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융합으로 본 한국풍수의 인본사상 (The Humanism of Korean Feng Shui from the Viewpoint of Converge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2.03
16P 미리보기
융합으로 본 한국풍수의 인본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4권 / 3호 / 573 ~ 588페이지
    · 저자명 : 이화형

    초록

    신적 존재인 환웅이나 지상적 존재인 곰이 모두가 인간세상을 동경하고 마침내 뜻을 실현한다는 것은 <단군신화>가 지닌 휴머니즘적 특성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백성들은 살아가면서 “천지간 만물 중에 사람밖에 또 있는가.” 라고 읊조림으로서 인간의 존엄을 고조시켜왔다. 이와 같이 한국문화의 핵심적 가치를 人本思想에서 찾을 수 있다. 서양인들이 “조선인들의 특성은 조선인들을 현대문명의 이기주의로 인하여 침해된 다른 나라 국민들의 훨씬 위에 서게 하는 소이가 된다.”고 보는 점도 한국문화를 人本思想으로 이해하는 데 일조한다.
    자연을 대상으로 삼는 우리의 전통적 풍수관에서도 한국인이 지닌 강력한 인간 존중의 사고를 엿볼 수 있다.
    <단군신화>에서 알 수 있듯이 ‘널리 사람들을 유익하게 해준다’는 人本思想的 가치를 ‘태백산 신단수 밑’이라는風水的 길지 선택으로 구현하고자 했던 의도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풍수 구성의 3요소(산, 물, 방위)에 한국의 풍수 관련서들에서, ‘사람(인심)’을 추가 또는 강조하는 것도 예사롭지 않다. 한 마디로 한국전통 풍수관의 본질은 人本思想에 있다고 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한편 우리는 동양의 관계론적 사유에서 유로되는 融合정신을 어느 나라보다도 중시하며 지켜왔다. 풍수에서도‘음양과 오행’을 비롯하여 특히 裨補 등에 이르기까지 융합적 접근이 설득력이 있음을 알게 된다. 조선시대 이전까지 우리의 풍수문화는 철학적인 理法풍수와 외형중시의 形法풍수가 조화를 이루었으며, 삼국통일 이후 전개된 陽 宅풍수 중심에서 조선시대에는 陰宅풍수에 대한 관심이 더 컸음도 융합적 관점의 의의를 강화한다고 볼 수 있다.
    이밖에도 科學과 信仰 등 한국의 풍수관에 내포된 융합의 요소는 상당하다.
    자연과 자연,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이라는 풍수적 조건, 즉 融合의 방식으로 접근하여 전통풍수에 내포된人本思想을 규명하는 논의는 찾아보기 힘들었던 만큼 한국의 人本主義的 풍수의 특징을 融合的 방법론을 통해서고찰해 보았다.

    영어초록

    It can be said that it is a humanistic characteristic of Dangun Mythology that both Hwanwoong, a divine being, and a bear, a terrestrial being, admire the human world and finally realizes its will. In addition, the people have heightened human dignity by reciting, Is there no one else but people among all things in heaven and earth?" As such, the core value of Korean culture can be found in humanism.
    The fact that Westerners see Korean people a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s are sources of making Koreans stand far above the people of other countries infringed by the selfishness of modern civilization” also contributes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s a humanism.
    In our traditional feng shui view of nature, we can also get a glimpse of the strong human respect of Koreans. As can be seen from <Dangun Myth>, the intention to realize the humanism value of “making people beneficial” by choosing the feng shui based land “under the Sindansoo of Taebaeksan” is highly suggestive. It is also unusual to add or emphasize ‘people’ in Korean feng shui-related books in the three elements (mountain, water and generosity) of feng shui composition commonly mentioned.
    In short, it would not be unreasonable to say that the essence of the traditional Korean feng shui is in humanism.
    Meanwhile, we have maintained the spirit of convergence in Eastern relational thinking, placing more importance than any other country. In feng shui, it is found that the convergent approach, including “Yin and yang and five elements” is persuasive. Until the Joseon Dynasty, our feng shui culture was in harmony with philosophical feng shui and external-oriented feng shui, and the greater interest in feng shui developed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during the Joseon Dynasty can be seen as strengthening the significance of a convergent perspective. In addition, there are considerable elements of convergence included in the Korean feng shui, such as science and faith.
    As it was difficult to find discussions on the feng shui conditions of nature, nature and humans, that is, humans and humans, to identify the human feng shui implied in traditional feng shui, I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human feng shui through the convergence method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