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西歐의 시선으로 본 高麗圖經과 고려청자 (The Study of Goryeodogyeong and Goryeo Celadon in Modern America and Europ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9.11
32P 미리보기
근대 西歐의 시선으로 본 高麗圖經과 고려청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77호 / 239 ~ 270페이지
    · 저자명 : 김윤정

    초록

    서구에서 19세기 중후반부터 한국도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정확한 자료에 근거하여 그 실체를 찾는 연구가 시작되었다. 1856년에 번역된 청대 『경덕진도록』에 실린 ‘高麗窯’는 서구에 처음 소개된 한국도자에 대한 제대로 된 정보였지만 고려청자의 不在로 인해 연구에 기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서구에서 고려청자를 접하기 이전 시기에 ‘고려요’의 기록은 믿을 수 없는 자료였지만 고려청자 컬렉션이 형성된 이후에는 논조가 바뀌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1890년대 이후에 『고려도경』의 사료적 가치와 고려청자가 서구 사회에 본격적으로 알려지면서 새로운 話頭가 되었다. 중국도자 전문가였던 스티븐 우튼 부셸(Stephen Wootton Bushell, 1844~1908)은 1896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에서 『고려도경』의 翡色과 고려청자를 처음으로 연결시킨 연구자이다. 서구에서 고려청자의 수집과 연구는 시기적으로 1910년대에서 1920년대에 집중되어 있다. 1900년대 이후부터 서구의 여러 나라에서 고려청자 컬렉션이 형성되면서, 서구 연구자들이 『고려도경』의 내용과 고려청자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고려도경』 권 32 기명 3에 언급된 ‘越州古秘色’, ‘汝州新窯器’, ‘定器制度’의 내용이 집중적으로 연구되었다. 중국의 월주요, 여요, 정요 자기 등과 고려청자와의 비교사적인 연구 방법이나 내용적인 면에서도 학문적으로 깊은 의미를 준다. 또한 이러한 비교사적인 연구 방법은 중국청자의 형태, 문양, 유색, 번조법 등과 차별화되는 고려청자만의 조형적 특징을 찾는데 일조했다. 이러한 연구는 일본 연구자들보다 앞 선 시기에 이루어진 성과였기에 더욱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marks the beginning of an increased interest in Korean ceramics in Modern America and Western Europe. During this period of newfound preoccupation, Western scholars inquired after the true nature of Korean ceramics based on an examination of accurate documents. The Western world’s first reliable text on Korean ceramics was the chapter titled ‘Gao-li Yao(高麗窯)’ included in the Qing dynasty Jingdezhen taolu (Record of Jingdezhen Ceramics), translated in 1865. However, in the absence of actual examples of Goryeo celadon during this time, there was a fundamental limit to the scope of study that rendered the text ‘Goryeo Kilns’ an unreliable source of information. In the following period, Goryeo celadon collections were acquired, changing the circumstances and allowing opportunity for direct exposure to the subject which altered the tone of discussion surrounding Korean ceramics.
    Post 1890, the substantial presence of Goryeo ceramics in Western society and the discovery of Goryeodogyeong (Illustrated Account of Goryeo, 高麗圖經) generated new perspectives on and a renewed interest in the topic of Korean ceramics. Expert on Chinese ceramics, Stephen Wootton Bushell (1844-1908) was the first scholar to make the connection between Goryeo celadon and the concept of ‘bisaek’ as described in Goryeodogyeong according to his publication of 1896.
    The collection and research of Goryeo celadons in America and Europe was most active from 1910 up until the 1920’s. During the first decade of the 1910’s, Goryeo celadon collections were established in various countries and Western scholars began to formally pursue the study of Goryeodogyeong and its connection to Goryeo ceramics. Scholarly interest was especially concentrated on the topics of the old Bi-se(secret colour, 越州古秘色), the recent wares of Ru-zhou(汝州新窯器) and the form of the Ding-zhou wares(定器制度)’ as mentioned in sub-chapter 3 ‘Containers’ under chapter 32 of Goryeodogyeong. Thes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the subjects of Chinese ceramics such as Yue・Ru・Ding ware and Goryeo celadon were academically significant in both method of research and subject. Moreover, these academic pursui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ifferentiating between the formative or aesthetic qualities of Goryeo celadon and the shape, design, glaze color, firing methods, etc of Chinese celadon. It is further meaningful that Western scholarship on the subject preceded Japanese inter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