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말 강화 보창학교의 재정수입 분석 (An Analysis on the Financial Income of Ganghwa Private Bochang School in the Late Korean Empir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1.02
32P 미리보기
한말 강화 보창학교의 재정수입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천학연구 / 1권 / 34호 / 105 ~ 136페이지
    · 저자명 : 김성학

    초록

    강화 보창학교는 1904년에 이동휘가 강화읍에 설립한 육영학교에서 출발하였다. 이후 강화지역의 대표적인 사립학교로 1915년까지 운영되었다. 한말에 보창학교의 명성은 전국에 자자하였다. 그동안 학계의 주목을 크게 받지 못하다가 최근에 보창학교의 설립 및 성장과정과 교육과정 운영 성과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그 후속 연구로서 보창학교의 재정수입 확보과정과 규모를 분석하고 재정 구조상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보창학교의 유지와 성장을 뒷받침한 경제적 토대가 무엇이었는지를 이해하고, 당시 수많은 사립학교가 확산하고 소멸하는 과정에 대한 재정적인 시사점도 찾아보고자 하였다.
    1905~1914년까지 재정수입 총액은 15,600여 환으로 분석, 추정되었다. 1910년까지 연평균 수입은 2,500여 환으로 한성 소재의 상위 사립학교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재원의 비중은 황실보조금(63%), 일반기부금(21%), 도조수입(12%), 강화군 보조금(4%) 순이었다. 황실보조금이 가장 핵심적인 재원이었다. 일반기부금은 여러 학과를 갖추고 본격적으로 성장하는 1905~1906년, 그리고 황실보조금이 중단된 1908~1909년에 재정 확보에 기여하였다. 반면에 도조수입 총액은 기부금에도 미치지 못해 논란이 컸던 만큼 핵심적인 재원은 아니었다. 하지만 1906년부터 1915년 폐교될 때까지 재정 안정성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재정구조에 비추어 보면, 황실의 지원이 보창학교의 유지와 성장을 뒷받침한 핵심 동력이었다. 그리고 여기에 민족주의적·기독교적 배경을 지닌 것으로 보이는 일반 사민과 군인·관리들이 동참하고 있었다. 황실의 재정지원은 일제에 의해 점차 장악되는 관공립학교 대신에 민족 사학을 육성하려는 고종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와 유사한 사례를 1905년에 창립된 보성학교에서도 찾을 수 있었다.
    1908년부터 일제는 민족주의 교육에 힘쓰던 보창학교를 탄압하기 시작했다. 그 방법은 핵심 재원인 황실보조금을 차단하는 것이었다. 이에 교장 이동휘와 강화 군민, 군수는 1908년에 의무교육실시안을 마련하고 1910년에 학부형계를 설치하는 등 자체적으로 재정을 확보하려는 시도를 하였으나 실제 학교경비의 수취로까지 이어지지 못하였다. 이후 보창학교는 학교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보창학교의 사례는 외부의 보조와 기부에 의존하는 한말 사립학교의 재정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주었다. 당시 사립학교는 안정적이며 충분한 재정확보 방안을 갖추어 실시해야 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사립학교를 공립학교로 전환하려고 획책하는 일제에 의해 점점 그 생존 자체가 위태로울 수밖에 없었다.

    영어초록

    The private Bochang School(1904~1915), established at Ganghwa province, was very famous in the nation.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analyze the size of its financial income and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its financial structure.
    The total amount of fiscal revenue from 1905 to 1914 was estimated 15,600 Hwan(圜). By 1910, the average annual income was around 2,500 Hwan,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top private schools in Seoul. The portion of financial resources was followed by imperial subsidies (63%), general donations (21%), farm rent (12%) and Ganghwa county subsidies (4%). Imperial subsidies were the key financial resource. General donations contributed to financial security in 1905-1906 when the school started to grow in earnest with various departments, and 1908-1909 when imperial subsidies were suspended. On the other hand, total farm rent was far less than general donations, thus it was not a important factor. However, it contributed to financial stability from 1906 to 1915.
    In light of this financial structure, imperial support was a key driver behind the growth of the Bochang School. And it revealed that the general public and local governor were joining in this support. Imperial subsidies were interpreted as reflecting King Gojong's determination to foster national private schools instead of government-public schools, which were gradually dominated by Japan. A similar example was imperial support for Boseong School, which was founded in April 1905.
    From 1908, the Japanese began to oppress the Bochang School which was striving for nationalist education. A fatal way was to stop the imperial subsidies, a core part of financial resources. Thereafter, despite the efforts of the principal Lee Dong-hwi and the Ganghwa County Governor and the county residents, the Bochang School had great difficulty in operating school without solid financial foundation. A case of Bochang School showed how fragile finances of private schools were. That was because they relied on outside assistance heavily. At that time, private schools should have had stable and sufficient financial security measures. Otherwise, their survival itself could be jeopardized by Japan that plotted to transform private schools into public schoo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