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知識人의 正體性 찾기-杨福东의 영상 작업에 나타난 ‘小文人’ 분석 (Identity Pursuit:Yang Fudong’s minor intellectual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8.11
27P 미리보기
知識人의 正體性 찾기-杨福东의 영상 작업에 나타난 ‘小文人’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41호 / 121 ~ 147페이지
    · 저자명 : 오진이

    초록

    1990년대 이래 中國 社會에서 진행된 전방위적이고 급진적인 변화는 중국 知識人에게 자신의 지위와 역할, 존재 의의에 대하여 새롭게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미술가 양푸둥(杨福东, 1971-) 은 개인의 실존적인 위기,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自己反省 등 중국이라는 공간에서 압축적으로 드러나는 현대 사회에서 촉발된 문제의식을 작업의 본령으로 삼아 왔다. 이 논문에서는 古代 시기부터 共和政과 毛澤東 革命時代, 오늘날까지 중국 역사상 존재했던 여러 知識人像을 참조하는 양푸둥의 주요 작품을 분석하고 그가 제시하는 오늘날 지식인의 존재 방식을 고찰하였다. 양푸둥은 중국의 빠른 경제 성장의 神話, 대도시 속 人間 疏外 문제를 초기부터 다루었으며 도시에서 새로 생겨나는 중심 권력과 주변부의 차이에 특히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현실 속 대안으로서 ‘小文人’이라는 人物型을 설정하여 작품 속 주인공으로 내세워 왔다. 그에 따르면, 小文人은 ‘어떤 놀라운 일이나 기념비적인 일을 하지 않는 특별한 사람들’ 이고 ‘傑作을 만들어내지는 않지만 우수한 자질을 지닌’ 존재이다. 이렇게 설정된 주인공들은 현실과의 유리됨, 권태감이 공통적인데, 작가는 이를 극복해야 할 부정적 습성이 아니라 가치를 인정받을 만한 그들만의 존재 방식으로 제시한다. 그의 대표작 <竹林七賢>은 2000년대 중국을 살아가는 젊은이들이 1960~70년대 革命期와 1980년대 改革 開放期, 글로벌화된 2000년대 사회가 요구했던 역할을 수행할 때 벌어지는 상황을 초현실적 분위기로 연출하였다. 이를 통해 20세기 중국 사회가 실험한 여러 知識人 모델들이 사실 近代的 生産性 向上을 목표로 한 동일한 틀의 변주였음을 보이고, 人格의 發現이나 사람다움이 결여된 이러한 모델 대신 목적지 없는 이동과 실존적인 無聊를 선택함으로써 사회에 저항할 수 있다고 제시한다. 이러한 인물형은 타계층에 대한 지식인의 상대적 우월성을 포기한다는 점에서 관습적인 엘리트 이미지를 거부한다는 의의가 있으며, 非主流型에서 발견할 수 있는 개인의 人格發現을 국가와 사회가 주도하는 集團主義의 遺産을 극복하는 길로서 긍정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렇듯 현실적 필요성에 의해서 과거의 경험을 선택적으로 평가한다는 점에서 양푸둥이 과거를 바라보는 시각은 창조적이고 생산적인 문화행위, 성찰적 노스탤지어의 한 예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Since the 1990s, the total directional and radical changes in the Chinese society have raised the need for a new approach to Chinese intellectuals in terms of their status, role, and existence.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artist Yang Fudong (杨福东, 1971-), who has made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raised in the modern society which is manifested extensively in the space of China such as the existential crisis of the individual and self-reflection to overcome it. In this paper, Yang Fudong’s major works, which constantly evoke various knowledge developments that existed in Chinese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Republic, the Mao Zedong revolution era, and to this day, were analyzed, and further examined the way of Yang Fudong has presented the artist’s existence method as an intellectual.
    Yang Fudong, from the beginning, coped with the myth of China’s rapid economic growth as well as the problem of human alienation in the metropolis,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wly emerging central power and the periphery. Furthermore, as an alternative in this reality, he set up a specific character type called ‘minor intellectuals (小文人),’ and introduced them as the protagonist of video work. According to him, small intellectuals are ‘special people who do not do any surprise or monumental work’ and ‘do not make masterpieces but have excellent qualities.’ The main characters set as small intellectuals are liberated from reality and common sense of malaise, and the artist suggests not only negative habits to overcome but also their own way of being worthy of recognition. His masterpiece, <Seven Intellectuals in Bamboo Forest (竹林七賢)> has presented a surrealistic atmosphere of the phenomenon that occurs when young people living in China in the 2000s play a role that young intellectuals demanded in the revolutionary period of the 1960s and 1970s. This shows that various intellectual models experimented by Chinese society in the 20th century were actually variations of the same framework aimed at improving modern productivity .Instead of a social model lacking personality or human-likeness, he suggests that they can resist the society by choosing the movement that has no destination and existential tedium. This type of person has the meaning of refusing the customary elite image in that it relinquishes the relative superiority of the intellectuals to the other strata, and the legacy of collectivism led by the state and the society as a way to overcome the problem. Yang Fudong’s work shows the background of the concrete situation of modern Chinese society ,but the theme consciousness sharpens the universal inter-dynamic relationship of modern society which is opposed to the social goal and the inner qualities of the individual. Yang Fudong’s view of the past can be evaluated as an example of nostalgia and reflection as a creative and productive cultural act in that its electively evaluates the past experience by such a practical necess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