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교사적 관점에서 본 고린도전서의 신학 (Die Theologie des Korintherbriefes in der religions-geschichtlichen Sich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08.03
26P 미리보기
종교사적 관점에서 본 고린도전서의 신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40호 / 181 ~ 206페이지
    · 저자명 : 문병구

    초록

    본 연구논문은 칼 바르트가 1923년 여름학기 괴팅엔 대학교에서 행한 강의에서 고린도전서에 담긴 바울사도의 신학은 부활에 관한 그의 교훈에서 절정과 핵심을 이룬다고 평가한 바르트의 주장에 대한 루돌프 불트만의 비판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바르트는 고린도전서의 1-14장까지의 내용은 15장에서 요약되고 있다 라고 보면서, ‘죽은 자의 부활’ 이라는 주제를 담고 있는 15장은 1-14장의 주제들과 병렬되어 있는 또 하나의 주제가 아니라, 1-14장의 내용을 주석하고 있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바울이 15장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한 믿음과 또한 믿는 자의 부활에 대한 소망을 통하여 믿는 자를 설명한다면, 이러한 바울의 사상은 덧붙일 수도 뺄 수도 있는 하나의 장식품 정도로 여겨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온전한 그리스도인의 존재 자체를 규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그리스도인은 바울이 1-14장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세상에서 살면서 종말론적 관점에서 세상과 고유한 관계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바르트의 강의록이 그의 제자들에 의하여 정리되어 출판되자 1926년에 불트만은 이 책에 대한 서평에서 바르트의 이와 같은 견해를 반박했다. 불트만은 바르트의 견해를 대부분 옳다고 인정하면서도 바르트의 주석이 이러한 신학적 전제 즉 ‘죽은 자의 부활’ 이라는 자신의 신학적 관점 하에 전체서신을 주석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럼으로써 바울의 서신에 담겨있는 신학적 관점을 올바로 파악하지 못하였다고 비판하였다. 불트만은 그와 같은 바르트의 주석방법을 ‘신학적 주석방법’ 이라고 비판하면서 본문이해를 위한 비평적 척도로 삼을 수 없다고 분명히 하였다.
    당시 종교사학파의 강한 영향아래 있던 불트만은 서신을 주석하면서 고린도교회를 향한 사도의 권면이 12-14장에서 내용상 고린도전서의 절정을 이루고 있다고 보았다: 이곳에서는 믿는 자가 그의 삶 속에서 어떻게 성령을 체험할 수 있으며 성령이 어떻게 자신을 믿는 자의 삶속에서 드러나는가 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는 바울사도가 13장에서 이러한 영적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으로써 사랑의 은사를 말하고 있다고 보았다. 즉 사랑의 은사야 말로 믿는 자의 존재방식이며, 모든 종말론적 사건들 중에서 최후의 종말론적으로 사건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불트만의 견해에 의하면 영지주의는 초대교회의 일반적 종교현상이었으며 당시고린도교회를 설명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당시의 상황아래 있는 인간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쇄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하여 그는 이러한 종교사적 배경아래 서신을 주석하고 있다.

    영어초록

    Unübersehbar ist, dass Bultmann die Theologie des 1. Korintherbriefes als die Theologie der avga,ph verstanden hat. Er legt die apostolische Botschaft nicht nur im Zusammenhang der korinthischen Gemeindesituation, sondern als zentrale paulinische Explikation der Heilstat Gottes und des Reflexes im menschlichen Handeln aus: In Tod und Auferstehung Jesu Christi vollzieht Gott die Sündenvergebung, die den Menschen rechtfertigt. Diese zum Heil bringende Liebe Christi ist nur durch den Empfang der Vergebung zu ergreifen. Damit wird das Ergreifen der Liebe und die Liebe selbst nicht mehr zum menschlichen Entschluss.
    Die Liebe wird aber auch im Leben des Glaubenden verwirklicht, wenn Paulus betont, dass das 'Subjekt Mensch" durch die mit der Liebe verbundenen Prädikationen (Langmut, Freundlichkeit etc.) aufgehoben wird. So ermöglicht die Liebe die menschliche Existenz – und so richtet er sein Augenmerk besonders auf das den Schriften des Neuen Testaments innewohnende Existenzverständnis.
    Bultmann entfaltet somit die Wirksamkeit der Religion für Paulus einerseits in der Offen Gottes, die das Individuum bestimmt, anderseits als die Religion, welche die sittliche Erlösung bringt (Befreiung von Schuld als Befreiung zum sittlichen Gehorsam), wie M. Evang zutreffend beobachtet hat. Diese sind für Bultmann immer in eins zu denken.
    Um die Situation in der korinthischen Gemeinde und deren Problematik zu erklären, greift Bultmann auf die Interpretation von der Gnosis her zurück. Sie ist für ihn maßgeblich, da er sie als religionsgeschichtlichen Hintergrund der korinthischen Zustände ansieht. Diese Sicht Bultmanns ist erklärbar, denn er ist stark von der religionsgeschichtlichen Schule und deren Erklärungen beeinflusst. Dieser Schule gehörte sowohl sein Lehrer Johannes Weiß – vgl. seinen Kommentar zum 1. Korintherbrief von 1910 – als auch Wilhelm Bousset an, der mit seinen Untersuchungen damals maßgebend die Interpretation mit bestimmte. Allerdings hat Bultmann nicht nur diese Vertreter herangezogen, sondern auch andere bedeutende Vertreter dieser Forschungsrichtung wie z.B. Richard Reitzenstein. Daneben hat er sich auch von den Korintherbrief-Kommentaren Georg Heinricis inspirieren lassen.
    Ebenso wichtig ist die Arbeit seines Schülers Hans Jonas für ihn geworden, was er am 14. Juni 1934 beeindruckend im Vorwort zu dessen großer Arbeit so formuliert: "Deshalb möchte ich sagen, daßich, der ich seit Jahren einen großen Teil meiner Arbeit dem Studium der Gnosis gewidmet habe, aus keiner der bisherigen Untersuchungen über dieses Gebiet – und man weiß, daß es deren ganz vortreffliche gibt – so viel für eine wirkliche Erkenntnis des geistesgeschichtlichen Phänomens der Gnosis gelernt habe, wie aus dieser, ja daßmir hier die Bedeutung dieses Phänomens erst im vollen Umfang erschlossen wurde."
    So gewiss heute die Forschung im Hinblick auf die Gnosis zu neuen Ergebnissen gelangt ist, so sind Bultmanns Ausführungen zu dieser schon deshalb so wertvoll, weil ihm das Phänomen der Gnosis den Hintergrund zum theologischen Verständnis der Briefe und damit zum Verständnis des Menschen in seiner Befindlichkeit ermöglicht. Die Probleme, die Paulus in der korinthischen Gemeinde beurteilen und tadeln muss, werden theologisch bewältigt.
    Auch theologisch ist die Forschung weiter gegangen. Bultmanns Ergebnisse müssten heutzutage sicher oft anders gefasst werden, z.B. sein Verständnis der Sakramente und die Bedeutung Israels (vgl. 1Kor 10). Andere Ergebnisse sind weiterhin wichtig geblieben, so Bultmanns Votum über die paulinische Rechtfertigungslehre (die er in 1Kor 1,20 und teilweise in 6,11 erkennt) als Explikation des Heilszustandes. Ebenso wichtig bleibt seine Feststellung, dass hinsichtlich der Rechtfertigungslehre wie auch des paulinischen Verständnisses der Eschatologie (1Kor 15,51f.) keine Brüche oder Fortentwicklungen innerhalb seiner Briefe zu konstatieren s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