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4~6세기 찰갑을 통해 본 한일 교류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as Seen Through Scale Armor in the 4th to 6th Centur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1.03
26P 미리보기
4~6세기 찰갑을 통해 본 한일 교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2021권 / 1호 / 39 ~ 64페이지
    · 저자명 : 김혁중

    초록

    그간 고대 한일 간 교섭과 교류를 주제로 한 연구 성과는 적지 않다. 특히 금속 제품은 한일 기술 교류의 측면에서 주목할 수 있는 자료이다. 본고가 검토 대상으로 한 갑주와 같은 무구에 관해서도 고대 한일 관계를 살펴보는 기초적 자료 검토가 이루어진 바 있다.
    그러나 이 시기의 고대 갑주 연구는 4∼5세기대에 출토된 판갑으로 주제가 한정되어 당시 사회문화상을살펴보기 어렵다. 이에 필자는 또 다른 주요 갑옷인 찰갑을 대상으로 하여 한일 양국 기술 교류의 기초적 검토를 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고는 삼국시대 찰갑 자료가 많이 축적된 영남지방 출토 자료를 중심으로 찰갑의변천과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일본지역 출토 자료와 비교하였다.
    고대의 찰갑은 여러 형태의 소찰을 엮어 만든 것으로 부위별로 다양한 특징이 있다. 그중에서 허리 부분에 해당하는 요찰은 단면 형태 변화에 큰 특징이 있다. 요찰 단면이 ‘Ω’자형인 찰갑은 그간 고대 일본 고유의찰갑으로 인식해 왔다. 그러나 최근 국내에서도 적지 않은 자료가 확인되어 이를 검토해 본 결과, 요찰 단면이 ‘Ω’자형인 찰갑은 한반도의 제작 시기가 다소 빨라서 일본열도 내 이 유형의 찰갑은 금공(金工)갑주를 포함한 다른 갑주들처럼 제작 과정에 한반도의 영향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따라서 한반도에서 출토된 찰갑 중왜와 관련이 있거나 왜계 찰갑으로 보는 자료에 대해서는 향후 면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한편, 투구와 부속갑은 그간 한일 관계 연구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검토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자료가 증가하여 복발이나 장식을 덧댄 돌기부주나 금동장차양주, 부속갑 붕 경갑(頸甲)과 비갑(臂甲) 등 한반도에서 일본열도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큰 자료들이 확인된다.
    본고는 한일 고분 출토 자료의 비교 분석에만 주력하였으나 향후 각국의 갑옷을 수용한 목적과 배경, 양국에 미친 영향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re have been quite a few studies conducted in both Korea and Japan on exchanges and negoti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ancient period. Among many academic disciplines, archaeology has been productive in the study of, among others, the exchange of techniques between Korea and Japan in ancient times thanks to tangible artifacts.
    These artifacts make up for the lack of textual sources, and they can present new subjects for study. Among the numerous types of archaeological findings, metal artifacts are deemed particularly productive as materials for the study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ancient Korea and Japan. There have not been enough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weaponry – particularly armor, such as the examples dealt with in this study – but there has certainly been some accumulation of basic information which can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n ancient times.
    Studies on ancient Korean and Japanese armor have been largely focused on plate armor dating back to the 4th and 5th centuries; however, they are not enough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ultural environment of the two areas in the early phase of history.
    In this study, the main discussion focuses on scale armor as they contain important clues for increasing basic knowledge on the exchange of technologies between ancient Korea and Japan. The sources used for the discussion are the artifacts unearthed in the Yeongnam area, which is known to have more scale armor dating back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Scale armor discovered in this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made by fastening small metallic scales of various shapes to each other. Among them, the scales used for the armor’s waist underwent dramatic changes in their shape. These scales include those with Ω-shaped cross-sections; these were originally believed to have originated from Japanese examples of the same period. Quite a lot of armor of this type have been excavated in Korea, providing important sources for the study of ancient scale armor in Korea and Japan.
    Research on armor made of Ω-shaped scales for the waist – which was conducted as part of this study – revealed that those examples discovered in Korea were produced earlier than armor of the same type found in Japan, implying that the Japanese examples had been were produced under the influence of Korea armor. This discovery also suggests that the ancient Korean armor with Ω-shaped waist scales did not necessarily originate from – or have a direct connection to – the Japanese examples of the same period. The research also suggests the need for these artifacts to be reviewed more clos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