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탐라십경과 탐라순력도를 통해 본 제주 승경의 전통 (A Study on the Traditionary Famous Scenaries of Jeju-island through T’amna-Sipkyung and T’amna-Sullyŏkto)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09.08
14P 미리보기
탐라십경과 탐라순력도를 통해 본 제주 승경의 전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경학회지 / 37권 / 3호 / 91 ~ 104페이지
    · 저자명 : 노재현, 신병철, 한상엽

    초록

    「탐라십경도」와 「탐라순력도」에 표현된 경관내용과 그 의미를 파악하여 현재 제주의 대표적 전통경관으로 인식되고 있는 영주십이경과의 관련성 및 변천과정을 밝힘으로써 제주 승경의 정체성과 전통을 조명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주 집경(集景)의 시원이 되는 탐라십경 중 백록담과 영실은 제주 신화 형성의 장(場)이자 상징체이며 해안에 포진된 조천진, 서귀진, 명월진은 강역 사수의 요충지로서 역사문화성을 함축한다. 그리고 성산 일출봉과 산방산, 취병담, 천제연폭포는 지금도 대표적인 제주 경승이자 영주십이경으로 자리잡고 있다. 한편, 탐라순력도에서 보이는 제주마를 비롯 감귤 진상과 관련된 5장의 봉진 그림 속에 담겨진 ‘방어’와 ‘조정 진상’은 정치적 색채가 강한 제주 풍물경관이다. 특히 ‘고원방고’나 ‘귤림풍악’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감귤림을 배경으로 한 풍류’나 ‘산장구마’나 ‘교래대협’ 등에서 볼 수 있는 ‘방목된 제주마와 수렵생활’ 등은 제주 고유의 풍물상으로 꾸준히 전승되었다. 탐라십경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영주십이경은 이형상목사의 순력회랑에서 벗어난 백록담과 영곡을 배제한다면 ‘성산일출’의 성산, ‘백록만설’의 백록담, ‘영실기암’의 영곡, ‘산방굴사’의 산방, ‘용연야범’의 취병담 그리고 ‘서진노성’의 서귀소 등 총 6개 경승이다. 그밖에 탐라순력도의 ‘우도점마’와 ‘산장구마’ 등을 통해 영주십이경의 제 10경인 ‘고수목마’의 경관이미지가 고스란히 표현되고 있다. 또한, 탐라십경의 10개 경승은 순력회랑에서 배제된 백록담과 영곡을 배제하고는 모두 탐라순력도에 직간접적으로 집중 조명되고 있다.
    탐라십경과 탐라순력도에서 공히 강조되고 있는 공간 및 장소 그리고 경물은 제주의 위정자 등 선인들에 의해 꾸준히 전승되는 가운데 첨삭과정(添削過程)을 거쳐 오늘의 영주십이경으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영주십이경은 제주의 아름다운 경관에 대한 탐구와 향토애에 대한 시적 표현을 빌려 오랜 절차탁마(切磋琢磨)의 과정 속에서 이루어진 유산경관이자 전통경관이 아닐 수 없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look at the identity of the traditional famous sceneries of Jeju Island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eoung Ju-Sipikyung(瀛州十二景)',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beautiful scenes of Jeju Island, and two paintings ‘T’amna-Sipkyungtdo(耽羅十景圖)' and ‘T’amna-Sullyŏkto(耽羅巡歷圖)' by a grasp of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these two painting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e ‘T’amna-Sipkyung', which is the origin of today’s 12 beautiful sceneries of Jeju Island, Baekrokdam and Youngsil are both symbolic places and the backdrops against which Jeju’s myths were formed. Jocheonjin, Seogwijin and Myoungwoljin, located near the seashores, are strategic footholds in protecting the territory of the island and connotatively contain its culture and history. Seongsan Ilchulbong, Sanbangsan, Chwibyeongdam and Cheonjeyeon Pokpo are not only the quintessentially beautiful scenes of Jeju but also belong to ‘YeoungJu-Sipikyung'. And ‘T’amna-Sullyŏkto', which describes the Jeju horses and tangerines that were presented to the king as tribute, offers scenic elements with a strong political tone and is related to the five scene of ‘T’amna-Sullyŏkto', showing that ‘defense' and ‘tribute' are motives in choosing the sceneries of people’s daily lives here.
    Jeju’s daily scenes in particular have been continuously transmitted: ‘Idyllic lives with the background of a tangerine orchard' are shown in ‘Kowŏn Panggo’ and ‘Kyullim P'ungak’, and Jeju horses grazing on pastures or being ridden in hunting trips are presented in ‘Sanjang Kuma’ and ‘Kyorae Taeryŏp’. Besides Baekrokdam and Youngsil, which do not belong to Sunyeok(巡歷) corridor of minister Lee Hyoungsang, ‘Yeoung Ju-Sipikyung', directly related to ‘T’amna-Sipkyung', has six beautiful sceneries: Seongsan of Seongsan Ilchulbong, Baekrokdam of Baekrokmanseol, Younggok of Youngsilgiam, Sanbang of Sanbanggulsa Chwibyeongdam of Yongyeonyabeom and Seogwiso of Seojinnoseong.
    The image of ‘Gosumokma’, the tenth landscape of ‘Yeoung Ju-Sipikyung’, was expressed as it is, through ‘Udojeomma' and ‘Sanjangguma'. The ten beautiful sceneries of ‘T’amna-Sipkyung’ were also especially described in ‘T’amna-Sullyŏkto’, besides Baekrokdam and Youngsil, which do not belong to Sunyeok corridor.
    As the places and landscapes emphasized on ‘T’amna-Sipkyungto’ and ‘T’amna-Sullyŏkto’ in common have been transmitted by the politicians and ancestors of Jeju Island, they have become established as today’s ‘Yeoung Ju-Sipikyung’, passing through correction processes. When considering this process of development, ‘Yeoung Ju-Sipikyung’ are worthy of heritage and traditional landscapes accomplished in a long difficult period based on investigation into beautiful Jeju Island and the love of the island people for their ho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