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熱河日記』 黃敎 관련 서술을 통해 본 박지원의 淸朝 인식 (Park Ji-won’s view on Qing dynasty through narrations about Tibetan Buddhism in Yolha Ilki)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8.06
29P 미리보기
『熱河日記』 黃敎 관련 서술을 통해 본 박지원의 淸朝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65호 / 145 ~ 173페이지
    · 저자명 : 남호현

    초록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에는 티베트 불교의 한 분파인 황교와, 황교의 정신적 지주이자 티베트 불교 사회의 우두머리인 판첸라마[班禪喇嘛]에 대한 서술이 다수 존재한다. 『열하일기』 황교 관련 서술은 황교만을 집중적으로 다룬 「황교문답」과 「반선시말」, 「찰십륜포」뿐만 아니라, 청나라가 주도하던 당시의 국제정세를 전망한 「심세편」이나 「행재잡록」 등과 같은 여러 편에서도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박지원이 ‘황교’를 청나라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 자신의 국제정세 인식을 드러내는 중요한 ‘실마리’로 삼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그런데 해당 서술에서 박지원은 정작 황교에 대한 정치한 분석을 시도하기보다는, 異端인 황교를 숭배하는 청나라 지배층과 이러한 풍조를 조장하는 황제에 대한 비판의식을 보다 강하게 드러낸다. 이러한 사실은 박지원이 황교를 바탕으로 청나라의 夷狄性을 확인하려 하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박지원은 자신이 전망하는 국제정세를 언급할 때면 반복적으로 황교와 티베트 세력의 위협을 우려하는 청나라 조정의 모습을 강조하는데, 이를 통해 우리는 박지원 또한 ‘영고탑회귀설’이 횡행할 당시부터 이어져 온 조선후기 조선인들의 ‘불안한’ 국제정세 인식을 여전히 공유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열하일기』 황교 관련 서술은 淸朝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 박지원의 국제정세 인식, 나아가 그가 살았던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세계인식을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열하일기』 전반의 주제의식을 살펴보는 데에도 주요한 실마리가 된다.

    영어초록

    Park Ji-won, a leading figure in the late Joseon's literary and intellectual world, mentioned in his masterpiece travelogue Yolha Ilki 熱河日記 (A diary of Yolha, or Rehe) Gelug (黃敎), one of the factions of the Tibetan Buddhism, and its leader Panchen Lama. In describing them, Park aimed more at expressing his view on Qing dynasty and the world, than analyzing either Gelug or the Tibet Buddhism. For Park, Qianlong Emperor who bowed his head to Lama, the leader of a barbarian religion, deserved to be seen as another barbarian. Moreover, the fact that Qing dynasty offered to Lama a "golden palace" (Tashilhunpo) in Rehe, Park suggested, demonstrated that the court of Qing feared Tibet and the world of the Tibetan Buddhism. His viewpoint is considerably similar to a belief that has been widely shared by the intellectuals of 17th century Joseon, who believed that Qing was destined to collapse. For this reason, a descriptions about Gelug and Panchen Lama in Yolha Ilki are the core element for understanding overall Yolha Ilki's sense of subject and Park Ji-won's ideological found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