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자파 차폐 소재와 전통배자를 활용한 출산 전·후 착용이 지속가능한 임부복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Pre and Postnatal Clothes with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and Traditional Baeja)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0.06
17P 미리보기
전자파 차폐 소재와 전통배자를 활용한 출산 전·후 착용이 지속가능한 임부복 디자인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복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복문화 / 23권 / 2호 / 99 ~ 115페이지
    · 저자명 : 김신혜, 김은정

    초록

    본 연구는 신체가 급변하는 임산부가 쉽게 착용할 수 있고 사이즈 가변성이 높아 임신 기간과 출산 직후에도 착용할 수 있도록 전통 한복인 배자를 모티브로 하였다. 이는 착용하기가 쉽고 활동성이 좋으며 사이즈 가변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통 한복을 모티브로 한 임부복의 디자인 개발을 통해 임산부의 의생활에서 지속가능성을 실천하고 첨단소재와 융합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 및 유물을 통해 조선시대 전통배자와 최근 전자파 차단 소재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디자인을 위한 5단계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을 개발하여 지속가능한 임부복 디자인 5점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1은 닥종이 심감을 넣은 배자를 활용한 디자인으로 칼깃의 형태를 응용하여 앞길에는 구리복합 소재의 전자파 차폐 원단을 심감으로 넣어주어 전자파로부터 복부를 보호하였다. 어떠한 스타일에도 쉽게 레이어드 할 수 있다. 디자인 2는 방령깃의 배자를 활용한 디자인으로 전장후단의 형태로 앞 처짐분에 대한 여유분을 두었다. 은사가 함유된 전자파 차단의 기능성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Pastel violet 색상으로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나타낸다. 디자인 3은 등거리 형태의 배자를 활용한 디자인으로 긴 끈으로 신체에 맞도록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고 전장후단의 형태이다. 가슴과 복부를 넉넉히 감싸주고 스테인리스스틸사가 함유된 전자파 차폐 원단을 사용하여 체형 보완과 신체 보호에 효과적이다. 디자인 4는 넓은 대금형 배자의 깃을 활용한 디자인으로 앞길과 뒷길을 연결하는 긴 벨트로 복부 둘레에 따라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다. 겉감은 울 소재를 사용하였고 안감은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기능성 원단을 사용하여 정장 위에 착용할 수 있어 실용적이다. 디자인 5는 남아용 대금형 깃과 전단후장 형태의 배자를 활용한 디자인이다. 은극세사복합면을 사용하여 전자파 차단 기능성을 주었으며 전통색상 배색인 겉감과 안감의 보색을 응용하였다. 이상과 같이 조선시대 배자의 시대별 특징을 응용하여 기능성, 심미성, 친환경성을 컨셉으로 하는 출산 전·후로 착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임부복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현대적이고 기능성 소재를 사용하여 일상생활과 직장에서도 충분히 착용할 수 있는 전통과 현대가 융합된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전통복식의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Baeja, the sleeveless vest of the hanbok, is not constraining to the body. Therefore it is comfortable and convenient for pregnant women to wear. This study is to develop a Baeja inspired maternity dress during the pre and postnatal period. The value of this study is to facilitate sustainable maternity clothes and discover a new integrated maternity dress with high-tech materials. The previous literature and relics traditional Baeja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latest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were reviewed. The five-stage design process model was developed, and five sustainable maternity dresses were produced. Design 1 was made up of dak paper, simgam. Based on the shape of Kalgit(knife-shaped collar), a copper composite electromagnetic shielding fabric was applied to simgam of apgil to protect the abdomen from electromagnetic waves. It can be easily layered with any kind of style. Design 2 is Baeja of Bangryeonggit. It is a longer front and shorter back length to cover the pregnant stomach.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containing silver yarn was applied, and the pastel violet color is to express a feminine image. Design 3 is Deungguhli-shaped Baeja.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ize using the long string, and this has a longer front and shorter back. It covers the chest and the abdomen up entirely and is made of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containing stainless steel yarns for effective somatotype complementing and body protection. Design 4 is a Daegeum-shaped Baeja gi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ize using the long belt, which connects the front part to the rear part. Wool was applied to the outer fabric, and a piece of functional fabric for shielding from electromagnetic waves was used as a lining for practicality when wearing over a full dress. Design 5 is a Gaegeum-shaped git for boys and Baeja, which has a longer front and shorter back. Silver micro-fiber composite cotton was used to shield from electromagnetic waves, and traditional, complementary colors of the outer fabric and the lining were applied. As stated above, in this study, functional, aesthetical, and eco-friendly sustainable maternity dress designs for women before and after childbirth were developed using periodic characteristics of Baeja of the Joseon Dynasty era.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developing new designs that are traditional and modern at the same time for women to wear in daily life and the workplace using modern and functional materials and discovering the new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clot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복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