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센인의 유랑과 정착에 대한 불안 의식 연구 - 한센병 문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nsciousness of Anxiety about the Wandering and Settlement of Patients with Hansen’s Diseas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7.04
34P 미리보기
한센인의 유랑과 정착에 대한 불안 의식 연구 - 한센병 문학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연구 / 79호 / 101 ~ 134페이지
    · 저자명 : 오현석

    초록

    한센병은 현재 1년에 신규 환자가 20명도 발생하지 않고 있으며, 현대 의료기술에 의해 전염 위험이 거의 통제된 사멸해가는 전염병이다. 하지만 비(非)한센인들의 한센병, 한센인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과거부터 한센인들은 사회로부터 항상 배제, 억압의 대상이었고 격리되어야 할 타자였다. 그들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인간적인 권리를 누리지 못한 채 거주의 자유조차 박탈당했다. 한센인들은 병으로 인해 공동체 밖으로 내쫓겼기 때문에 가족과 이별을 할 수 밖에 없었다. 결국 그들이 선택할 수 있는 길은 떠돌이로 유랑하거나 보호소에 들어가는 방법 밖에는 없었다. 하지만 보호소 역시 그들이 심리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안식처가 아니라 단지 신체만 남겨둔 곳이었기에 그들은 평생을 육체적, 정신적으로 부유(浮游)하다가 세상을 떠날 수밖에 없었다.
    한센인들의 이러한 정착 불안에 대한 의식은 우선 공포에 기초하고 있다. 그들이 느끼는 공포의 반대편에는 그 공포를 조장하는 또 다른 공포가 도사리고 있다. 대중들이 막연하게 느끼는 한센병에 대한 공포와 지배 권력이 그 공포심을 활용하여 지배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센인을 끊임없이 타자화시키는 구조가 바로 그것이다. 이로 인해 한센인들은 거주의 자유뿐만 아니라 결혼, 출산, 육아의 자유마저도 빼앗겼다. 국가는 법이라는 장치를 무기로 이러한 강제와 폭력을 정당화시켰다.
    이러한 현실 앞에 한센인들은 자기 정체성을 지워버리고 스스로를 사회적 타자로 낙인찍어버렸다. 그들은 고향을 떠나게 되면서 평생 본원적 공간이 충족되지 않는 거주 불안을 겪게 된다. 한센인들은 병으로 인해 가족, 고향과 이별을 해야 했지만 끊임없이 그 대체물을 갈구했다. 이와 같은 한센인들의 거주 불안과 유랑 의식은 단순한 현상이 아니다. 오랜 기간 누적된 일반대중의 외면, 사회구조적 문제, 환자의 자기 인식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한센병 문학은 이런 문제들을 외부로 드러내는 역할을 했다. 특히 환자 자신이 쓴 문학작품들은 그들이 느끼는 외면, 망각을 벗어나기 위해 외친 피맺힌 절규였다. 그러므로 사회적 타자로서 한센인의 처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에 의해, 그들을 위한 목소리가 필요했고 그 역할을 한센병 문학이 한 것이다.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한센인의 유랑과 정착의식 역시 그들의 문학작품을 통해서 끊임없이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For a long time, Hansen’s patients have been the other who had to be subject to be excluded, oppressed and even isolated from the society. Even without the human rights as social members, the patients’ freedom to stay was taken away. In the end, their only option was to roan around as wanderers, or to join the shelter. However they had to physically and mentally floated around the world until the end because they could only rest their body in the shelter without being able to find the peace in mind.
    Hansen’s patients’ consciousness of settlement anxiety firstly rests on the fear. The patients were not only deprived of freedom to stay, but also the freedom to get married, give birth, and raise children. With the weapon called law, the state has justified such an enforcement and violation. As they leave their hometowns, they experience residential anxiety in which the original space could never be filled up to satisfaction for the rest of their lives. The patients constantly crave the substitutes despite the separating from family and hometown.
    Hansen’s disease literature played a role in revealing these problems to the outside worl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Hansen’s patients as social others, a voice for them was necessary. The role was taken by the Hansen’s disease literature. The main theme of this paper, Hansen’s patients’ consciousness of wandering and settlement, also constantly appear through their literatures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