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봄·봄」의 OSMU와 스토리텔링 양상 연구 (A Study on OSMU and Storytelling Aspect of 「Bom·Bo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8.12
35P 미리보기
「봄·봄」의 OSMU와 스토리텔링 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글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글 / 79권 / 189 ~ 223페이지
    · 저자명 : 엄미옥

    초록

    본고는 소설 「봄·봄」(1935)이 원형콘텐츠로서 영화 <봄봄>(1969년), TV문학관 <봄봄>(1983년), HDTV문학관 <봄, 봄봄>(2008년)으로 OSMU되면서 이루어지는 스토리텔링의 변화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원소스로서의 이야기와 매체와 장르를 달리하여 재매개되면서 전환된 이야기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주목하였다.
    소설「봄·봄」에서 ‘나’와 장인의 갈등은 역순행적인 사건의 배열로 플롯화되는데, 이는 시간의 이동이 자유로운 소설 매체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봄·봄」은 서술자아가 전경화되어 수용자에게 인물의 억울한 내적독백을 직접 듣는 듯한 현장감을 느끼게 하고 바보스럽고 미숙한 신빙성 없는 서술자에 대해 거리를 두지만 한편으로 연민을 갖도록 만든다.
    영화 <봄봄>은 봉필과 춘삼이의 갈등을 매개하는 서브플롯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부수적 인물의 역할을 부각시킨다. 특히 점순이를 둘러싼 춘삼이와 뭉태의 삼각관계 플롯은 통속적인 멜로드라마적 요소를 강화시킨다. 춘삼의 의식 속에서 이루어지는 환상적 장면의 삽입은 수용자로 하여금 앞으로 진행될 사건을 예상하게 만들고, 영화의 재미를 한 층 배가시킨다.
    HDTV문학관 <봄, 봄봄>은 영상기술의 변화와 시대적인 편차로 인해 소설 「봄봄」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 <봄, 봄봄>은 개방적이고 주체적인 여성인물의 성격화를 통해 여성의 능력과 권위가 신장된 사회와 시대상을 반영하여 TV 드라마의 당대성을 드러낸다. 플롯 차원에서 <봄, 봄봄>은 결말에 덕배가 통장을 병수에게 건네는 서프라이즈를 통해 수용자를 깜짝 놀라게 하면서 덕배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게 만든다. 한편 소설에서는 나와 장인의 갈등이 서술자아의 일방적인 고백적 서술로 스토리텔링되는 반면 영상매체인 영화와 드라마에서 갈등관계는 시각적, 직접적으로 표출된다. 덕배와 병수의 갈등은 얼굴 클로즈업으로 희화적으로 처리되거나 서로 다투는 행동이 미디엄 쇼트로 장면화된다. 이러한 편집은 수용자로 하여금 인물에 대해 친밀감을 갖게 만들면서 영화처럼 멜로드라마적 요소 이외에 희극적인 성격을 형성하는데 기여한다. <봄, 봄봄>은 HDTV 기술인 고화질과 와이드 화면으로 영화와 같은 영상을 연출하기도 한다. 제주도의 평화로운 초원의 전경 쇼트는 목가적이고 낭만적인 이야기 공간을 창출하고, 병수의 숙소와 낡은 벽장 등 사물적 요소가 미장센으로 처리되어 혜은이를 향한 병수의 마음을 시각적으로 은유한다.
    요컨대 영화와 드라마는 소설 「봄봄」의 핵심사건을 차용하면서도 매체와 장르의 특성에 적합한 스토리텔링 전략으로 새로운 서술과 의미를 획득하고 있다. 이러한 스토리텔링 전략에는 시대와 장르적 변이에 따른 매체기법이나 기술, 수용자와의 상호작용, 사회·문화적 맥락 등이 작용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nging aspects of storytelling that the novel 「Bom·Bom」(1935) as one of archetype contents becomes OSMU to a film <BomBom>(1969), TV Drama Theater <BomBom>(1983), HDTV Drama Theater <Bom, BomBom>(2008). To this end, the study focused on the common grounds and differences between story as the One source and story that was remediated by media and genres.
    In the novel 「Bom·Bom」, the conflict between 'I' and father-in-law is plotted as a sequence of reversal events,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novel media with free movement of time. Due to fore-grounding of the narrating self, 「Bom·Bom」makes the audience feel the sense of presence that hears the inexorable inner monologue of the character, making distance to a silly, inexperienced and Unreliable narrator, but on the other hand, it brings sympathy.
    The film <BomBom> actively utilizes the subplot that mediates the conflict between Bongpil and Chunsam or emphasizes the role of ancillary characters. In particular, the triangular relation plot of Chunsam and Mungtae surrounding Jeomsoon strengthens the exoteric melodrama elements. Insertion of fantastic scenes in the consciousness of Chunsam makes the audience expect future events and redoubles fun of the movie.
    HDTV Drama Theater <Bom, BomBom> shows a lot of differences from the novel 「Bom·Bom」 because of the change of imaging technology and the deviation of the time. <Bom, BomBom> exhibits the contemporary nature of TV drama reflecting the society and the times in which the power and authority of women are expanded through characterization of open and subjective female characters. At the plot level, <Bom, BomBom> astonishes the audience through the surprise that Deokbae handed his passbook to Byungsoo at the end, making the audience reconsider perception of Deokbae. Meanwhile, in the novel, conflicts between me and father-in-law are narrated by one-sided confessions of the narrative self and on the other hand, conflicts in the film as visual media and drama are expressed visually and directly. The conflict between Deokbae and Byungsoo is treated as a close-up of their faces, or the act of mutual quarrel is shown as a scene by a medium shot. Such editing contributes to making the audience have intimacy with the person and to forming a comic character in addition to the melodramatic elements like a movie, With a high-definition and wide-screen HDTV technology, <Bom, BomBom> also produces movie-like images. The panoramic shot of the peaceful grassland of Jeju Island creates an idyllic and romantic storytelling space, and object elements and such as lodging and old closet are treated as mise-en-scene, which reveals visual metaphor of Byungsoo's mind to the Hyeeun.
    To sum up, while borrowing core events of novel <BomBom>, film and drama acquire new narratives and meanings through storytelling strategi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nd genres. Media technique and technology, interaction with audience, socio-cultural context, etc. depending on change in times and genre have an influence in this storytelling strate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