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철학치료의 관점에서 본 『주역선해(周易禪解)』 (Zhouyichanjie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ical therap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4.12
24P 미리보기
철학치료의 관점에서 본 『주역선해(周易禪解)』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20호 / 251 ~ 274페이지
    · 저자명 : 방인, 추나진

    초록

    『주역선해』는 명말청초 선승(禪僧) 우익(藕益) 지욱(智旭 1599-1655)이 『주역』을 선불교적인 관점에서 저술한 역서(易書)이다. 지욱은 『주역선해』를 저술하여 유교경전으로 자리매김해 온 『주역』을 선불교적 관점으로 재해석하여 유불회통의 관점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욱은 유교와 불교 사이의 사상적 대립을 극복하기 위해 해체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해체적 관점이란 오랜 경전 해석사를 통해 유교경전으로 자리매김해온 『주역』을 유교적 맥락에서 떼어놓으려는 탈맥락화(脫脈絡化)의 관점을 의미한다. 만약 유교와 불교의 두 전통에서 지향하는 바의 윤리적 이념이 서로 일치한다면, 『주역』이라는 문헌의 역사적 맥락에서도 자유로워질 수 있다는 관점을 지욱은 취하고 있다. 탈맥락화가 이루어진 다음에 지욱은 『주역』을 불교적 맥락 속에 배치시켜 다시 이해함으로써 재맥락화(再脈絡化)를 시도한다. 탈맥락화와 재맥락화는 『주역』이라는 문헌을 유불회통의 도구로 쓰기 위한 지욱의 전략을 드러낸다. 그리고 『주역』에 내포된 변화의 논리를 적용하여 한계상황에 직면해 있는 내담자에게 궁극의 초월적 자아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주역선해』의 가르침은 철학치료와 서로 만나고 있다. 철학치료적 관점을 『주역선해』에 적용해 보자면, 현실의 고뇌와 좌절이라는 한계상황에 처해있는 내담자에게 『주역선해』에 담겨있는 가르침을 통해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궁극적으로 내면적 자아실현을 위한 깨달음의 길로 인도하려는 것이다. 『주역선해』에서 드러난 지욱의 관점은 철학치료의 성립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지는 않지만 문제 상황에 따른 변화 가능성을 제시하여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다. 따라서 『주역선해』의 관점을 철학치료에 적용시켜 보는 것은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Zhouyichanjie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ical therapy. Philosophical therapy is the field of practical philosophy which helps the clients faced with the existential problems to search for meaningful solution. This book is very characteristic in that it interprets the Zhouyi, the one of the Confucian Classics in the light of Chan Buddhism. The author, Zhixu who is the Buddhist Chan Master of the late Ming and Ching period wants to use the Zhouyi as the means of converting the Confucian scholars to Buddhist faith. In order to persuade the Confucian scholar who regards the Zhouyi as the Confucian Classic, it is necessary to take the deconstructive strategy. In other words, the context in which the Zhouyi has been understood throughout the exegetic tradition of Confucianism must be intentionally removed and dismantled. After he separates the Zhouyi from the Confucian context, he proceeds to recontextualize the Zhouyi into the framework of Chan Buddhism. In the context of Chan Buddhism, the final goal of meditation practice is to attain the Enlightenment. The purpose of philosophical therapy is none other than the Buddhist ideal of Enlightenment. In order to draw the meaning of philosophical therapy from the Zhouyi, it is necessary to hypothesize that the reader should be the clien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The final goal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s to guide the clients confronted with the pain and frustration to find the path of healing by way of discovering the meaning of life in his inner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