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버나드 쇼의 희곡 <피그말리온(Pygmalion)>에 투영된 인공지능(AI) 챗봇(chatbot)의 언어인류학적 고찰 (A Linguistic Anthropological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hatbots and Bernard Shaws Drama Pygmalion)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1.07
20P 미리보기
버나드 쇼의 희곡 &lt;피그말리온(Pygmalion)&gt;에 투영된 인공지능(AI) 챗봇(chatbot)의 언어인류학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3권 / 7호 / 491 ~ 510페이지
    · 저자명 : 박환영

    초록

    인공지능에 기초한 최초의 챗봇이 1966년 만들어졌는데 이름은 일라이자(Eliza)였다. 일라이자(Eliza)는 원래 버나드 쇼의 희곡 작품 <피그말리온>에서 유래하였는데, 작품 속에서 여자 주인공의 이름이 일라이자이다. 작품 속에서 일라이자는 히긴스 교수로부터 영국 상류층 숙녀들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정확한 발음과 말투와 관련한 엄격한 언어교육을 받는다.
    챗봇의 이름이 일라이자라는 것은 재미있는 사실이다. 작품 속에서 일라이자는 체계적인 언어학습을 통하여 언어적으로 재능을 가진 새로운 인물로 바뀌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챗봇도 데이터 베이스(DB)와 딥 러닝(Deep Learning)과 같은 언어학습을 통하여 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언제든지 이용 가능한 대화상대자가 될수도 있다. 그러나 최근에 사회적으로 큰 반향(反響)을 일으켰던 페이스북 메신저를 기반으로 출시한 인공지능(AI) 챗봇인 “이루다”는 특정인을 대상으로 혐오 표현이나 차별언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면서 결국 개발사인 스캐터랩에 의하여 데이터 베이스(DB)와 딥러닝 모델이 폐기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언어인류학적인 관점에서 버나드 쇼의 희곡 작품 <피그말리온>에 내재되어 있는 인공지능 기반 챗봇의 요소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언어와 젠더(gender) 그리고 직접호칭과 사회적 정체성 등핵심적인 두 가지 측면에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일라이자를 대상으로 행하여진 히긴스의언어학습에서 중대한 결점을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어서 영국사회에서 여성들의 속어 및 비속어 사용은 보통 어머니와 하물며 이웃 공동체 구성원들에 의하여 엄격하게 제한되어진다. 그러나 작품 속에서 일라이자는 일상적인 생활문화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이러한 여성언어를 제대로 학습하지 못하고 있다. 두 번째로 직접호칭은 보통 화자및 청자와 관련해서 사회적 지위와 사회적 정체성을 보여준다. 작품 속에서 히긴스는 일라이자를 이름(first name) 으로 호칭하는데 반하여 피커링은 성(姓) 즉 둘리틀 양(Miss Doolitter)으로 호칭한다. 버나드 쇼의 희곡 작품에서일라이자를 호칭하는 방식 속에 일라이자의 사회적 지위와 정체성이 반영되어 있듯이 오늘날 대화를 진행하면서챗봇을 어떻게 호칭할 것인가도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질 수 있다.

    영어초록

    In 1966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hatbot was made and its name was Eliza. The name of Eliza was derived from Bernard Shaws drama so called Pygmalion . In fact, Eliza is the main woman character and Professor Higgins teaches her systematically accurate pronunciation and speech in the drama so she is able to acquire upper class lady s language.
    It is interesting that the first chatbot s name is Eliza. Eliza in the drama shows that learning some language skills suddenly makes someone become a very linguistically talented and new person. Likewise a chatbot becomes linguistically skillful and a useful conversation counterpart through Data Base(DB) and Deep Learning.
    In this context, from the standpoint of linguistic anthropology, I will investigate some similar elemen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hatbots and language acquisition inside Bernard Shaws drama Pygmalion . In particular, two main viewpoints such as language and gender as well as terms of address and social identity are employed for analysis. Firstly, Higgins s language classes for Eliza have crucial weak points in so far that they can not provide proper women s language.
    For example, womens usage of slang or swearing in English society are normally restricted by their mother and even their neighbours, but that is not the case for Eliza in the drama. Secondly, terms of address usually present social status and identity concerning speakers comparing to addressee. In the drama Higgins calls Eliza with her first name while Colonel Pickering addresses her with her last name, Miss Doolittle. Likewise it could be of importance to choose wisely how we address and treat a chatbo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