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물학적 사회 개념으로 본 통도사의 건축 사상 (Architectural Ideas of Tongdo Temple in the View of Biological Social Concept)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9.06
34P 미리보기
생물학적 사회 개념으로 본 통도사의 건축 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22권 / 2호 / 139 ~ 172페이지
    · 저자명 : 문정필

    초록

    생태 중심의 사회학적 논의는 산업화 과정에서 비롯된 부작용에 건축과 도시화로 인한 자연환경의 황폐화라는 위기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위기에 대한 대안 중 하나는 동아시아 전통사상에 내제된 자연관적 가치관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즉, 유⋅불⋅선 사상의 가르침을 배경으로 구현된 전통건축을 통해 우리의 자연관을 논의하고 생태 중심적 사고를확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통도사에 내제된 생태중심 사고를 도출해 자연환경과 연속할 수 있는 사회 생태학적 건축학을 사상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해석적 방법으로는 통도사에 생물학적 용어인 진gene, 밈meme, 딤deme의 요소를 접근시켜 통섭한다. 진은 물질을 중심으로 한 진화적 가치를, 밈은정신을 중심으로 한 문화적 가치를, 딤은 군집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가치를 접근시켜 해석하고자 한다.
    사회학적 건축에 생물학적 요소를 더하여 논의고자 하는 것은 인간이다른 생물과 평등함을 전제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의식은 건축행위를 근원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사고를 인식하기 위함이다. 또한, 통도사의 역사, 전통, 종교, 사회에 내제된 생물학적 가치를 추출해 낸다면, 무분별하게 발전하고 있는 건축과 도시에 근원적이면서 윤리적이고 적극적인생태 중심적 사고를 수용할 사회 생물학적 건축사상을 제시할 수 있을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통도사를 통한 사회 생물학적 건축학의 제시는 인간사회를 생태 중심적 사고에 포함시킴으로 모든 생물이 평등한 환경에서 공존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할 건축적 방법론으로 작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Eco-centric sociological discussion has started from sense of crisis which is caused by devastated natural environment by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ich originated in the West. One among many alternatives is the establishment of the view of nature which inherent in the traditional East Asian thought. From this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our view of nature and establish eco-centric thought through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which is embodied in the philosophy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Zen thoughts.
    This study aims to draw eco-centric thought which inherent in Tongdo temple and discuss the socio-ecological architecture that can be coexist with nature. As an interpretative method, the biological terms; Gene, Meme and Deme are used to integrate with Tongdo temple.
    To discuss about sociological architecture along with biological factors is in order to premise that human beings are equal to other living things.
    This consciousness is intended to recognize the thought that can realize architectural behavior fundamentally. In addition, if the biological value of Tongdo temple is extracted from its history, tradition, religion and society,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present social and biological architectural ideas to accommodate the underlying, ethical and active ecological thinking to buildings and cities which are developing indiscreetly.
    Therefore, the presentation of social and biological architecture through Tongdo temple could work as architectural methodology that would make aware all living things are coexist in an equal environment by including human society in ecological-centered thin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