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염병 데이터 기반의 지리공간 시각화 전략 연구 -대시보드를 중심으로- (A Study on Geospatial Visualization Strategies Based on Infectious Disease Data -Focused on Website Dashboard UI-)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1.09
12P 미리보기
전염병 데이터 기반의 지리공간 시각화 전략 연구 -대시보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7권 / 3호 / 27 ~ 38페이지
    · 저자명 : 김민정

    초록

    본 연구는 2020년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지원을 받아수행된 연구로,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전염병 데이터의다이어그램과 그래프 선호도를 분석하여 사용자 경험의 질병 데이터 시각화 전략을 제안한다. 연구 방법은선행연구와 출판 문헌의 자료를 바탕으로 질병 데이터 시각화 유형을 도출하고 2021년 3월 22일부터 3월25일까지 20대에서 60대 사이 남녀 80명을 대상으로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질병 데이터의 시각화는 인류의 역사와 그 궤를 함께했다. 17세기 말에도 인간은 유행병 방어와 예방을 위해전염병 진원지와 확산 경로를 지도 위에 기록하며 통제구역을 정리했다. 컴퓨터 통신과 지리 정보 시스템의 발달로 인해 인터액티브 지도와 같은 웹사이트들이 제작되고 있지만, 사실 수 세기 전 제작된 전염병지도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시각화 측면에서 보면, 사용자들은 그래프 위주의 코로나19 웹사이트보다 지도 중심의 표현을 선호했다.
    또한 제한된 페이지 안에 그래프가 3개 이상 반복되거나, 한 개의 그래프 안에 2개 이상의 정보 유형이결합한 경우, 정보 과부하로 인한 피로감을 호소했다.
    예를 들어 누적 확진자와 일일 확진자 수치를 모두숫자로 제시할 경우, 두 개의 숫자를 구별하여 표시하거나 하나의 정보로 디자인하길 원했다. 또한 자신의주거지에 관한 구체적인 수치를 우선시했다. 특히 지역별 일일 확진자 수만 강조되는 것 보다, 지역별 누적 확진의 정도가 단계구분도로 표현되는 방식을 더선호했으며, 전달하는 정보가 서로 다를 경우 서로 다른 그래프 유형을 결합해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결과를종합하여 전염병 데이터 기반의 대시보드 프로토타입을 제안했다. 오늘날 공공의 건강은 세계적인 이슈이며, 따라서 많은 연구진이 유행병에 관한 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전염병 데이터 시각화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디자인 전략 연구의 첫 단계라 할 수 있다. 이에본 연구가 전염병 데이터의 시각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cademic support from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in 2020, and proposes a strategy to visualize disease data for user experience by organizing previous studies and analyzing the diagram and graph preferences of infectious disease data. The research method derived disease data visualization type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published literature, and conducted a survey of 80 people who are 20s to 60s from March 22nd to March 25th, 2021.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visualization of disease data shared the history of mankind and its trajectory. Even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humans organized control areas by recording the epicenter and spread routes of infectious diseases on the map to defend and prevent epidemics. Websites such as interactive maps are being produced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 communication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but in fact, they are not much different from infectious disease maps produced centuries ago. Nevertheless, in terms of data visualization, users preferred map-oriented expressions to graph-oriented COVID-19 on the web-page. In addition, when two or three graphs were repeated on a same page, or more than two information pieces were combined within one graph, users complained due to the information overload. For example, if both cumulative and daily confirmed cases were presented as numbers, two numbers were wanted to be displayed separately or designed as one information. They also want to check specific situation about their residences at first. In particular, rather than emphasizing the number of daily confirmed cases by region, the degree of cumulative confirmed cases by region was more preferred to be expressed in stages, and it was effective to combine different visual elements to deliver information. Finally, a dashboard prototype based on infectious disease data was proposed by synthesizing these results. Today, public health is a global issue, so many researchers are working to prevent epidemics and promote health. In this context,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the first step in researching design strategies to improve the user experience of visualizing infectious disease data.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journal will be used as basic research for visualizing infectious disease dat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