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욕억제제 Phentermine, Phendimetrazine으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 증례군 연구 (Psychotic Disorder Induced by Appetite Suppressants, Phentermine or Phendimetrazine : A Case Series Study)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7.08
8P 미리보기
식욕억제제 Phentermine, Phendimetrazine으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 증례군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생물정신의학회
    · 수록지 정보 : 생물정신의학 / 24권 / 3호 / 134 ~ 141페이지
    · 저자명 : 곽숙영, 윤탁, 이남영, 정인원, 김세현

    초록

    비만치료 약물 중 식욕억제제는 중추신경계의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등의 신경전달물질에 작용하여 식이량을 감소시킨다. 식욕억제제에 속하는 교감신경흥분제(sympathomimetics) 는 노르에피네프린처럼 작용하는 약제이며, 1세대약물로 amphetamine이 있다. Phentermine과 phendimetrazine은1세대보다 부작용이 적은 2세대 교감신경흥분제이다.1) 이러한 amphetamine 유형의 정신자극제(psychostimulant) 는 노르에피네프린 분비를 가장 강력하게 자극하고, 그보다는 약하나 도파민, 세로토닌 방출 역시 자극한다(표 1).2)3) Amphetamine은 남용 가능성, 심혈관계 부작용, 뇌출혈 위험성 등을 이유로 비만치료에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4) Phentermine 또한 교감신경흥분 작용 때문에 고혈압, 빈맥, 초조, 불면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이론적으로 의존, 내성의 위험성이있다.5)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에서는 phentermine을 일일 30 mg(phentermine HCl 37.5 mg) 이하 용량으로 단기 사용(일반적으로 12주) 에 한해 제한적으로 승인했고, Controlled Substances Act(이하 CSA)에 따라 schedule IV로 관리하고 있다. Phendimetra-zine은 phentermine보다 남용 가능성이 더 높다고 평가되어, CSA schedule III로 관리하고 있다.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02년에 phedimetrazine을 허가하고 뒤이어 2004년에phentermine을 허가하였으며, 이러한 향정신성 비만치료제를 3개월 이상 복용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6) 국내 고도비만 비율이 세계적으로 낮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7) phentermine, phendimetrazine이 흔히 처방되고 있으며, 임상에서 단기 사용 지침이 잘 지켜지지 않는다. 2015년 International Narcotics Control Board(이하 INCB) 발표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4년 사이에 INCB schedule IV로 관리하는정신자극제의 국내 일일 사용량 지수(defined daily doses for statistical purposes, S-DDD)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았다.8) 2014년 INCB schedule IV로 관리하는 정신자극제 세계 소비량의 87%가 phentermine이었고, 그 다음이 5.5%를 차지하는 phendimetrazine이었다.8) Amphetamine 유형의 정신자극제가 정신병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다. 정신병적 증상은 Amphetamine이줄무늬체(striatum)의 도파민 체계를 민감하게만들고 도파민 방출을 늘어나게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9) Amphetamineme을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환자의8~46%까지 약제에 의한 정신병적 장애가 보고된 바 있으며,10) methamphetamine을 중단한 기간에 비해 사용한 기간에 정신병적 증상이 5배 이상 더 빈번하게 나타났다는 보고도있다.11) Amphetamine 유도체인 phentermine, phendimetrazine도정신병적 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외국에서는1960년대 후반부터 phentermine 복용에 의한 정신병적 증상, 기분 변화 증례가 보고되었다.12-15) 비슷하게 phendimetrazine의대사물인 phenmetrazine을 복용한 뒤 정신병적 증상이 나타난 증례도 다수 있었다.16) 국내에서 phendimetrazine 으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 4예가 보고된 바 있고, 그 중 1예는 의존 또한 발생했다.17)18) 그러나 국내에서 phentermine으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 증례 보고는 없었다. 다만 phentermine의부작용에 대한 국내 연구에서 기분 변화, 불안과 같은 정신 증상이 흔한 부작용으로 보고된 바 있었다.19) 본 연구는 phendimetrazine 뿐만 아니라 phentermine도 정신병적 장애를 유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하에, phentermine, phendimetrazine 복용 뒤 정신병적 증상이 나타난증례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수집한 증례를 기술하고 각 증례에서 나타난 정신병리와 치료 경과를 정리하여, 식욕억제제에 의한 정신병적 장애의 특징적인 임상 양상을 탐색하고자하였다.

    영어초록

    Objectives : A retrospective case serie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sychotic disorders induced by appetite suppressants, phentermine and phendimetrazine.
    Methods : A retrospective electronic medical record review identified 5 admitted patients who had psychotic symptoms after taking phentermine or phendimetrazine. Clinical information was reviewed and summarized in each case.
    Results : Hallucinations were reported in all cases, including auditory, visual, olfactory and somatic hallucinations. After discontinuation of phentermine or phendimetrazine, the symptoms rapidly improved with low dose of antipsychotics. Patients tended to have less prominent negative symptoms and higher insight into illness, and often showed depressive mood. These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to psychosis induced by amphetamines. Two patients developed stimulant use disorder while using phentermine.
    Conclusions : These findings call for awareness of the risks associated with use of appetite suppressants. Prescription of phentermine or phendimetrazine should be accompanied by close monitoring of mental status, and suspicion for substance/medication-induced psychotic disor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물정신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