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갑오개혁기 징역형 도입과 내륙(內陸) 유배의 소멸(消滅) -『사법품보(司法稟報)』 분석을 중심으로 (The introduction of prison sentences and the disappearance of inland exile during the Gabo Reform period)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4.09
33P 미리보기
갑오개혁기 징역형 도입과 내륙(內陸) 유배의 소멸(消滅) -『사법품보(司法稟報)』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현대사연구 / 110호 / 107 ~ 139페이지
    · 저자명 : 이상헌

    초록

    본 연구는 갑오·대한제국기 공문서 『사법품보』와 그와 관련한 사료를 분석해조선에 징역형 도입 후 나타난 형벌 운영의 변화와 그 의미를 도출하고자 한다.
    조선에서 유배형은 사형 다음에 해당하는 중형(重刑)이지만 여러 요인으로 유배인을 중도에 해배(解配)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으며, 지배층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통용되는 형벌이었다. 『사법품보』 초기 기록 분석을 통해, 이 원칙이 갑오개혁 초기까지 유지되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1895년을 기점으로 조선에는 유배와 징역 두 형벌이 공존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 시기 조선은 일본의 영향을 받아 근대 형벌인 징역형을 도입해 주형(主刑)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한편 유배형은 이준용(李埈鎔) 모반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부과방식이 원근제(遠近制)에서 기간제(期間制)로 전환되었다.
    이어서 유배형은 「형률명례(刑律名例)」를 통해 갑오개혁 전과 달리 국왕만이내릴 수 있는 형벌이 되어, 적용대상이 국사범(國事犯)으로 한정되었다.
    두 형벌이 공존하면서 나온 변화는 다음과 같다. 갑오개혁 전과 달리 이제일반인에게는 징역이 일반형이 되어, 유배에 해당하는 죄를 지어도 징역형으로환치(換置)해 적용했다. 동 시기 기존 유배인의 징역수 전환도 병행해, 징역형은 조선에서 단기간에 실질적으로도 주형으로 정착했다. 반면 유배형의 경우적용대상 축소와 함께 유배지를 도서(島嶼)로 한정해 내륙 유배가 소멸(消滅)했다. 『사법품보』에 근거해 볼 때, 내륙 유배가 사라진 시점은 1898년이다.
    징역형 운영을 살펴보면, 조선이 서구 혹은 일본의 제도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감옥 관리에서는 한계를 보였지만, 징역형이 단기간에 정착했다는 사실은 새 제도나 법에 대해 조선이 이해 및 수용할 수있는 능력이 있었다는 점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조선의 징역형 도입에 있어서는 일본의 영향을 받은 것이며, 동시에 전통 형법체계인 오형의 운영에서 나타난 허점을 보완하고자 하는 측면도 있다는 점도 확인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official document Sabuppumbo and related sources from the Gabo Reform and Daehan Empires to derive the changes in penal administration and their implications after the introduction of imprisonment in Joseon. In Joseon, exile was a severe punishment next to death, but there were many cases where exiles were released midway due to various factors. And it was a punishment that was applied not only to the ruling class but also to the general public. this principle was maintained until the early days of the Gwaeo Reform.
    By 1895, both exile and imprisonment coexisted as punishments in Joseon, and inland exile became abolished in 1898.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enal system, we can see that Joseon did not uncritically adopt Western or Japanese systems. Despite its limitations in prison management, the fact that the penal system was establish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ndicates that Joseon was capable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new institutions and law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현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