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셜 맥루언의 관점에서 본 정면적 카메라 쇼트의 의미 (Significance of Frontal Camera Shot on Marshall McLuhan’s Media Theory)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0.09
11P 미리보기
마셜 맥루언의 관점에서 본 정면적 카메라 쇼트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 21권 / 64호 / 45 ~ 55페이지
    · 저자명 : 이용수

    초록

    영화의 카메라가 피사체를 정면으로 잡는 쇼트들은 미학적 측면에서 두드러져 보인다. 그러나 이것이 단순히 미학적인 독특함으로서만 그칠 수는 없다. 지각된 차이는 언제나 상징적 사고를 동반한다. 이런 전제 위에서 보면, 정면적 카메라 쇼트는 언제나 어느 정도의 서스펜스를 함의한다. 본고의 특이성은 이 내용적 서스펜스의 효과를 모든 기술결정론의 대부라고 할 수 있는 마셜 맥루언의 미디어 이론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는 점일 것이다.
    맥루언의 미디어 이론을 단순히 기술결정론적 이론이라고 보는 것은 성급하다. 그는 단순히 미디어를 내용과 형식으로 구분한 후 내용 분석을 타파하자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형식과 내용을 엄밀히 구별할 수 없음을 전제하고 미디어를 기술 형식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카메라 쇼트의 의미적 효과를 맥루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은 생소하기는 하지만 가치 있는 시도라고 생각한다.
    정면적 카메라의 정태성으로 유발되는 서스펜스는 일반적으로 서사해석의 몰입적 긴장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맥루언의 관점에서 보면 이는 해석의 관성을 끊는, 판단유보를 의미하는 관여의 단초가 된다. 이는, 맥루언의 미래에 대한 예상처럼, 현대의 스토리가 점점 열린 구조를 가지는 트렌드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 대한 근거 중의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Shots that take objects with the frontal angle look distinct in an aesthetic aspect. However, it does not stay on the aesthetic uniqueness, because all perceptions must be done on the symbolic status. On this premise, frontal camera shots always have suspense to an extent. This paper has uniqueness in that the suspense issue in meaning is dealt with Marshall McLuhan’s idea, which is evaluated as the core of all technical determinism.
    Simply to assert McLuhan’s idea as technical determinism is very hasty. To discreet form and content, and then to stop content analytics is not his claim. He premises that form and content can be separated, and analyzes media on the technical forms. So, it can be a valuable try that meaning of camera shots is lighted on McLuhan’ idea.
    Suspenses caused by the stationary feature of frontal camera are possibly considered as immersive tension for narrative interpretation. However, on McLuhan’s idea, it can be a break for the flow of 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the trigger for involvement of judgement deferment. We can see this as a clue for the trend that contemporary stories are gradually going toward having open structures, like McLuhan’s expectation about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러스트레이션 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