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음악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정간보 창안의 주체 (The Subject of Jeongganbo Invention from the Viewpoint of Music Educatio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8.02
26P 미리보기
음악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정간보 창안의 주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36호 / 415 ~ 440페이지
    · 저자명 : 임현택

    초록

    2015년 9월 23일 교육부는 초ㆍ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지향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고시하였다. 이에 따라 음악과 교육과정 또한 일부 개정되었는데, 그 큰 틀은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음악과의 영역 안에서 정간보는 초등학교 3∼4학년의 교육과정에서 이미 노출되고 있기는 하지만, 정간보의 명칭 유래 및 창안 배경을 비롯한 악보 읽는 방법, 음높이 및 음길이 나타내는 방법 등에 관한 학습 내용은 5∼6학년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정간보는 15세기 중엽 조선조 세종에 의해 창안된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유량악보로 알려져 있으며, 현전하는 악보 중 가장 오래된 악보인 『세종실록악보』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대부분의 국악 관련 전문서적은 물론이거니와 음악교과서에서는 분명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은 채 세종이 정간보를 창안한 주체임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근거에 입각하여 세종이 정간보를 창안하였다고 주장하는지 가려낼 필요가 있겠다.
    본고에서는 먼저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서에서 소개되는 ‘세종이 정간보를 창안하였다’는 명제에 대한 근거를 세종의 신악 창제, 세조의 정간보 창작, 세종의 한글 창제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발행된 초등학교 5∼6학년 6종 검정교과서를 대상으로 정간보 창안의 주체가 어떻게 기술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지적함으로써 바람직한 음악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세종의 신악 창제, 세조에 의한 1행 16정간의 정간보 제작, 세종의 한글 창제 등 역사적 기록 및 정황들을 종합해 보면, 세종이 정간보의 창안 주체임이 현재로서는 가장 타당해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가능성만으로 명확하지 않은 일을 마치 사실인 것처럼 받아들이며 교육하는 음악학계의 태도는 바람직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필자는 정간보 창안의 주체자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드러나기 전까지 “세종이 정간보를 만들었다” 또는 “창안하였다”는 내용으로 기술하기보다는 “정간보는 세종조에 창안되었다” 또는 “정간보는 세종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 추정된다”로 바꾸어 기술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영어초록

    On September 23, 2015,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e 2015 revis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aimed at ‘cultivating creative talents’ based on the Article 23, Section 2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 As a result, music curriculum have also been partially revised, which seems to maintain the 2009 revision of music curriculum. Although Jeongganbo 井間譜 is already exposed in the music curriculum for the third and for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learning content about how to read Jeongganbo and how to express the pitch and length of sound including the origin of its name and the background of its invention are dealt with specifically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Jeongganbo is known as the oldest mensural notation in the Orient created by King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and it was used for the first time in Sejong sillok akbo 世宗實錄樂譜 (Scores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the oldest musical score still in existence.
    However, in the music textbooks as well as the most of specialized books related t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t is uncritically accepted without providing clear grounds that Sejong invented Jeongganbo himself. If so,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on which grounds it is claimed that Sejong invented Jeongganbo.
    This paper first examined the grounds of the proposition that “Sejong invented Jeongganbo,” which is introduced in the music textbooks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by separating it into Sejong’s creation of Sinak 新樂 (new music), Sejo’s invention of Jeongganbo and Sejong’s invention of Hangeul. Next, this paper examined how the subject of the invention of Jeongganbo has been described in the textbooks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2009 revision of music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a desirable music education by pointing out the related problems.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and circumstances such as Sejong’s creation of Sinak, Sejo’s invention of Jeongganbo with 16 Jeonggan (square) in one vertical line, Sejong’s invention of Hangeul and so on, it seems to be the most reasonable that Sejong is the subject of the invention of Jeongganbo as of now. However, the attitude of the musical academy to accept and educate the unclear thing as if it is a fact does not seem desirable.
    Therefore, I suggest that it should be described “Jeongganbo was invented in the period of Sejong” or “it is supposed that Jeongganbo was invented by Sejong” rather than presenting “Sejong made Jeongganbo” or “created” until revealing the clear evidence about the subject of Jeongganb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