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공선택론적 관점에서 본 부산의 지역주의와 공천 (The Regionalism of Busan and the Nomination of the Predominant Party -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blic Choice Theo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7.05
28P 미리보기
공공선택론적 관점에서 본 부산의 지역주의와 공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18권 / 2호 / 169 ~ 196페이지
    · 저자명 : 이정호

    초록

    이 연구는 지난 30년 가까운 세월 동안 부산의 정치를 지배해 온 지역주의의 메커니즘을 공공선택이론의 관점에서 탐구한다. 기존의 지역주의 연구들이 투표행위자에 초점을 맞춘 미시적 수준에서의 분석에 집중했던 것과는 달리, 본 연구는 공천을 중심으로 한 정당 정치의 수준에서 새롭게 분석하였다. 즉 지역의 지배정당과 지도자가 그 지역주의를 온존시키기 위해 공천에서 구사하는 전략적 선택을 공공선택이론의 상호의존모델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지배정당의 공천권자가 현역의원들의 공천 물갈이의 폭을 결정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두 가지의 정치적 비용함수와 비용곡선을 도출하였다. 하나는, 공천에서 탈락하는 현역의원들의 조직적이고 집단적인 반발에 따르는 정치적 비용이다. 이 정치적 비용은 탈락하는 현역의원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커지게 된다. 다른 하나는, 유권자들의 반발로 인해 발생하는 정치적 비용이다. 지역주의로 인해 공천이 곧 당선으로 이어지는 지역에서 ‘묻지마 지지’에 안주해서 식상한 기존 정치인들을 줄곧 공천하면서 기득권에 안주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유권자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갈이의 폭이 적으면 적을수록 유권자들의 반발로 인한 정치적 비용은 커지게 된다.
    지역지배정당의 공천권자가 직면하는 두 가지의 정치적 비용함수는 사실상 상반된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일정한 폭의 공천 물갈이를 통해 새로운 인물들을 수혈함으로써 변화를 바라는 유권자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한편, 지나치게 큰 폭의 물갈이로 인한 공천 탈락자들의 집단적인 반발과 저항도 피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 두 가지의 상반된 정치적 비용은 공천권자가 선거의 승리를 위해 고려해야 할 핵심적인 사안이 아닐 수 없다. 공공선택이론의 상호의존모델은 두 비용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공천 물갈이의 폭이 결정될 것임을 보여주고 있는 바, 역대 총선에서의 공천 물갈이는 대체로 절반 가까이에서 결정되어왔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지적하고 있다.
    또한 공천이 곧 당선인 지역에 공천을 신청하는 정치인들의 행위와 선택을 구속하는 구조적 조건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탐구하였다. 그리하여 지역지배정당의 ‘공천이 곧 당선’인 독점적인 지역주의 정치지형에서 공천은 ‘지대’이며, 공천을 받고자 하는 정치인들의 선택과 행위를 ‘지대추구’의 관점에서 그 함의를 분석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analyze the mechanism of regionalism which has dominated the elections of Busan for a long time.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ategic considerations of the party leader’s decision making in the nomination for the general elections. For that, this study figures out the leader’s cost function which is suggested by the public choice theory. In Korean electoral competition, especially in the region where the party predominates, the party nomination is quite an essential task to the party leader. Through the party nomination, the leaders have pursued to reshuffle certain portion of incumbent politicians and to introduce new faces to the voters of the traditional strongholds.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oo many reshuffled incumbent politicians may cause organized rebellion. It may lead them to form another competitive political party. In that situation, the result of the election is quite uncertain. Therefore the party leaders have to strategically decide how many incumbents to reshuffle.
    And it also analyses how the leader’s considerations work as a structural condition to those incumbent National Assembly members who try to get the party’s nomination for re-election. To the incumbent politicians of the support base region, the party nomination is vital to his/her political fortune. Without the party nomination, the chance to win the election is almost zero in that region. Therefore, those incumbent politicians have no choice but to assure the nomination by showing their loyalty to the leader who has the power to grant the nomination.
    Thus, winning the predominant party’s nomination, which has directly connected to the victory in the election, has been a (political) rent in the public choice perspective. But the problem to the incumbents is that, almost half of them have failed to get nomination of the region’s predominant party. To the incumbents, it has worked as an structural constraint in their political lives. Their political survival probabilities have been around 50%. And the power of nomination has been under the hand of the party leader(s). It is quite clear that, in order to survive under the regionalistic political condition, the incumbents had to be loyal to the leader. Even if it meant that they turn away the region’s interest, the incumbents had to follow the party leader’s order or interest. So, the real master of the region has been the party leader not the vo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