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어 전공교육과정의 핵심역량 고찰—대학별 사례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Core Competences in Chinese Major Education Course —Focused on University-specific Cases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20.12
29P 미리보기
중국어 전공교육과정의 핵심역량 고찰—대학별 사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어교육과 연구 / 32호 / 119 ~ 147페이지
    · 저자명 : 위수광

    초록

    국내 대학 교육이 ‘핵심역량’에 중점을 둔 지 어느덧 10여 년이 지났다. 이떄 대학별 중국어 교육과정에 반영된 핵심역량(전공능력)과 핵심역량기반 중국어교육과정의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중국어 전공교육과정에서 설정한 핵심역량(전공능력)과 이들 핵심역량(전공능력)과 연계된 중국어 전공교육과정을 검토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핵심역량과 한국 대학생들에게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의 개념을 살펴보고,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과 대학 기본역량 평가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에 대해 검토하였다. 둘째, 국내 7개 대학 중국어 관련 학과의 중국어 전공교육과정의 핵심역량(전공능력) 과 이들 핵심역량(전공능력) 기반으로 전공교과목과의 연계성을 검토하고, 핵심역량(전공능력) 기반 교육과정의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국내 7개 대학에서 중국어 관련학과 핵심역량(전공능력)은 대학별로 인재상 및 교육목표에 근거함으로 대학별 중국어 관련 학과마다 상이하였다. 다만 학문적 특성을 고려하여 보편적이고 공통적인 핵심역량(전공능력)들도 있었다. 예로 의사소통 역량, 중국 및 문화 관련 글로벌 역량은 공통적이다. 그 밖에 융합적 사고력, 실무능력, 중국어 활용능력 등은 대학별 인재상 및 교육목표에 근거하여 상이함을 알 수 있다. 그 다음은 핵심역량(전공능력)과 전공교과목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7개 대학 중 4개 대학의 핵심역량(전공능력)과 이와 전공교과목의 연계성을 제시하였다. 4개 대학 모두 학과별 인재상, 교육목표와 연계한 핵심역량(전공능력)을 도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전공교과목와 연계하여 전공교육과정을 편성 및 운영하였다. 핵심역량(전공능력)과 전공교과목과 연계는 역량의 정의하거나 연계성을 상세히 기술하고 맵핑하였다. 특징적인 것은 4개 대학중 2개 대학은 대학 핵심역량과 학과 핵심역량(전공능력)을 연계하거나 함께 제시하여 맵핑하거나 역량별로 함양해야 하는 지식(K), 기술(S), 태도(A)고 구분하여 준거를 명확하게 제시한 사례도 있었다. 이를 통해 대학별 중국어 관련 학과의 핵심역량(전공능력)은 선정 및 교과목 연계는 초기적인 단계라 여겨진다. 핵심역량(전공능력) 기반 중국어 전공교육과정 체계 구축을 통해 변화하는 교육환경과 사회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인재양성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중국어 교육과정에 적절하고 보편적이고 표준적인 핵심역량(전공능력)도출을 위한 연구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It has already been more than ten years since the university education in Korea began to focus on "core competences." At this tim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mbodiment of core competences (major abilities) in Chinese curricula of various universities, analyze Chinese curricula examples based on core competence cultivating, and then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core competences (major abilities) and these curricula.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aper interpreted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e, then listed the basic competences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must possess. Based on it, a curriculum aimed at cultivating core competences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universities’ basic competence evaluation. Secondly, taking Chinese-related majors of seven Korean universities as the research scope, the paper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re competences (major abilities) required by the Chinese major and the curriculum setting, and analyzed the Chinese curriculum examples based on the cultivation of core competences (major abilities). Through the research, it can be found that due to the different levels of students and educational objectives, Chinese-related majors in the above-mentioned universities have different emphasis on the cultivation of core competences (major abilities),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quirements for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y, practical ability and Chinese application ability. However, the courses of these schools have all implemented the cultivation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globalization ability related to China and Chinese culture. This is main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This paper made a detailed case study among four of the seven universities and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core competences (major abilities) and Chinese curricula. The four universities have set the core competences (major abilities) to be cultivated according to students' level and educational objectives of each major, then set up curricula, and carried out teaching based on it.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core competences (major abilities) and the major curricula in the above-mentioned universities was analyzed and mapped in a detailed way. On this basis, an in-depth study on two of them was carried out. The study jointly described and mapped the core competences of university and the core competences of major, then separated the knowledge (K), skills (S) and attitude (A) required in the process of ability cultivation, and clearly wrote out the basis for listing each item. Through this, the conclusion can be drawn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re competences (major abilities) required by Chinese-related majors and the curricula setting in Korean universities is in the primary stage. It is believ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Chinese major curriculum system based on core competences (major abilities) can foster students to adapt themselves to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eet the demands of society.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s for research for the proper, universal and standard core competences (major abilities) of the Chinese curricu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어교육과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전