls were also established in regions where the founder's portraits had been collected. As with the statue of Wang Geon in Bongensa Temple, clay and bronze statues formed the basis of the collection in the Gaetaesa Temple.
    The portraits enshrined in Bongupsa Temple revolved around the type of royal portrait. It is very possible that the portraits held in this temple were created during the restoration period of Bongupsa Temple in the years 14 to 18 of King Gwangjong. Although the founder's portraits were arranged in this temple, the temple itself was not thought to have participated in the management of the royal portrait room, which contained the images; rather, the management fell to the native authorities of Jukju, such as Park Gi-oh, Juksan Park clan, and Juksan Ahn clan, as well as others. When one uses document sources to examine the bronze incense braziers, burners, gongs, and other items, it is apparent that these royal portrait rooms were maintained through their own support system.
    After the rise of the Joseon dynasty, the new emperor began a campaign to wipe out all traces of the Goryeo dynasty in various fields. The clearing of and destruction of the royal room containing the statue of Wang Geon is just one example of this action. Bongupsa Temple was not spared this treatment either, being destroyed during the campaign. It is possible that the founder's portraits were destroyed during this period as well.
    A number of regional temples have become known for enshrining the portraits of Goryeo's founder. Although these cannot be compared to the character of Bongensa Temple in Gaegyeong with its prayer room centered on the portraits of Goryeo’s founder, all of these temples can be grouped together in a wider sense as having carried the founder's portraits within their walls. Yeongtongsa Temple and Dawansa Temple in Gaegyeong, as well as other temples do not seem to fall under the heading of the main temples known for the founder's portraits, although they might have carried such images. The system of centers and regional temples holding the founder's portraits as well as clay and bronze statues of the founder may possibly been part of an established system centered on Bongensa Temple, which in turn was centered on its prayer room containing the founder's portrai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