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대자형으로 본 ‘樂’의 구조와 의미 고찰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 ‘Music(樂)’ based on the shape of Chinese ancient character typ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3.02
40P 미리보기
고대자형으로 본 ‘樂’의 구조와 의미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26호 / 41 ~ 80페이지
    · 저자명 : 김태완, 최영경

    초록

    한자는 상형문자이다. 상형은 대상 사물을 눈에 보이는 그대로 그려내는 방법이다. 그러나 회화처럼 자세히 그리지는 않으며, 사물의 주된 특징을 포착하여 그것을 반영하고곧 이것이 문자가 되는 방법이다. 그렇다면 현재 ‘음악’을 의미하는 한자 ‘악( )’자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이는 동양에 있어서 음악의 기원과 연관되는 문제이며, 동시에 악기의출현을 의미하는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 ‘악( )’자의 기원에 대해서는 통일된 견해가 없다. 물론 문자가 있기 전에 단순한 음악이나 악기가 존재하였겠지만, 그 유물이나흔적만을 통해서는 음악이 어떻게 기원하였으며,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고, 나아가 악기가어떻게 제작되었는지를 알기엔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를 배경으로 이 논문은 고대의 한자, 즉 갑골문( )과 금문( ) 그리고 도기와 죽간에 새겨져 있는 악( )자 및 한대( )에 한자에 대해 분석을 완료한 『설문해자( )』를 대상으로 그 특징을 분석하여 악( )이 어떤 형태로 시작되었는가를 고찰하였다. 나아가 악( )을 대상으로 하여 고대인들, 즉 갑골문시기인 상( )대의 사람들과 찬란한 문명을 이루었던 한대( )에는 어떻게 악( )을 이해하였는가를 『시경( )』과 중국의 가장 오래된 자서( )인 『이아( )』와 기타 문헌에 실린 용례와 해설을 대상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악( )자의 윗부분 가운데 하나인 사( )는 [실]의 의미 이외엔 별다른 이견이 없었으나, 백( )에 대해선 ①고( ), 즉 ‘북’으로 보는 견해 ②요( ), 즉 + + 로서무언가를 매달아 놓는 작은 줄로 보는 견해 ③현악기를 의미하는 사( )+사( )와 현( )을 조절하는 도구로 보는 견해 ④현악기를 의미하는 사( )+사( )와 금슬( )을 조절하는 엄지손가락으로 보는 견해 ⑤방울을 흔들어 소리를 내는 방울형 악기로 보는 견해등 다양한 견해가 있었다.
    악( )자의 아랫부분에 대해선 ①받침틀로 보는 허신의 견해 이외에 ②나무[ ] 혹은쇠붙이[ ]가 더해진 구조로 보는 견해 ③나무[ ] 혹은 불[ ]이 더해진 구조로 보는 견해④악( )을 아예 악기로 보지 않고 화톳불에 사용되는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반영된 모양으로 보는 견해 등이 있었다. 그리고 기타 의견으로 ①복사( )에 보이는 악( )자의다른 형태로 악( )에 복( ), 혹은 문( )이 더해진 악기의 형태로 추측하는 견해, ②‘요요( yāoyāo)’라고 외치는 환호성이라는 음악가의 견해, 혹은 초목의 열매가 충실히 여문 것을 반영한 글자라는 견해도 있었다.
    악( )의 의미에 대해서는 갑골문 복사( )를 통해 상대( )의 음악이 통치 수단의하나로 작용하였으며, 나아가 이를 정치ㆍ사회ㆍ종교ㆍ문화 등 여러 방면에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갑골문 복사( ) 뿐만 아니라 『이아( )』에서도 악( )의 용례는 동일하게 ‘기쁨, 환희’의 의미만 있을 뿐 ‘음악’이나 ‘악기’의 의미를 담고 있지는 않았으나,특별히 마왕퇴한묘( )에서 출토된 『오십이병방( )』에서는 약( )이악( )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어 악( )에 ‘치유’ 혹은 ‘치료’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sidered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 by the shape of ancient character type. there is no unified opinion about the origin of chinese character which means ‘music’. This is matter of the beginning of music and the appearance of instruments. But the Chinese character started by drawing of real object, so it has the original form and it also make us conjecture the idea of original concept.
    So we analyzed oracle bone script( ) and bronze inscriptions( ) for the structure of , and then also analyzed Classic of Poetry(『 』) which is the oldest anthology in China and Erya(『 )』 for the meaning of .
    As a result, we found character has two kinds of meaning, that is string instrument and percussion instrument, both of them are all possible. and we also found the ancient time the people regard music as important thing for pray to the g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