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용자가 본 종이신문 : 진단과 제언 (Newspapers in the Eyes of Users : Analysis and Suggestion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4.02
38P 미리보기
이용자가 본 종이신문 : 진단과 제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8권 / 1호 / 231 ~ 268페이지
    · 저자명 : 이소은

    초록

    이 글은 종이신문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의견을 다뤘다. 종이신문은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접하고 이용의 관습이 존재하는 미디어라는 점에서 체험적 성격을 가진다. 이용자들이 본 종이신문의 가장 큰 효용은 선별된 종합, 심층 정보로서 기사의 품질이며, 한눈에 들어오는 편집과 규격화된 형식은 이용자들이 느끼는 종이신문의 효용을 높여준다. 다만, 이러한 효용은 인터넷뉴스와 비교할 때 평가되는 상대적 효용으로서 제한된 의미를 지녔다. 종이신문의 가치로는 매일의 습관과 흐름이 주요하게 언급됐다. 신문읽기는 나에게 집중하는 힐링의 시간으로서 의미를 갖고 정보가 정기적으로 도착하기 때문에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한국 언론의 병폐로 지적되어 온 정파성이 신문의 장점이자 매력으로 인식된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종이신문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이용자들의 인식이 다양하게 갈렸다. 이는 종이신문의 기존 관습과 변화 가치 사이에 괴리가 있음을 보여준다. 언론사들이 이용자 유지 및 확보를 위한 미래 전략 수립 과정에서 서로 충돌되는 가치 중 무엇을 택할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용자 진술을 바탕으로 이 글은 종이신문이 정보 가치를 넘어 개인적, 경험적 가치를 지님을 강조하고 종이신문의 미래를 위한 제언을 논의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readers' perceptions and opinions regarding newspapers. Despite the prevailing discourse of a newspaper crisis due to declining readership, print newspaper subscriptions still serve as the basis for government advertising expenditure, sustaining the business structure of media outlets. In terms of news production, the entrenched practices of 'print norms' within the media industry indicate the influence of newspapers in shaping labor and production conventions. Despite its significance, the use of newspapers has not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This study addresses the gap in understanding the ongoing value and meaning of print newspapers by exploring reader perspectives. Focus group interviews are conducted with current subscribers, individuals without prior newspaper engagement, and lapsed readers, provid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diverse user experiences. Fifty-four people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categorized into groups based on age and newspaper usage type.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ir statements revealed that newspapers, as a form of media encountered naturally in daily life, possess an experiential nature due to established usage customs and techniques. The primary value readers find in printed newspapers lies in the quality of meticulously selected and in-depth articles, with their easily digestible formatting and standardized layouts enhancing their utility. However, these values have a limited significance as they are relative when evaluated in comparison to Internet news. Reading newspapers is valued not only for the informative content but also as a healing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and the ability to stay attuned to regularly arriving information. Daily routines and consistent habits emerged as key factors. Notably, the partisanship that has been criticized in the Korean media is perceived as an advantage and appeal of newspapers, driven by users’ sense of efficacy in interpreting and digesting partisan information. Diverse opinions emerged regarding ways to enhance newspaper services, highlighting a discrepancy between established newspaper practices and the potential for transformative value. The findings have three implications. Firstly, newspaper readers do not necessarily seek faster, more interactive information from newspapers compared to Internet news; instead, they demand more ‘classic’ values such as selectivity, depth, reliability, and the power of editorial and layout. Secondly, users perceive newspapers as a ‘medium of life’ that provides personal and experiential value beyond informational value. Habit, life, time, pleasure, romance, and healing are among the frequently mentioned values associated with newspapers. Thirdly, regarding the future strategies, readers’ expectations of 'newspaperness' varied. To shape the future of newspapers, each media organization needs to develop the core identity of newspapers. Responding to the challenges facing newspapers, this article proposes a three-pronged strategy for overcoming the "newspaper crisis": (1) comprehensive planning and branding that encompasses the entire news ecosystem, (2) the introduction of innovative design concepts, and (3) the cultivation of a customer-centric management mindset. Successful implementation hinges on a deep understanding of reader needs, as emphasized throughout this article. This work aims to serve as a springboard for further discussion and exploration of the evolving role of newspapers in the media landsca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