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왕삼매염불직지(寶王三昧念佛直指)』의 정토(淨土)관 고찰 (A Study on the Practice of Buddha Chanting Meditation in Bǎo Wáng Sānmèi Niànfó Zhízhǐ(寶王三昧念佛直指))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7.12
26P 미리보기
『보왕삼매염불직지(寶王三昧念佛直指)』의 정토(淨土)관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2호 / 283 ~ 308페이지
    · 저자명 : 이종섭

    초록

    중국불교는 선종과 정토수행이 깊이 연구되어 인도와 다른 선정일치(禪淨一致)의 독특한 불교문화를 이룩하였다. 선(禪)과 염불의 상호관계는 선의 발생과 더불어 그 역사가 깊으며 이에 대한 많은 주석들이 성립되었다. 이 가운데 『보왕삼매염불직지(寶王三昧念佛直指)』는 원말명초 지욱(智旭)의 저술로 스님의 염불관은 조선시대 여러 차례 판각이 이루어질 정도로 조선불교 염불수행에 끼친 영향은 적지 않다. 지욱은 『보왕삼매염불직지』에서 혜사(慧思)의 일행삼매(一行三昧)와 연수(延壽)선사의 선관을 인용하고, 동시에 화엄을 비롯한 삼론, 유식 등 중국의 제반 교학을 폭넓게 반영하면서 염불삼매의 참된 의미에 대해 밝히고 있다. 지욱은 염불에 대해 초학자를 위한 이행도의 수행만으로 보지 않고 원교(圓敎)와 돈교(頓敎)를 아우르는 요의(了義)의 법문이라 평가하였다. 또한 타방정토와 유심정토의 양 교의에 대해 두 가지 모두 부정되어서는 안 되고, 유심(唯心)의 정행(正行)을 닦아야 비로소 타방정토에도 내생할 수 있다는 논리를 편다. 또한 정토수행으로서 칭명(稱名)염불 외에 관상(觀想)염불을 함께 다루어 정토행의 다양한 방편과 이해를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보왕삼매로 일컬어지는 염불삼매가 원교의 법문인 이유에 대해 대승불교의 불신(佛身)사상과 유식의 정토관등 다양한 경론의 전거를 제시하여 염불수행에 대한 지위를 상당히 높인 것으로 해석된다. 『보왕삼매염불직지』는 중국뿐만 아니라 조선불교에도 큰 영향을 주었고, 유심정토(唯心淨土)에 입각한 선정쌍수(禪淨雙修)의 경향에 대해 이론과 실천적 근거를 제시한 중심문헌으로 평가되어 널리 읽혀졌다.

    영어초록

    Bǎo Wáng Sānmèi Niànfó Zhízhǐ was written by Jiwuk(智旭) who live at the late dynasty of Won in China and the scripture was printed twice and renewed by printing from a wood block. This book defines a Samadhi from chanting Buddha-recollection meditation and criticized the false view by Zen practitioners who look down on the regards Buddha-recollection meditation as mere a Buddhist practices for novices or just to maintain only Mind based Pureland Buddhism on the ground of Mind Only idea denying the outer exist of Pureland.
    Concerning the Samadhi of Buddha-recollection meditation uttered in Bǎo Wáng Sānmèi Niànfó Zhízhǐ His Ven. Jiwuk suggests the profound foundation of the ideas proposed by Cheontaejiwui(天台智顗), Yeongsu(延壽) and quotes the supports of Samlon(三論).
    Firstly Jiwuk suggests the idea concerning Pureland that the foundation of Mind is same regardless of Seon and Pureland theories so that there is no discrimination between Outer Pureland(他方淨土) and Inner Pureland(唯心淨土).
    Secondly, concerning Buddha-recollection Samadhi Jiwuk quotes visualization method of Buddha-recollection practices on the grounds of Pureland Sutras.
    Thirldy Jiwukn insists that Buddha-recollection Samadhi is the ultimate teaching of Buddha(了義) uttered in doctrines of Huaom and Cheontae.
    Bǎo Wáng Sānmèi Niànfó Zhízhǐ was presented in Ming dynasty in China but afterward it was imported in Chosun dynasty it has suggested the Pureland practices to realize practitioner's mind and accomplish enlightenment which overcome the contempt that the Pureland practice is just for lay peoples belief expecting the happiness of next life until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