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西京別曲>의 창작배경을 통해 본 新해석 (New interpretation showed through creation background of "Seogyeongbyeolgok(西京別曲)")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09.11
47P 미리보기
&lt;西京別曲&gt;의 창작배경을 통해 본 新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27권 / 5 ~ 51페이지
    · 저자명 : 이정선

    초록

    <서경별곡>은 <가시리>와 함께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작품으로 쌍벽을 이루는 고려가요로 알려져 있다. 특히 조선조 성종 때 이 노래를 ‘男女相悅之詞’의 대표적인 곡으로 지목한 것은 당시 사회분위기로 볼 때 음란한 노래라고 평가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고는 지금까지 <서경별곡>을 ‘남녀상열지사’의 관점에서 해석한 것과 노래의 배경이 되고 있는 서경을 주목하여, 이를 서경이라는 지역과 관련하여 해석하였다.
    기존의 논의가 ‘길쌈’이라는 어휘에 의미를 부여한 것에 대해, 길쌈이 서경 지역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어디에서도 할 수 있는 일반적인 생활임을 들어 지나친 평가를 경계하였다. 이어서 이 노랫말 속에 흐르는 표면적인 구조가 “떠나려는 사람을 붙잡고자 하는 화자의 하소연과 원망”이라는 점을 착안하여 떠나는 자와 좇는 자의 관계를 고려 서경과 서경 세력의 움직임에서 살펴보았다. 이는 청자를 국왕이라고 보고, 이를 좇고자 하는 화자가 서경인 또는 서경 세력으로 볼 수 있는 개연성이 있기 때문이다.
    역대 국왕들 가운데 어떤 사건을 계기로 서경에 대한 관심이 완전히 변모된 경우를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등 사적을 통해 찾아보았다. 그 결과 인종이 서경 출신 묘청의 난을 겪고 난 뒤 서경 지역에 대해 이전에 갖고 있었던 관심과 배려에서 철저하게 배제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논자는 <서경별곡>이 국왕의 서경 차별에 따른 서경인들의 문화적인 대응 방법의 일환으로 창작된 노래라고 판단한다. 이를 토대로 각 연을 求愛, 다짐과 촉구, 호소로 해석하였다.
    이런 목적의식을 갖고 창작된 <서경별곡>의 2연(일명 <구슬사>)을 익재는 「소악부」에 한역하였고, <정석가>에 그 부분을 삽입하여 불렀다고 보아, <서경별곡>이 編詞되었다는 기존의 견해와 해석을 달리하였다. 그러나 이런 목적의식을 갖고 창작된 노래라 할지라도 궁중에서의 수용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어 오늘날까지 이 노래가 ‘남녀상열지사’로 규정되고 있음을 사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Seogyeongbyeolgok" depicting the affection and resentment of parting is known for two great songs of Koryeo(高麗) dynasty with "Gashiree". This song is thought to be judged to be obscene song in the social trend because it was representatively designated as 'Love Song between Male and Female(男女相悅之詞)' in the year of King Seong-Jong of Choseon(朝鮮) dynasty.
    We associated this song with a region called 'Seogyeong(西京)' which is background at this song, however, it has interpreted at the point of 'Love Song between Male and Female' as yet.
    Although a word 'weaving' has the important meaning at former argument, we didn't excessively interpret because 'weaving' is not limited activity to the region 'Seogyeong' but general one. Subsequently,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leaving man and narrator in terms of the movement of Seogyeong and Seogyeong power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superficial structure described in this song is "the narrator's appeal and grudge to catch a leaving man". The reason is that a poetic narrator can be regarded as 'Seogyeong people' or 'Seogyeong power' and a poetic listener can be regarded as King of Koryo dynasty
    Through historical books, such as 『Koryosa(高麗史)』, 『Koryosa-Jolyo(高麗史節要)』, and so on., we weighed why a concern of Seogyeong was negatively converted from the successive King. As a result, we could know the trend that King In-jong(仁宗) have excluded thoroughly the caring and sympathetic mind for Seogyeong since he had been undergoing the Rebellion of Myochong(妙淸) who was from Seogyeong. We judged as the song created in an effort to cultural corresponding method of Seogyong's people from the distinction of King. Therefore, we comprehended this poet as the lovemaking, the oath and the appealing.
    By using the point that the second stanza (called stanza of a bead) in "Seogyeongbyeolgok" created with a sense of purpose was translated into Chinease at 「Soakpu(小樂府)」 by Yi, Che-hyon and was inserted into "Jeongseok-ga", we also differently comprehended the pre-opinion which "Seogyeongbyeolgok" was rearranged. Finally, we examined through historical information about the fact that the reception at the Royal Court was grown apart and this song was thought of as 'Love Song between Male and Female' up to today although this song was created with a sense of purpo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