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기(緣起)는 마음과학의 패러다임으로 볼 수 있는가? (Can Dependent-arising(paṭiccasamuppāda) Be the Paradigm of Mind Scienc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7.12
30P 미리보기
연기(緣起)는 마음과학의 패러다임으로 볼 수 있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81호 / 279 ~ 308페이지
    · 저자명 : 현남규

    초록

    이 논문에서는 과학철학자들이나 심리철학자들이 물질과 마음을 실체로 보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들이 제기된다고 보고 그 해법을 불교철학에서 찾으려 했다. 우선 과학혁명의 내용을 재조명하고 나서, 이것을 불교사상에 적용하여 불교철학 체계를 과학 용어를 사용하여 새롭게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뉴튼이 17세기 서양 과학혁명을 완성했다는 것과 같이 석가모니는 기원전 5세기경에 ‘마음과학혁명’을 이룩했다고 하였다. 그리고 ‘뉴튼역학 패러다임’에 따라 이루어진 ‘정상과학’의 개념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무상․고․무아․공․연기의 패러다임’을 토대로 하여 지난 2,500여 년간에 이룩한 불교의 교학과 수행의 발전은 ‘정상마음과학’으로 해석하였다. 과학철학․심리철학․불교철학에서 제기된 난해한 문제들이 무엇인지 명시한 후에, 그 해법으로 생각되는 불교철학의 기본 개념들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논의하였다.
    아비담마에서는 ‘수행자가 아라한이 되게 되면 번뇌 망상이 영원히 일어나지 않는다’고 하기 때문에 아라한의 ‘관측’에는 이론이 하나도 적재됨이 없거나 최소한의 이론만이 적재된다고 함으로써 ‘관측의 이론 적재성’ 문제의 해법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과학혁명은 계속해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과학에서 진리를 말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는 ‘마음과학혁명은 단 한 번만 일어났다’고 함으로써 그 해법을 탐구하였다. 심리철학에서 제기되는 ‘물리적인 세계에서 마음이 어떻게 인과력을 발휘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아비담마에서는 ‘눈의 감성’은 눈의 알음알이(안식)의 물질적인 토대와 문의 역할을 하며, 마음은 물질의 집합체인 깔라빠의 형태로 끊임없이 물질을 생성한다고 기술하기 때문에 몸과 마음이 인과관계에 있다고 함으로써 그 해법을 모색하였다. ‘물리적인 세계에서 의식과 같은 것이 어떻게 존재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아비담마에서는 물질과 마음이 찰나에 생멸하고 있으며, 89 (또는 121) 가지 마음이 양자화 되어 있다는 논의로부터 그 해법을 탐구하였다.
    그리고 ‘수미산 등 9산 8해가 없는 불교 우주관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가?’ 하는 문제는 그 해법이 간단치 않다. 무상․고․무아․공․연기라는 패러다임을 전제하였을 때에 현대과학에서 밝혀진 내용들 중에서 어떤 것들이 일관되게 이것들과 잘 부합하는 것인지를 먼저 확인하였다. 그 뜻은 각각 다르나 비독립적이면서 서로 연관된 개념들임을 고려하여 ‘무상․고․무아․공․연기’라는 용어들 대신에 ‘연기’를 대표적으로 선택하였고, ‘정상마음과학’ 대신에 ‘마음과학’이라고 개칭했다. 만약 ‘연기(緣起)라는 마음과학의 패러다임으로 현대과학의 업적들을 설명할 수 있는가?’하는 물음에 대한 답이 ‘그렇다’라고 할 수 있다면, 현대과학의 성과들을 마음과학의 물질관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조건이 될 수 있다고 제시했다.

    영어초록

    Sakyamuni was enlightened after performing extreme ascetic spiritual practices. He is considered to have accomplished a scientific revolution of the mind. His philosophy and practices are based on those such as dependent-arising, impermanence, dissatisfaction, selflessness, and emptiness.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Buddhist teaching and practices has been thought of as a “normal science of mind.” Hence, his philosophy hints at new approaches to find the solutions to difficult problems.
    The objectivity of empirical knowledge cannot be guaranteed because of “the theory-ladenness of observation.” However, when the performer becomes arahant in abhidhamma, it is possible to be interpreted as observations that do not load the theory. The next problem is that the truth of science is questionable because scientific knowledge tends to change. However, it can be concluded that, since Shakyamuni achieved the scientific revolution of mind only once, the problem of the invariance of the truth is to also be discussed in mind science. In the philosophy of mind, the mind-body problem and the problem of consciousness are two difficult problems to solve.
    The fact that eye-sensitivity lies in the sensory receptacle of the eye and that kalapas are produced by the mind are both mentioned in abhidhamma. These ideas may help to solve the mind-body problem. In abhidhamma, it is discussed that a person’s consciousness arises and dissolves at a rate of more than a thousand billion times per eye movement. These facts may offer some clue to solving the problem of consciousness. The last issue I discuss is the problem inherent to ancient Buddhist cosmology. That is, at one time, people believed in a flat universe with Mount Meru at the center. We cannot accept this cosmology anymore. Instead, a new concept of matter is required in mind sc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