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조상으로 본 부여 정림사지의 성격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Jeonglimsa Temple Site in Buyeo through the clay statuette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3.02
23P 미리보기
소조상으로 본 부여 정림사지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연구 / 77호 / 187 ~ 209페이지
    · 저자명 : 김지호

    초록

    부여 정림사지는 백제의 마지막 수도였던 사비의 대표적인 불교 사찰로 왕궁지로 추정되는 부여 관북리유적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는 백제시대 오층석탑을 비롯하여 강당지 석불 등이 전하고 있어 일찍부터 주목받아 왔다. 최근에 이루어진 발굴조사를 통해서는 사비기에 흙으로 만든 200여 점의 소조불상이 기와 폐기유적에서 출토되었으며 수량과 형태에 있어 백제뿐만 아니라 당시 한반도의 불교 사찰 중에서도 가장 독보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많은 수량의 소조상이 사찰의 어느 공간에, 어떠한 형태로 봉안되었는지는 중국과 일본의 봉안 사례, 소조상 출토 위치를 검토하여 목탑 내에 봉안하였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정림사지에서 출토된 소조상은 200여 점으로 보고되고 있어 금당지에서 출토된 대형 소조상편을 제외한 나머지를 목탑에 봉안하기에는 공간이 협소하였을 것이다. 정림사지 동서 회랑지 북쪽의 부속건물지와 강당지로 불리는 건물에 대해서도 소조상 봉안 장소였을 가능성을 열어 두고 ‘塑山水壁’과 같은 입체적인 불교회화의 제작 가능성도 함께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백제 성왕은 웅진에서 사비로 천도를 추진하면서 국호의 재정비, 주변 국가와의 적극적인 외교 활동 등을 통해 백제의 부흥을 알렸다. 성왕은 사비 도성의 정비에 맞추어 541년 양나라 장인의 파견을 요청한다. 양나라 장인의 요청은 사비 도성의 정비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려는 배경에서 이루어졌을 것이다. 사비 천도 직후에 건립된 정림사지는 빠르게 건립하기 위해 경제적이며 비교적 수급이 편리한 소조상을 중심 불상으로 선택하였다. 그 결과 정림사지에서는 다른 사찰보다 많은 소조상을 제작, 안치하게 되었으며 성왕은 정림사지에 다양한 형태의 인물 소조상을 제작, 안치하여 사비 천도를 통해 이루고자 한 백제 부흥의 메시지를 담았을 것이다. 특히 창과 방패를 들고 있는 무인상은 당시 동아시아에서 군사적으로 불리한 정세에 놓여 있던 백제의 군사적인 부흥을 도모하려는 의도에 따라 만들어진 것으로 정림사지가 가지고 있는 군사적인 의미를 보여주는 요소라고 생각된다.
    성왕은 중국 양나라와의 기술 교류를 통해 동아시아 최고의 불교 문명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고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주변 국가(신라와 왜)에 적극적으로 불교를 전파한다. 사비 천도 직후에 진행된 정림사지 창건은 불교적인 권위를 이용하여 왕권을 강화하려는 성왕의 의도하에 진행되었으며, 사비 도성의 정비를 통해 백제를 부흥시키는 신호탄의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Jeonglimsa Temple Site in Buyeo is a representative Buddhist temple of Sabi(the last capital of Baekje), it is located to the south of Archaeological Site in Gwanbuk-ri, presumed to be a royal palace. This place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since early on, as there are five storied stone pagoda and the stone Buddha in the auditorium from the Baekje era. Through a recent excavation, about 200 clay Buddhist statuettes were excavated from the ruins of abandoned roof tiles. In terms of quantity and form, it can be said to be the most unique example among Buddhist temples in Korea as well as Baekje. Regarding location and form of statuettes, it was argued that they were enshrined in a wooden pagoda by examining the cases of enshrinement in China and Japan and the excavation location of the statuettes.
    About 200 statuettes excavated from Jeonglimsa Temple Site are reported, so the space inside the wooden pagoda would have been too small to enshrine the rest except for the statuette excavated from the golden hall sit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being enshrined in two places, which is the north wing site of the eastern and western corridors of Jeonglimsa Temple Site and the auditorium site. And the possibility that Buddhist paintings such as the Susanshuipi(塑山水壁) were produced should also be considered.
    King Seong reintegrated the country by transferring the capital from Ungjin to Sabi, specifically the reorganization of the county name and intensive diplomatic activity with neighboring countries. While arranging the capital in 541, King Seong requested Yang Dynasty to dispatch a craftsman. This request may have come from a background of wanting to rebuild Sabi as quickly as possible. After transferring to Sabi, at Jeonglimsa Temple Site, clay statuettes were selected as Buddha statue for the rapid construction. This is because the material of clay statuettes was economical and convenient to supply. As a result, more clay statuettes were produced and placed in Jeonglimsa Temple Site than in other temples. In additon, King Seong probably contained the message of Baekje’s revival that he wanted to achieve through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Sabi by producing various types of clay statuettes. In particular, the statue of a warrior holding a spear and shield was made to promote the military revival of Baekje, which was at a military disadvantage in East Asia. I think it shows the military characteristic of Jeonglimsa Temple Site.
    King Seong positively accepted the best Buddhist civilization of East Asia through technical exchanges with Yang Dynasty and he actively spread Buddhism to neighboring countries(Shilla and Japan). The establishment of Jeonglimsa Temple Site right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Sabi, which symbolized the authority of King Seong. Also it was played a vital role to revive Baekje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Sabi capit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