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품의 기술적 위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수준 비교분석: 유전자재조합식품, 식품첨가물, 광우병을 대상으로 (Comparative Study on Levels of Consumer's Perception of Food Risk Due to Technological Hazards: Focus on the Genetically Modified Foods, Food Additives, and Mad Cow Diseas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3.12
28P 미리보기
식품의 기술적 위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수준 비교분석: 유전자재조합식품, 식품첨가물, 광우병을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정책교육연구 / 9권 / 4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사지연, 여정성

    초록

    식품의 기술적 위험이란 위험의 발생 원인이 식품 생산과정에 투입되는 화학적·기술적 요소에 존재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 위험은 위험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상당한 수준의 과학지식이 요구되는 기술위험의 특성과, 위험의 결과가 소비자의 생명 또는 건강과 직결되는 식품위험의 특성을 모두 지니고 있다. 때문에 전문지식이 부족한 소비자들은 위험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고 결과 또한 치명적인 이 위험에 대해 전문가들보다 높은 위험인식수준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식품의 기술적 위험의 대표사례로서 유전자재조합식품, 식품첨가물, 광우병 세 사례를 선정하고 이들 사례에 대한 소비자들의 위험인식수준을 살펴보았다. 특히 소비자들의 위험인식수준을 측정함에 있어 P. Slovic의 심리측정방식(psychometric approach)을 적용하여 비전문가인 소비자의 위험인식의 수준과 내용이 보다 현실적으로 드러날 수 있도록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연구는 온라인패널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를 통해 아래와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식품의 기술적 위험에 대한 소비자의 위험인식수준은 광우병(4.23), 유전자재조합식품(4.03), 식품첨가물(3.3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선행연구와 비교해보았을 때 광우병과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위험인식수준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반면 식품첨가물에 대한 위험인식수준은 감소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요인분석을 통해 제시한 6가지 특성을 알려지지 않음과 통제가 어려움이라는 2개의 요인으로 묶고, 두 요인을 x축과 y축으로 하는 위험인지도 상에 세 사례를 배치시켜본 결과 응답자들은 유전자재조합식품을 알려지지 않았으나 통제가 가능한 위험으로, 식품첨가물을 알려져 있고 통제가 가능한 위험으로, 광우병을 알려지지 않았고 통제가 어려운 위험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소비자의 위험인식수준의 차이를 알려지지 않음 수준과 통제가 어려움 수준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보수적집단이 진보적집단보다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해 덜 알려져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50대와 60대, 대학원 재학이상의 학력, 자영업자 집단은 타 집단보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의 통제가 더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여성, 60대, 기혼자, 대학원재학이상의 학력, 전업주부 집단 응답자들은 타 집단보다 식품첨가물의 통제가 더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광우병에 대해서는 여성, 미혼자, 진보적 성향의 응답자들이 타 집단보다 광우병에 대한 통제가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식품의 기술적 위험에 대한 소비자의 위험인식수준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첫째, 사례별로 다른 소비자들의 위험인식수준과 내용을 고려하여 위험관리정책의 방향성을 소비자중심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체계화된 소비자위험인식조사를 통해 시대별, 대상별로 차별화된 대응방안을 수립함으로써 제한된 정책적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분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Food-technological risk indicates the risks that arise due to chemical and technological hazards which are included in the process of food production. Food-technological risk has both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cal risk, which requires significant levels of scientific knowledge to understand the benefits and risks of the technology, and food risk, which is actualized by the ingestion of food and is connected directly with consumers’ lives and health. Because of those characteristics, consumers who lack expertise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ose risks and express subjective emotional reactions compared with professionals.
    For this reason, this study selected genetically modified food (GMO), food additives, and mad cow disease as the representative cases for food-technological risk and investigated the level of consumers’ risk perceptions for those cases. Especially, for a more realistic measurement of the consumers’ risk perception, this study used P. Slovic’s psychometric approach. For this study, an online panel survey was conducted on 509 adult consumers. The study’s results obtained based on this are as follows:First, consumers’ risk perception levels about food technological risk was higher in the order of mad cow disease(4.23), genetically modified foods(4.03), and food additives(3.38). Comparing them with previous studies, the risk perception levels about mad cow disease and genetically modified foods were relatively higher while the risk perception level about food additives had relatively decreased when compared with the perception level in the past.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to identify risk perception dimensions and draw up a risk cognitive map, consumers recognized genetically modified foods as an unknown but controllable risk, food additives as a known and controllable risk, and mad cow disease as an unknown and difficult–to-control risk. Thir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isk perception levels of consumer groups showed that consumers who have a more liberal political tendency perceived genetically modified foods as a more unknown risk; and consumers in their 50s or 60s, those with more than graduate degrees, and self-employed people perceived genetically modified foods as risk which is more difficult to control. Meanwhile, consumers in their60s, women, married people, with more than graduate degrees, and housewives perceived food additives as a risk which is more difficult to control; and consumers who are women, married, and have a more liberal political tendency perceived mad cow disease as a risk which is more difficult to control than other consumer groups.
    Based on the previous results, for the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level of consumers’ risk perception about food-technological risk, the study provides some policy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consumer-based risk management policies that take into more consideration consumers’ different levels and contents of risk perception from different risk cases.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use limited policy resources more effectively by making and enforcing distinguished countermeasures for different periods and different consumer group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정책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