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도의 봄>과 <시집가는 날>의 의사-로칼리티(Pseudo-locality) 表象 (The Representation of Pseudo-locality on The Spring of Korean Peninsula and The Wedding Da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6.09
24P 미리보기
&lt;반도의 봄&gt;과 &lt;시집가는 날&gt;의 의사-로칼리티(Pseudo-locality) 表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44권 / 3호 / 225 ~ 248페이지
    · 저자명 : 전우형

    초록

    이 논문은 解放을 전후로 이병일이 演出한 두 작품, <반도의 봄>(1941)과 <시집가는 날>(1956) 사이의 反復과 差異를 규명하기 위해 씌었다. 이것은 영화 연출가로서 이병일 고유의 問題意識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은 물론 동시에 解放 이후 韓國映畵史가 겹쳐 쓰고 다시 쓰는 文脈을 짚어내기 위한 課題이다. 두 영화의 공유항은 朝鮮色(또는 조선적 로칼리티)이라고 하는 로칼리티의 서사적 재현과 다른 세계의 가능성을 암시하는 엔딩이다. 전자가 조선영화, 또는 한국영화의 자질에 관한 문제제기라면, 후자는 그것이 가능한 시공간적 조건에 관한 映畵的 表象이다. <반도의 봄>에서 이 양자의 결합은 불가능성이라는 비극적 결말로 치닫는 반면 <시집가는 날>에서 이것은 이미 가능한 것으로 전제된 채 희망적 분위기로 소비된다.
    解放 이전과 이후, 연출가로서 이병일이 집요하게 문제 삼았던 한국영화의 資質로서 로칼리티는 不在하거나 따라서 항상 代替 가능한 기호로서의 의사-로칼리티pseudo-locality라는 연속성을 지니며, 이는 한국영화사에서 解放이 단절이라기보다 연속된 창이자 굴절된 거울임을 확인해 준다.

    영어초록

    As is well known 이병일’s film <시집가는 날(The Wedding Day)> is an adaptation of 오영진’s original scenario written in Japanese 「孟進士邸の慶事(The Festivity of Maeng Family)」 published in the 『國民文學(National Literature)』 during colonial Korea’s 1943. And The Festivity of Maeng Family is written as a colonial accommodation to imperial Japan’s new geopolitical order between Japan and their colonies. Focusing this fact, recently a few studies have argued that The Wedding Day does have contradictory characters in its anti colonialism being derived from colonialism. Even though this might be right, Those arguements seems to be problematic because there could not be found 이병일’s willing and inherent motivation as a director.
    So this essay will establish what is distinctively characteristic of 이병일, who as a director, overwrote and rewrote <반도의 봄(The Spring of Korean Peninsula)>(1941), which was directed before the liberation that transitioned to The Wedding Day after the liberation. This is adjacent to the propositions of the ‘political unconscious’. If political unconscious is revealed during a process to resolve social contradiction symbolically and imaginatively because the inherent social contradiction continues and cannot be determined;notwithstanding the contradiction have been solved autwardly after liberation, 이병일’s productions still appear to depend on the symbolic and the imagination, which is in fact another cinematic contradiction.
    This essay will answer to the following question via such demonstration. As much as the language that instructed our film changed from “조선영화(Chosun Film)” to “한국영화(Korean Film)”, did films after the liberation appropriate the strict meaning of liberation to a complete break, ‘severance’? We can only give a skeptical response. This essay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the absence of the signified/ or its contradictory symbol that Korean film language devised in order to apply and interpret the same phenomenon differen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